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허데이터 기반 한국의 인공지능 경쟁력 분석: 특허지표 및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Korea's Artificial Intelligence Competitiveness Based on Patent Data: Focusing on Patent Index and Topic Model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mpeti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atents around the world is intensifying. During the period 2000 ~ 2021,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atent applications at the US Pa...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mpeti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atents around the world is intensifying. During the period 2000 ~ 2021,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atent applications at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and the growth rate has been steeper since the 2010s. As a result of analyzing Kore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mpetitiveness through patent indices, it is evaluated that patent activity, impact, and marketability are superior in areas such as auditory intelligence and visual intelligence. Howev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overall Kore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atents are good in terms of activity and marketability, but somewhat inferior in technological impact. While noise canceling and voice recognition have recently decreased as top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growth is expected in areas such as model learning optimization, smart sensors, and autonomous driving. In the case of Korea, efforts are required as there is a slight lack of patent applications in areas such asf raud detection/security and medical vision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세계 각국의 인공지능 기술 특허를 둘러싼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2000년~2021년 간 미국 특허청의 인공지능 기술 특허출원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세계 각국의 인공지능 기술 특허를 둘러싼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2000년~2021년 간 미국 특허청의 인공지능 기술 특허출원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10년대 들어 보다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허지표를 통해 한국의 인공지능 기술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청각지능, 시각지능 등의 세부 분야에서 특허활동성, 영향력, 시장성 등이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주요국과 비교하여 한국의 인공지능 기술 특허는 양적 활동성, 시장성 확보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하나 기술 파급력은 다소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 토픽으로 노이즈 캔슬링, 음성인식 등은 감소한 반면 모델학습 최적화, 스마트센서, 자율주행 등이 활성화되면서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사기탐지/보안, 의료 비전러닝 등의 분야에서 특허출원 성과가 다소 부족하여 분발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특허분석의 전략적 파트너- 알기쉬운 특허지표 활용 가이드"

      2 곽현 ; 이성원,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 분야 경쟁력 분석:특허 시장성과 기술력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8 (28): 141-158, 2019

      3 백서인 ; 이현진 ; 김희태, "인공지능의 기술 혁신 및 확산 패턴 분석: USPTO 특허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86-98, 2020

      4 은종환 ; 황성수,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책의사결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제구조화 유형으로 살펴 본 성공과 실패 사례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7 (27): 47-66, 2020

      5 곽현, "인공지능(AI) 기술 및정책 동향"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6 김병운,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한국정보화진흥원 23 (23): 74-93, 2016

      7 김규리, "스탠포드 「AI 인덱스 2021」을 통해 본 AI 지표조사의 변화 방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8 엄익천, "미국 등록특허를 활용한 한국 기술경쟁력의역동성 분석" 3 (3): 87-126, 2020

      9 이준기 ; 남효경, "문헌 연구를 통해 본 소셜 미디어와 인간의 관계: 사용자, 산업, 사회의 관점에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9 (29): 3-25, 2022

      10 특허청,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인공지능’1위 선정"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특허분석의 전략적 파트너- 알기쉬운 특허지표 활용 가이드"

      2 곽현 ; 이성원,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 분야 경쟁력 분석:특허 시장성과 기술력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8 (28): 141-158, 2019

      3 백서인 ; 이현진 ; 김희태, "인공지능의 기술 혁신 및 확산 패턴 분석: USPTO 특허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86-98, 2020

      4 은종환 ; 황성수,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책의사결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제구조화 유형으로 살펴 본 성공과 실패 사례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7 (27): 47-66, 2020

      5 곽현, "인공지능(AI) 기술 및정책 동향"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6 김병운,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한국정보화진흥원 23 (23): 74-93, 2016

      7 김규리, "스탠포드 「AI 인덱스 2021」을 통해 본 AI 지표조사의 변화 방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8 엄익천, "미국 등록특허를 활용한 한국 기술경쟁력의역동성 분석" 3 (3): 87-126, 2020

      9 이준기 ; 남효경, "문헌 연구를 통해 본 소셜 미디어와 인간의 관계: 사용자, 산업, 사회의 관점에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9 (29): 3-25, 2022

      10 특허청,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인공지능’1위 선정"

      11 특허청, "공공 R&D 특허기술동향조사 가이드라인"

      12 WIPO, "WIPO Technology Trends 2019 : Artificial Intelligenc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19

      13 박재용, "Trend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Using Patent Informati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3 (23): 9-16, 2018

      14 Zhang, D., "The AI Index 2021 Annual Report" AI Index Steering Committee, Human-Centered AI Institute, Stanford University 2021

      15 Tseng, C.-Y., "Patent analysis for technology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 A country-level comparative study" 15 (15): 463-475, 2013

      16 Park, S., "Patent Keyword Analysis of Disaster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Bayesian Network Modeling and Factor Analysis" 12 (12): 505-, 2020

      17 Liu, N., "Mapping technological innovation dynam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domains : Evidence from a global patent analysis" 16 (16): 2021

      18 Blei, D. 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3 : 993-1022, 2003

      19 European Patent Office, Japan Patent Office, "IP5 Statistics Report 2020 Edition" 2021

      20 IBM, "IBM Global AI Adoption Index 2022"

      21 Wang, X., "Evaluating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technology based on LDA topic model" 32 (32): 208-222, 2020

      22 Denter, N. M., "Blockchain breeding grounds : Asia's advance over the USA and Europe" 67 : 102082-, 2021

      23 Tsay, M.-Y., "Analysis of the patent cooperation network in global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based on the assignees" 63 : 102000-, 2020

      24 조현석 ; 곽찬희 ; 최한별 ; 이민형 ; 이희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driving Patents on the Firm Performance in the Automotive Parts Industry" 한국지식경영학회 20 (20): 57-74, 2019

      25 특허청, "4차 산업혁명 관련기술 특허 통계집"

      26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number one invention technology that will change Korea's tomorrow"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