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자기장과 맥동전자기장이 MC3T3-E1 세포의 ALP 및 ANA 활성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tatic Magnetic Field and Pulsed Electomagnetic Field on Alkaline Phospatase and DNA Synthetic Activity of MC3T3-El Ce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54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자기장과 맥동전자기장이 배양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MC3T3-E1세포를 각 자기장하에서 배양하여 ALP활성도와 DNA의 합성능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정자기장을 가한 군에서 자석을 1,2,3개 가한 군 (51∼114.8mT)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ALP의 유의성 있는 증가가 나타났으며 (P<0.05), 자석을 4개 5개 가한 군 (150mT)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ALP활성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맥동성 전자기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ALP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DNA 합성능은 정자기장과 맥동성 전자기장을 가한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정자기장에 의한 교정력은 골세포의 대사과정에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치아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정자기장과 맥동전자기장이 배양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MC3T3-E1세포를 각 자기장하에서 배양하여 ALP활성도와 DNA의 합성능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정자...

      정자기장과 맥동전자기장이 배양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MC3T3-E1세포를 각 자기장하에서 배양하여 ALP활성도와 DNA의 합성능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정자기장을 가한 군에서 자석을 1,2,3개 가한 군 (51∼114.8mT)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ALP의 유의성 있는 증가가 나타났으며 (P<0.05), 자석을 4개 5개 가한 군 (150mT)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ALP활성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맥동성 전자기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ALP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DNA 합성능은 정자기장과 맥동성 전자기장을 가한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정자기장에 의한 교정력은 골세포의 대사과정에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치아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gnetic field on cellular activity of MC3T3-E1 cells. The cellular activity was monitored by alkaline phosphatase and DNA synthetic activity in control, static magnetic field and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groups. A static magnetic field was applied to the cell by placing one, two, three,four, and five samarium-cobalt magnets above and below each cell plate for 24 hours per day. A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with a frequency of 100 herz was applied for 10 hours per day.
      After 10 days of magnetic field exposure, there were increase of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static magnetic field groups consisted of one, two and three magnetic group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four and five magnetic groups.
      Application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increased i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compared to control.
      DNA synthetic activity in both static and pulsed eletromagnetic field group were on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gnetic field could have effect on the metabolism of bone cells related to the cellular metabolic proc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gnetic field on cellular activity of MC3T3-E1 cells. The cellular activity was monitored by alkaline phosphatase and DNA synthetic activity in control, static magnetic field and pulsed elect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gnetic field on cellular activity of MC3T3-E1 cells. The cellular activity was monitored by alkaline phosphatase and DNA synthetic activity in control, static magnetic field and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groups. A static magnetic field was applied to the cell by placing one, two, three,four, and five samarium-cobalt magnets above and below each cell plate for 24 hours per day. A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with a frequency of 100 herz was applied for 10 hours per day.
      After 10 days of magnetic field exposure, there were increase of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static magnetic field groups consisted of one, two and three magnetic group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four and five magnetic groups.
      Application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increased i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compared to control.
      DNA synthetic activity in both static and pulsed eletromagnetic field group were on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gnetic field could have effect on the metabolism of bone cells related to the cellular metabolic proces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