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초미세분쇄를 이용한 옥수수 변성전분의 물리적 특성 변화 구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90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미세분쇄기술을 이용하여 옥수수전분의 입자구조파괴가 이루어졌을 때 분자구조적, 물리적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초미세 분쇄처리 후 옥수수전분의 평균직경은 약 50% 감소가 이루어졌으며 비표면적은 567% 증가하였다. 초미세분쇄처리 전·후의 옥수수전분에 대한 분자량분포를 GPC로 측정한 결과 분쇄 후 저분자량의 Peak II의 면적이 21.0%에서 86.5%로 상승하였다. 손상전분 함량은 각각 9.63%와 83.57%로 초미세분쇄처리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옥수수전분의 경우는 겔(gel)을 형성하였으나 초미세분쇄처리 후에는 전분의 분쇄과정에서 전분입자파괴와 아울러 옥수수전분의 분자량이 저분자화 되면서 겔 형성능력이 크게 저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미세분쇄기술을 이용하여 옥수수전분의 입자구조파괴가 이루어졌을 때 분자구조적, 물리적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초미세 분쇄처리 후 옥수수전분...

      본 연구는 초미세분쇄기술을 이용하여 옥수수전분의 입자구조파괴가 이루어졌을 때 분자구조적, 물리적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초미세 분쇄처리 후 옥수수전분의 평균직경은 약 50% 감소가 이루어졌으며 비표면적은 567% 증가하였다. 초미세분쇄처리 전·후의 옥수수전분에 대한 분자량분포를 GPC로 측정한 결과 분쇄 후 저분자량의 Peak II의 면적이 21.0%에서 86.5%로 상승하였다. 손상전분 함량은 각각 9.63%와 83.57%로 초미세분쇄처리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옥수수전분의 경우는 겔(gel)을 형성하였으나 초미세분쇄처리 후에는 전분의 분쇄과정에서 전분입자파괴와 아울러 옥수수전분의 분자량이 저분자화 되면서 겔 형성능력이 크게 저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changes in the molecular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modified corn starch, in which particle structure was broken using high impact planetary mill and ultra fine pulverizing techniques. The average diameter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modditied corn starch after pulverization decreased 50% and increased 567%, respectively. Content of low molecular substances mer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ncreased from 21.0% to 86.5% after pulverizing corn starch. Damaged starch content also increased from 9.63% to 83.57% after pulverizing corn starch. After pulverization, gel formation capacity corn starch was reduc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y structure breakdown.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changes in the molecular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modified corn starch, in which particle structure was broken using high impact planetary mill and ultra fine pulverizing techniques. The average diamet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changes in the molecular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modified corn starch, in which particle structure was broken using high impact planetary mill and ultra fine pulverizing techniques. The average diameter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modditied corn starch after pulverization decreased 50% and increased 567%, respectively. Content of low molecular substances mer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ncreased from 21.0% to 86.5% after pulverizing corn starch. Damaged starch content also increased from 9.63% to 83.57% after pulverizing corn starch. After pulverization, gel formation capacity corn starch was reduc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y structure breakdow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