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연구 -"편지 쓰기"의 초등 국어 수업을 위한 국어과 내용교수지식 개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Korea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5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어과 내용교수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에 대하여 기본적인 개념과, 성격, 초등 국어과 수업에서의 내용교수지식의 특성, 초등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의 수업 적용, 그리고 ...

      이 연구는 국어과 내용교수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에 대하여 기본적인 개념과, 성격, 초등 국어과 수업에서의 내용교수지식의 특성, 초등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의 수업 적용, 그리고 내용교수지식의 효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초등 국어 수업을 대상으로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이 설정되고 이를 상세화하여 수업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시나리오로 제시함으로써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이 어떻게 수업에 적용되는지를 밝혀 보였다. 내용교수지식은 교사가 특정 내용을 특정 학생들에게 잘 가르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교사의 암묵적이고 개별적인 지식이지만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의 핵심역량으로 수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하고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완성, 발전시킬 수 있는 지식이다. 이 연구는 교사가 국어 수업 시간에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가르치는가를 중심으로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을 설명하면, 이를 통해 국어과 교수 학습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국어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일관되게 신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교사 평가 혹은 수업 평가의 질적 변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Korean education. The concept, the properties, the applicative conditions and the example case of PCK in the elementary Korean education is discussed and the efficiency of PCK in Korean edu...

      This study discuss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Korean education. The concept, the properties, the applicative conditions and the example case of PCK in the elementary Korean education is discussed and the efficiency of PCK in Korean education is maintained. The example case in the elementary Korean education describ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accounted the efficiency of PCK. PCK is a personal knowledge domain featuring each teacher`s unique professionalism and synthetic in that it builds up separate knowledge domains in to a connected whole. It is the knowledge resulting from the teacher`s cognitiv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each type of knowledge perse. This Introduction of PCK in Korean education is hoped to the effectiveness on the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teacher evalu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진, "초등 초임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 자료 개발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 전라남도교육연수원, "초등 좋은 수업 연구 교사 직무연수 강사 사전 협의회 자료" 전라남도교육연수원 2009

      3 곽영순,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527-536, 2006

      4 최승현,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89-514, 2008

      5 박태호, "수업의 명료성과 국어 수업 사례" 한국어교육학회 (125) : 163-192, 2008

      6 이화진,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곽영순, "수업 컨설팅 바로 하기-PCK로 들여다 본 수업 이야기" 원미사 2007

      8 곽영순,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멘토링 체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9 조덕주, "반성적 교사 교육:실제와 이론" 학지사 2007

      10 송현정,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59-87, 2009

      1 이화진, "초등 초임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 자료 개발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 전라남도교육연수원, "초등 좋은 수업 연구 교사 직무연수 강사 사전 협의회 자료" 전라남도교육연수원 2009

      3 곽영순,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527-536, 2006

      4 최승현,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89-514, 2008

      5 박태호, "수업의 명료성과 국어 수업 사례" 한국어교육학회 (125) : 163-192, 2008

      6 이화진,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곽영순, "수업 컨설팅 바로 하기-PCK로 들여다 본 수업 이야기" 원미사 2007

      8 곽영순,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멘토링 체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9 조덕주, "반성적 교사 교육:실제와 이론" 학지사 2007

      10 송현정,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59-87, 2009

      11 김혜정, "국어과 수업 평가 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1) : 47-76, 2007

      12 민병곤, "국어 수업 컨설팅 모형 및 매뉴얼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3) : 305-340, 2007

      13 유정애,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체육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4 이경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음악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5 장경숙,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영어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6 최승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7 강대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사회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8 양윤정,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미술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9 정주영, "교원의 퍼실리테이터 수행지원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2 (22): 431-444, 2010

      20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사회과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01-124, 2005

      21 최승현,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Ⅱ)-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2008

      22 곽영순,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592-602, 2008

      23 충청북도단재교육연수원, "가르치는 보람 배우는 즐거움 초등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 직무연수 자료집"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