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기상 중합으로 제조된 PEDOT 박막의 산 처리에 의한 2차 도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711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상중합법(VPP)을 이용하여 제조한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박막의 산 처리에 따른 박막의 화학적 구조 변화 및 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기상중합을 위해 산화제인 iron(III...

      기상중합법(VPP)을 이용하여 제조한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박막의 산 처리에 따른 박막의 화학적 구조 변화 및 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기상중합을 위해 산화제인 iron(III)-p-toluenesulfonate (FTS)의 함량에 따라 PEDOT 박막의 두께를 변화시켜 전도성 박막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황산 처리된 VPP기반 PEDOT 박막은 약 80%의 투과도와 1000 S/cm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보였다. 박막의 X-ray 결정구조(XRD) 및 광전자 스펙트럼(XPS) 분석으로부터, 황산 처리된 VPP 기반 PEDOT 박막의 전도도 향상은 고분자의 결정구조의 변화가 아니라, p-toluenesulfonate로 도핑된 PEDOT 박막이 황산 수용액에 존재하는 HSO₄- 이온의 치환 및 추가 p-도핑 과정을 통한 도핑 수준의 증가에 기인하였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ports the effect of sulfuric acid treatment of vapor phase polymerization (VPP) based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thin film in order to improve electrical property of the conductive film. The transparency of PEDOT film can be...

      This paper reports the effect of sulfuric acid treatment of vapor phase polymerization (VPP) based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thin film in order to improve electrical property of the conductive film. The transparency of PEDOT film can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with changing the content of iron(III)- p-toluenesulfonate (FTS) as an oxidant for VPP. Acid treated VPP based PEDOT thin film showed fairly good transparency (~80%) and electrical conductivity (>1000 S/cm). It is postulated that the conductivity enhancement of the PEDOT film caused by not variation of crystalline structure of PEDOT, but additional p-dopings by HSO₄- ion dissociated from sulfuric acid aqueous solution to PEDOT+ chain from the analysis by X-ray diffractometer (XRD)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서론
      • 실험
      • 결과 및 토론
      • 초록
      • Abstract
      • 서론
      • 실험
      • 결과 및 토론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 J. Heeger, 40 : 2591-, 2001

      2 K. E. Aasmundtveit, 101 : 561-, 1999

      3 Y. Xia, 24 : 2436-, 2012

      4 M. V. Fabretto, 4 : 3998-, 2012

      5 D. A. Mengistie, 6 : 2292-, 2014

      6 N. Kim, 26 : 2109-, 2013

      7 S. Kirchmeyer, 15 : 2077-, 2005

      8 K. E. Aasmundtveit, 129 : 269-, 2002

      9 T. Johansson, 129 : 269-, 2002

      10 L. B. Groenendaal, 12 : 481-, 2000

      1 A. J. Heeger, 40 : 2591-, 2001

      2 K. E. Aasmundtveit, 101 : 561-, 1999

      3 Y. Xia, 24 : 2436-, 2012

      4 M. V. Fabretto, 4 : 3998-, 2012

      5 D. A. Mengistie, 6 : 2292-, 2014

      6 N. Kim, 26 : 2109-, 2013

      7 S. Kirchmeyer, 15 : 2077-, 2005

      8 K. E. Aasmundtveit, 129 : 269-, 2002

      9 T. Johansson, 129 : 269-, 2002

      10 L. B. Groenendaal, 12 : 481-, 2000

      11 M. Lebrini, 253 : 9267-, 2007

      12 N. R. Urban, 63 : 837-, 1999

      13 Y. -H. Ha, 14 : 615-, 2004

      14 J. S. Choi, 159 : 2506-, 2009

      15 B. Winther-Jensen, 37 : 4538-, 2004

      16 J. S. Choi, 46 : 389-, 2010

      17 Y. -H. Han, 212 : 521-, 2011

      18 T. L. Truong, 516 : 6020-, 2008

      19 K. Zuber, 29 : 1503-, 2008

      20 M. Fabretto, 30 : 1846-, 2009

      21 M. -R. Nam, 26 : 599-, 2012

      22 M. Fabretto, 19 : 7871-, 2009

      23 M. G. Han, 16 : 231-, 2004

      24 Y. Wang, 152 : 012023-, 2009

      25 M. G. Han, 2 : 1164-, 2006

      26 W. Lovenich, 56 : 135-, 2014

      27 A. Gadisa, 156 : 1102-, 2006

      28 P. A. Levermore, 19 : 2379-, 2007

      29 J. -Y. Kim, 38 : 810-, 2007

      30 N. Berube, 46 : 6873-, 2013

      31 T. Y. Kim, 55 : 80-, 2006

      32 J. Y. Kim, 126 : 311-, 2002

      33 J. Quyang, 45 : 8443-, 2004

      34 M. Dobbelin, 19 : 2147-, 2007

      35 J. Ouyang, 5 : 13082-, 2013

      36 J. E. McCarthy, 2 : 764-, 2014

      37 B. Cho, 14 : 3321-, 2014

      38 M. A. Ali, 161 : 1347-, 2011

      39 M. A. Khan, 16 : 4171-, 2000

      40 T. Y. Kim, 149 : 169-, 2005

      41 S. K. M. Jonsson, 107 : 10793-, 2003

      42 S. A. Spanninga, 113 : 5585-, 2009

      43 고영수, "동시-기상중합법을 이용한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EDOT)-TiO2 하이브리드 박막 제조" 한국고분자학회 38 (38): 525-529, 2014

      44 한용현, "기상중합법을 이용한 Polypyrrole(PPy) 필름의 전기적/광학적 특성 및 미세패턴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고분자학회 34 (34): 450-453, 2010

      45 F. Jonas, "U.S.Patent 5,300,575"

      46 백지웅, "Fabrication of Conducting PEDOT Nanotubes Using Vapor Deposition Polymerization" 한국고분자학회 19 (19): 33-37, 2011

      47 N. N. Greenwood, "Chemistry of the Elements" Butterworth-Heinemann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2-06-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POLYMER(KOREA)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4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40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