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이 소개된 후, 간염 B표면항원 음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내 존재하는 극미량의 B형 간염 바이러스 DNA(HBV DNA)를 검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형 간염 바이러스(HCV)...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31163
1992
Korean
513.0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15(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이 소개된 후, 간염 B표면항원 음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내 존재하는 극미량의 B형 간염 바이러스 DNA(HBV DNA)를 검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형 간염 바이러스(HCV)...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이 소개된 후, 간염 B표면항원 음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내 존재하는 극미량의 B형 간염 바이러스 DNA(HBV DNA)를 검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형 간염 바이러스(HCV)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 방법인 C100-3항원에 대한 항체 측정법(anti-HCV)이 개발된 후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증거로 이용되게 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간염 B표면항원 음성인 만성 간질환의 병인으로서 B형 간염바이러스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상대적 역할을 규명하고, 간염 B표면항원 음성 만성 간질환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혈청내 HBV DNA를 검출하고, 동시에 ELISA법으로 anti-HCV를 검출하였다. 전체 80명의 환자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양상에 따라 다음 세군으로 구분되었다. 1) B형 간염 핵항체만 양성인 군(제1군, 24명), 2) B형 간염 핵항체 및 표면 항체가 모두 양성인 군(제 2군, 24명) 및 3) 모든 B형 간염 바이러스 혈청학적 표지자가 음성인 군(제 3군, 32명). 전체 80명 중 혈청 HBV DNA는 15%, anti-HCV는 46%에서 검출되었다. 제1군, 2군 및 3군에서의 혈철 HBV DNA 검출률은 각각 46%, 0% 및 3%였으며, anti-HCV 검출률은 각각 54%, 54% 및 34%였다. 또한 중복감염은 제 1군에서만 22%였다. 이상의 결과로 간염 B표면항원 음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병인으로서 HCV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B형 간염 핵항체만 양성인 군에서는 HCV뿐만 아니라 HBV도 중요한 병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상기 결과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또 다른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소견이기도 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extremely low level of serum HBV DNA can now be detected in patients with HBsAg-negative chronic liver disease with the advent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for HBV DNA. The serologic test for antibody to hepatitis C virus, namely the detec...
An extremely low level of serum HBV DNA can now be detected in patients with HBsAg-negative chronic liver disease with the advent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for HBV DNA. The serologic test for antibody to hepatitis C virus, namely the detection of anti-C100-3 antibody, has provided a good marker of chronic, persistent viremia. To investigate the relative etiologic role of HBV and HCV in HBsAg-negative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serum HBV DNA and anti-HCV were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Southern blot analysis and ELISA, respectively, in 80 HBsAg-negative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A total of 80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serologic profiles for hepatitis B virus: 1) isolated anti-HBc positive(group Ⅰ, n=24), 2) positive for both anti-HBc and anti-HBs(group Ⅱ, n=24) and 3) negative for all hepatitis B virus serologic markers (group Ⅲ, n=32). Serum HBV DNA and anti-HCV were detected in 15% and 46%, respectively, of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Serum HBV DNA was detected in 46%, 0%, and 3% of groups Ⅰ, Ⅱ, and Ⅲ, respectively.
Positive anti-HCV tests were obtained in 54%, 54%, and 34% of group Ⅰ, Ⅱ, and Ⅲ, respectively. Coinfection was proven in 22% of group Ⅰ, while it was none of both groups Ⅱ and Ⅲ. Both HBV DNA and anti-HCV were not detected in 21%, 46%, and 63% of groups Ⅰ, Ⅱ, and Ⅲ,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HCV plays a prominent etiologic role in HBsAg-negative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in Korea. However, both HBV and HCV a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liver disease in patients with isolated anti-HBc.
Ⅱ형 당뇨병 환자에서 Microdensitometer를 이용한 골변화에 관한 연구
골아세포 MC₃T₃-E₁의 증식과 기능에 Insulin Like Growth Factor Ⅰ, Ⅱ 및 부갑상선 호르몬이 미치는 영향
Doppler 및 심초음파도에 의한 운동선수의 운동 전후 좌심실 기능 평가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