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데이케어센터의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질문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54138
서울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 2024. 2
2024
한국어
서울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orkers in daycare centers
iv, 123 p. : 삽화, 도표 ; 26 cm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연정
참고문헌수록
I804:11052-00000024076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데이케어센터의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질문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
본 연구는 데이케어센터의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질문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의 종사자 처우경험은 어떠한가?', '미인증기관 종사자 처우경험은 어떠한가?'로 설정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복지사가 실천현장에서 경험하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위치한 데이케어센터에 재직 중인 3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사회복지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 미인증기관에 재직하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으로 구분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연구 참여자의 상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인증기관의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 처우경험은 7개의 인터뷰 영역, 7개의 본질적 주제, 15개의 드러난 주제, 46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고, 미인증기관의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 처우경험은 7개의 인터뷰 영역, 7개의 본질적 주제, 14개의 드러난 주제, 41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와 드러난 주제를 토대로 데이케어센터의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분하여 [장기요양 제도적 측면], [미인증기관의 처우경험: 시장화의 문제], [인증기관의 처우경험: 차별화된 처우지원의 측면]으로 연구결과를 일반적으로 기술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장기요양제도의 시장화로 인해 가치절하된 돌봄의 모습과 현장의 낮은 처우와 근로환경의 경험을 파악하였다.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 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이 미인증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보다 더욱 풍부하고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연구 참여자의 목소리를 통해 실천현장에서 희망하는 처우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장기요양제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제도의 문제를 비판하고 개선사항을 제언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daycare centers and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its impli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explore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daycare centers and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its impli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explore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institutions regarding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regarding their working conditions?".were A phenomenological study based on Giorgi's approach was employed Six social workers who have been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Seoul more than three years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indings were presented based on whether the participant work in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institutions or non-certified institutions.
For the social workers in certified institutions, their experience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resulted in seven interview domains, seven essential themes, 15 emergent themes, and 46 units of meaning. For the social workers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their experience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resulted in seven interview domains, seven essential themes, 14 emergent themes, and 41 units of meaning.
Based on the essential and emergent them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daycare centers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in terms of [long-term care system], [issues of marketization for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 and [differentiated support in working conditions for social workers in certified institutions] This research portrayed the devalued appraisal of care work due to the marketization of long-term care and the experiences of poor working conditions in the field. It showed that the work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certified institutions, such as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institutions, were more positive compared to those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This research has some implications by critically analyzing the long-term care system and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system,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providing some suggestions for a better working condition through the voices of research participan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