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정전위 양극 산화에 의한 나노다공성 금 구조의 초미세 전극 제작 = Fabrication of Ultramicroelectrodes with Nanoporous Gold Structures by Potentiostatic Anod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393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cause the nanoporous electrodes has large electrochemical surface areas, extensive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ir fabrication methods. In this paper, a method for introducing a nanoporous gold (NPG) structure on the sur- face of an ultramicroele...

      Because the nanoporous electrodes has large electrochemical surface areas, extensive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ir fabrication methods. In this paper, a method for introducing a nanoporous gold (NPG) structure on the sur- face of an ultramicroelectrode (UME) using potentiostatic anodization was investigated. A well-defined NPG structure was introduced on the surface of the UME when a potential of 1.3 V was applied in 0.1 M phosphate buffer solution (pH 8) con- taining 1 M KCl. The anodic oxidation efficiency was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f the applied potential, the reac- tion time, and the size of the electrode on the roughness factor (Rf) of the prepared NPG-UMEs. In a short time of about 10 minutes, NPG-UME with a large Rf value of about 2000 could be prepared, which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electrochemi- cal glucose detection. The results shown in this work are expected to have great applicability when performing electrochemi- cal analysis with a small sample volu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전극은 매우 큰 전기화학적 표면적을 지니기 때문에 그 형성 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정전위 양극 산화를 이용하여 초미세전...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전극은 매우 큰 전기화학적 표면적을 지니기 때문에 그 형성 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정전위 양극 산화를 이용하여 초미세전극(ultramicroelectrode, UME) 표면에 나노 다공성 금(nanoporous gold, NPG) 구조를 도입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1 M KCl을 포함하는 0.1 M 인산완충용액 (pH 8)에서 1.3 V의 정전위를 가해 주면 잘 정의된 NPG 구조가 UME 표면에 도입되었다 . NPG-UME 형성에서 인가 전위와 반응 시간 , 그리고 전극의 크기가 형성된 NPG 전극의 거칠기 인자 (roughness factor, Rf)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양극 산화 효율을 조사하였다 . 10분 정도의짧은 시간에 2000정도의 큰 Rf 값을 가지는 NPG-UME를 만들 수 있었는데 , 전기화학적 글루코오스 검출에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적은 시료양으로 전기화학적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 응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Bae, J. H., 14 : 448-, 2012

      2 Zhang, D. -W., 85 : 2032-, 2013

      3 Collinson, M. M., 2013 : 21-, 2013

      4 Erlebacher, J., 151 : C614-, 2004

      5 Seo, B., 22 : 939-, 2010

      6 Nishio, K., 50 : 1603-, 2011

      7 Jeong, H., 80 : 383-, 2012

      8 Kim, M., 30 : 4844-, 2014

      9 Lee, S., 33 : 1277-, 2021

      10 Zoski, C. G., 14 : 1041-, 2002

      1 Bae, J. H., 14 : 448-, 2012

      2 Zhang, D. -W., 85 : 2032-, 2013

      3 Collinson, M. M., 2013 : 21-, 2013

      4 Erlebacher, J., 151 : C614-, 2004

      5 Seo, B., 22 : 939-, 2010

      6 Nishio, K., 50 : 1603-, 2011

      7 Jeong, H., 80 : 383-, 2012

      8 Kim, M., 30 : 4844-, 2014

      9 Lee, S., 33 : 1277-, 2021

      10 Zoski, C. G., 14 : 1041-, 2002

      11 van der Zalm, J., 167 : 037532-, 2020

      12 Schulte, A., 46 : 8760-, 2007

      13 Cho, Y.-B., 162 : H792-, 2015

      14 Trasatti, S., 63 : 711-, 1991

      15 Jeong, H., 297 : 84-, 2014

      16 Park, S., 55 : 2029-, 2010

      17 Dong, H., 113 : 60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