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개별화된 교육 계획안의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의 현황 및 향후방향에 관한 연구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Goals and Objectives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40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goals and objectiv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Thirty on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eventy six goals and objectives were analyzed. First, the content of IEP was analyzed based upon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In addition, the quality of IEP goals and objectives were analyzed based upon functionality, generality, instructional context, measurability, hierarchical relationship. Lastly, the quality of the IEP goals and/or objectives depending on the teacher variables(i.e., education experience, experience of teaching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xperience of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raining) were analyzed.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eachers did not include the content of IEP (e.g., how to evaluate, how to provide related services) in the format. Moreover, many goals and objectives did not contain determination of performance criteria (e.g., independently, with assistance) in the measurability dimension.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quality of the IEP goals and/or objectives depending on the teacher variables (i.e., experience of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raining). Discussion for Kore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eld were presen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goals and objectiv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Thirty on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eventy six goals and objectives were an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goals and objectiv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Thirty on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eventy six goals and objectives were analyzed. First, the content of IEP was analyzed based upon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In addition, the quality of IEP goals and objectives were analyzed based upon functionality, generality, instructional context, measurability, hierarchical relationship. Lastly, the quality of the IEP goals and/or objectives depending on the teacher variables(i.e., education experience, experience of teaching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xperience of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raining) were analyzed.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eachers did not include the content of IEP (e.g., how to evaluate, how to provide related services) in the format. Moreover, many goals and objectives did not contain determination of performance criteria (e.g., independently, with assistance) in the measurability dimension.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quality of the IEP goals and/or objectives depending on the teacher variables (i.e., experience of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raining). Discussion for Kore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eld were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 3-5세 발달지체 유아들을 가르치고 있는 대전 지역 장애전담 어린이 집에 근무하는 유아특수 교사들의 개별화된 교육 계획안에 기술된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알아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개별화 교육 계획안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서 연구자는 GORI의 준거에 기초하여서 기능성, 일반성, 교수 맥락, 측정 가능성,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의 위계적 관계의 측면에서 76개의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를 분석하였다. 더불어서 교사의 학력, 일반교육 경험, 특수교육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에 따라서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가 질적으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를 중심으로 유아특수 교육 현장에서 개별화된 교육 계획안의 작성과 관련된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및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만 3-5세 발달지체 유아들을 가르치고 있는 대전 지역 장애전담 어린이 집에 근무하는 유아특수 교사들의 개별화된 교육 계획안에 기술된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의 현황을 파악하...

      본 연구는 만 3-5세 발달지체 유아들을 가르치고 있는 대전 지역 장애전담 어린이 집에 근무하는 유아특수 교사들의 개별화된 교육 계획안에 기술된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알아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개별화 교육 계획안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서 연구자는 GORI의 준거에 기초하여서 기능성, 일반성, 교수 맥락, 측정 가능성,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의 위계적 관계의 측면에서 76개의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를 분석하였다. 더불어서 교사의 학력, 일반교육 경험, 특수교육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에 따라서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가 질적으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를 중심으로 유아특수 교육 현장에서 개별화된 교육 계획안의 작성과 관련된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및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1998

      2 양인숙, "통합학급 장애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의 개발 및 운영실태" 공주대학교 2002

      3 김경숙,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들의 개별화 교수목표 분석" 6 (6): 109-128, 2006

      4 김경숙, "장애유아통합교육과정의 운영실제" 8 (8): 187-211, 2006

      5 허계형, "장애 유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계획안의 장기목적,단기목표의 분석" 10 (10): 344-363, 2003

      6 조광순,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12 (12): 339-370, 2005

      7 조광순,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진단 평가의 현황" 39 (39): 87-125, 2005

      8 김우심,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활용에 대한 실태분석" 우석대학교 2002

      9 백경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특수유아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9 (9): 193-214, 2005

      10 보건복지부,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01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1998

      2 양인숙, "통합학급 장애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의 개발 및 운영실태" 공주대학교 2002

      3 김경숙,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들의 개별화 교수목표 분석" 6 (6): 109-128, 2006

      4 김경숙, "장애유아통합교육과정의 운영실제" 8 (8): 187-211, 2006

      5 허계형, "장애 유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계획안의 장기목적,단기목표의 분석" 10 (10): 344-363, 2003

      6 조광순,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12 (12): 339-370, 2005

      7 조광순,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진단 평가의 현황" 39 (39): 87-125, 2005

      8 김우심,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활용에 대한 실태분석" 우석대학교 2002

      9 백경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특수유아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9 (9): 193-214, 2005

      10 보건복지부,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01

      11 전병운, "개별화교육 프로그램(IEP)작성 및 운영의 현실화 방안연구" 3 (3): 1-27, 1999

      12 Grisham-Brown,J., "Writing IEP goals and objectives: Reflecting an activity-based approach to instruc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 (1): 2-10, 1998

      13 Billingsley,F.F., "Where are the generalized outcomes? (An examination of instructional objectives)" 9 : 182-192, 1984

      14 Wolery,M., "Using assessment information to plan instructional programs in : Assessing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handicaps" Merrill 478-495, 1989

      15 Hamilton, D. A., "The utility of the Assessment, Evaluation, and Programming System in the development of quality IEP goals and objectives for young children, birth to three, with visual impairments" University Microfilms No. AAI95-41906 56 (56): 1995

      16 Notari,A.R., "The utility of a curriculum-based assessment instrument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14 (14): 5-11, 1990

      17 Notari,A.R., "The utility of a criterion-refinstrument in the development of ineducation plan goal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University Microfilms No. AAT88-14193 49 (49): 1988

      18 Hunt,P., "The quality of IEP objectives associated with placement on integrated versus segregated school sites" 11 (11): 125-130, 1986

      19 Lynch,E.c., "The quality of IEP objectives and their relevance to instruc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behavior disorders" 11 (11): 48-55, 1990

      20 Goodman,J.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A retrospective critique" 26 (26): 408-422, 1993

      21 Weisenfeld, R. B., "The IEPs of Down syndrome children: A content analysis" 21 (21): 211-219, 1986

      22 McWilliam, R. A., "The Fami1y-centeredness of 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s" 18 (18): 69-82, 1998

      23 Morgan,D.P., "Teachers’attitudes toward IEPs : A two-year follow-up" 50 (50): 64-67, 1983

      24 Michnowicz,L.L., "Social goals and objectives of preschool IEPs : A content analysis" 19 : 273-282, 1995

      25 Tawney, J. W., "Single subject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Merrill 1984

      26 Dudley-Marling,C.C., "Perceptions of the usefulness of the ffiP by teachers of learning disabled and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22 : 65-67, 1985

      27 Tymitz,B.L., "Instructional aspects of the IEP: An analysis of teachers’skills and needs" 20 (20): 13-20, 1980

      28 Reiher, T. C., "Identified deficits and their congruence to the IEP for behaviorally disordered students" 17 (17): 167-177, 1992

      29 Pretti-Frontczak, K., "Enhancing the quality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goals and objectives" 23 (23): 92-105, 2000

      30 Davis, P., "Effectiveness of in service training on the functionality, technical adequacy, and generality of IEP objective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1989

      31 Bricker,D.D., "Early intervention for at-risk and handicapped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 children" VORT Corp 1989

      32 Margolis,H., "Do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e IEPs to guide instruction?" 19 : 151-159, 1987

      33 Drasgow,E., "Developing legally correct and educationally appropriate IEPs.Remedial and Special" 22 (22): 359-373, 2001

      34 Morgan, D P., "Characteristics of a quality IEP" 3 : 12-17, 1981

      35 Notari,A.R., "Best practice for writing child outcomes: An evaluation of two methods" 11 (11): 92-106, 1991

      36 Straka,E.A.,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for communication delays" University Microfilms No. AAT95-19689 56 (56): 1994

      37 Smith, S. W., "An analysi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IEPs) for students with behavioral disorders" 14 (14): 107-116, 1989

      38 Bricker, D. D., "An activity-based approach to early intervention (2nd Ed.)" Paul H. Brookes 1998

      39 Downing,J.E., "Active versus passive programming: A critique of IEP objectives for students with the most severe disabilities" 13 : 197-201,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