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상자산거래의 금융소비자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Measures realated to Virtual Asset Trance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7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came into effect on March 25, 2021 by integrating regulations related to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that were individually stipulated. The gap in regulation was minimized by classifying financial instruments into four categories and ensuring that the same legal relationship and responsibility were applied to the same financial instrument. If the tentatively named 「Basic Act on the Virtual Private Industry」 is enacted, Bitcoin will be classified as a type of investment product under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ix major sales regulations under the Financial Consumer Act related to virtual asset transactions was reviewed, focusing on the need to apply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based on Bitcoin.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and adequacy is meaningful in providing suitable or appropriate financial products to consumers in light of the financial consumer's property situation when financial companies, etc. recommend financial products or financial consumers voluntarily purchase financial products. The duty of explanation is meaningful for consumers to support correct purchase decisions by explaining and confirming important matters such as product details, investment risks, and loss when financial companies recommend financial products or consumers request explanations. Post-mortem rights and interests relief measures for financial consumers due to virtual asset transactions include the obligation to record, maintain, and manage contracts, withdrawal of subscriptions and termination of violations, dispute settlement, and liability for damages.
      As most virtual asset transactions are conducted online and new types of virtual assets are continuously listed, consumer damage cases such as hacking into virtual asset exchanges, bankruptcy of virtual self-employed people, and frequent delisting of virtual assets are also reported.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s will help the rapid application of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on virtual asset transa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assets and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nefits.
      번역하기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came into effect on March 25, 2021 by integrating regulations related to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that were individually stipulated. The gap in regulation was minimized by classifying financial instruments in...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came into effect on March 25, 2021 by integrating regulations related to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that were individually stipulated. The gap in regulation was minimized by classifying financial instruments into four categories and ensuring that the same legal relationship and responsibility were applied to the same financial instrument. If the tentatively named 「Basic Act on the Virtual Private Industry」 is enacted, Bitcoin will be classified as a type of investment product under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ix major sales regulations under the Financial Consumer Act related to virtual asset transactions was reviewed, focusing on the need to apply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based on Bitcoin.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and adequacy is meaningful in providing suitable or appropriate financial products to consumers in light of the financial consumer's property situation when financial companies, etc. recommend financial products or financial consumers voluntarily purchase financial products. The duty of explanation is meaningful for consumers to support correct purchase decisions by explaining and confirming important matters such as product details, investment risks, and loss when financial companies recommend financial products or consumers request explanations. Post-mortem rights and interests relief measures for financial consumers due to virtual asset transactions include the obligation to record, maintain, and manage contracts, withdrawal of subscriptions and termination of violations, dispute settlement, and liability for damages.
      As most virtual asset transactions are conducted online and new types of virtual assets are continuously listed, consumer damage cases such as hacking into virtual asset exchanges, bankruptcy of virtual self-employed people, and frequent delisting of virtual assets are also reported.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s will help the rapid application of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on virtual asset transa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assets and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nefi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상훈, "「특정금융정보법」상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시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요건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원 32 (32): 77-112, 2022

      2 지무현 ; 김태영 ; 김호, "테러수단으로서 가상자산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법적·제도적 개선방향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18 (18): 221-240, 2021

      3 고동원, "탈중앙화금융(Decentralized Finance: DeFi)의 진전과 불공정거래의 규제 방향" 한국증권법학회 23 (23): 143-181, 2022

      4 권혁준 ; 임민수 ; 김협, "탈중앙화 가상자산거래소(DEX)의 성장 가능성 및 한계점 -중국 가상자산 규제 및 특정금융정보법 발효를 중심으로-" 한국지급결제학회 13 (13): 1-18, 2021

      5 박선종, "증권형 가상자산의 투자자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51 : 161-185, 2021

      6 김기욱, "암호화폐 거래소에서의 자금세탁방지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보호대학원 2019

      7 강영기, "암호자산 관련 법적 쟁점과 암호자산의향후 전망에 대한 소고-최근 일본의 법제도정비 내용을 중심으로-" 은행법학회 12 (12): 63-96, 2019

      8 구형건,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2 (2): 2021

      9 전인태, "블록체인 산업 발전을 위한 가상자산거래소 시스템 구축 방안" 2 (2): 2021

      10 표춘미, "블록체인 기반 가상통화(토큰)의 관리방안 사례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95) : 65-91, 2021

      1 신상훈, "「특정금융정보법」상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시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요건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원 32 (32): 77-112, 2022

      2 지무현 ; 김태영 ; 김호, "테러수단으로서 가상자산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법적·제도적 개선방향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18 (18): 221-240, 2021

      3 고동원, "탈중앙화금융(Decentralized Finance: DeFi)의 진전과 불공정거래의 규제 방향" 한국증권법학회 23 (23): 143-181, 2022

      4 권혁준 ; 임민수 ; 김협, "탈중앙화 가상자산거래소(DEX)의 성장 가능성 및 한계점 -중국 가상자산 규제 및 특정금융정보법 발효를 중심으로-" 한국지급결제학회 13 (13): 1-18, 2021

      5 박선종, "증권형 가상자산의 투자자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51 : 161-185, 2021

      6 김기욱, "암호화폐 거래소에서의 자금세탁방지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보호대학원 2019

      7 강영기, "암호자산 관련 법적 쟁점과 암호자산의향후 전망에 대한 소고-최근 일본의 법제도정비 내용을 중심으로-" 은행법학회 12 (12): 63-96, 2019

      8 구형건,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2 (2): 2021

      9 전인태, "블록체인 산업 발전을 위한 가상자산거래소 시스템 구축 방안" 2 (2): 2021

      10 표춘미, "블록체인 기반 가상통화(토큰)의 관리방안 사례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95) : 65-91, 2021

      11 김유림, "법률학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12 김병연, "미국의 가상자산규제와 수탁관리기관의 법적 지위" 사단법인 한국신탁학회 4 (4): 1-27, 2022

      13 김승래, "메타버스시대의 가상자산에 대한 채권추심과 강제집행방안" 한국채무자회생법학회 (23) : 177-221, 2021

      14 전우정, "맑고 투명한 디지털자산 시장 조성에 관한 연구" 법조협회 71 (71): 213-262, 2022

      15 김상진, "디지털화와 블록체인이 가져올 결제제도의 장래와 가상통화의 미래"

      16 박웅신, "독일의 암호자산 및 ICO의 감독에 관한 법적 규제" 한국지급결제학회 12 (12): 23-54, 2020

      17 최창열, "금융투자 자산으로서 가상화폐 규제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20 (20): 113-128, 2019

      18 천창민,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규제 흐름과 감독기구의 역할에 대한 연구 - 유럽 암호자산시장규정(MiCAR)안을 중심으로 -" 한국금융법학회 18 (18): 47-104, 2021

      19 박세준, "개정된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의 한계와 가상자산사업 업권법 제정에 관한 논의" 법학연구소 (50) : 129-164, 2021

      20 김홍기, "가상화폐의 본질과 가상자산시장의 규제방안" 한국상사법학회 41 (41): 1-50, 2022

      21 최단비, "가상화폐의 법적성격 및 거래소 이용자의 권리 구제방안" 한국법학회 20 (20): 597-618, 2020

      22 최민준, "가상화폐의 금전성 - 대법원 2019도1462 판결(원심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노2816 판결)에 대한 판례 평석 -" 대검찰청 (72) : 290-321, 2021

      23 이제원, "가상통화의 적정 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18

      24 이나래, "가상통화의 법적 성격에 대한 연구 – 가상통화 보유자가 가지는 권리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25 김배정, "가상통화의 발전방향에 관한 법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26 유주선 ; 강현구, "가상통화에 대한 입법적 방안과 법적 쟁점 연구" 한국금융법학회 15 (15): 213-243, 2018

      27 최인석, "가상통화 이용위험에 대한 규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8

      28 배승욱, "가상통화 법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8

      29 이상훈, "가상통화 거래의 국제법적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지급결제학회 13 (13): 217-249, 2021

      30 이효섭, "가상자산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2 (2): 2021

      31 유양욱, "가상자산의 유형별 규제방식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원 (105) : 33-80, 2022

      32 이은주, "가상자산의 역외적용-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3 (63): 239-269, 2022

      33 이주현 ; 권한용, "가상자산의 법적 지위와 피해구제에 관한 법적 연구" 동북아법연구소 15 (15): 413-449, 2022

      34 김병연 ; 권오훈, "가상자산의 법적 성질 - 미국과 한국의 증권규제를 중심으로 -" 한국상사판례학회 34 (34): 361-422, 2021

      35 신정순 ; 최서연 ; 한영아 ; 최한나 ; 임예진, "가상자산의 가격 형성 요인: 감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재무관리학회 39 (39): 1-20, 2022

      36 맹수석, "가상자산에 대한 제도 개선 방안의 검토 -비트코인 등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가상자산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21 (21): 151-180, 2021

      37 김지동, "가상자산에 관한 개정 특정금융정보법에 대한 검토" (102) : 2020

      38 전인태, "가상자산소비자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상자산거래소의 ESG 경영 연구" 2 (2): 2021

      39 정유석, "가상자산소득 신설과 기타소득 유형 과세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한국세무회계학회 (69) : 21-44, 2021

      40 홍준호,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에 관한 법제도 분석 및 규제 개선 방안 연구 -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10 (10): 55-75, 2022

      41 김양지, "가상자산과 NFT의 입법방안에 대한 소고-투자자산성을 중심으로-" 13 (13): 2021

      42 김범준 ; 이채율, "가상자산거래소에 대한 최근의 규제 동향과 개선과제-이용자 보호의 측면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2 (22): 13-47, 2021

      43 김선광, "가상자산거래 실명제에 관한 고찰 - 헌법재판소 2021.11.25. 선고 2017헌마1384 결정을 중심으로 -" 한국지급결제학회 13 (13): 195-215, 2021

      44 김지현, "가상자산 자금세탁방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급결제학회 13 (13): 251-269, 2021

      45 송화윤, "가상자산 시장의 자율규제 활성화를 위한 법적 연구―불공정거래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22 (22): 183-210, 2021

      46 송화윤, "가상자산 시장 불공정거래 규제에 관한 법적 연구" 은행법학회 13 (13): 323-363, 2020

      47 정지열 ; 강형구, "가상자산 사업자(VASPs)의 가상자산 거래 시 송금 규정(Travel Rule) 준수를 위한 방법론 연구 FATF,s Interpretative Note to Recommendation 15, Paragraph 7(b) 대응 中心" 한국법경제학회 17 (17): 331-352, 2020

      48 유지연, "가상자산 범죄에 있어서 자산 동결 제도 도입 제안" 대검찰청 (75) : 88-116, 2022

      49 삼정 KPMG, "가상자산 금융 생태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삼정KPMG 경제연구원 2022

      50 김동환, "가상자산 규제의 실효성에 관한 일고" 30 (30): 2021

      51 박웅신, "가상자산 규제의 방향성에 대한 검토" 한국지급결제학회 13 (13): 309-336, 2021

      52 이순호, "가상자산 규제감독방향" 30 (30): 2021

      53 이채율, "가상자산 관련 법제의 개선을 통한 금융투자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54 권지혜, "가상자산 거래의 법제화와 착오이체의 법적판단에 관한 시론(試論) – 대법원 2021.12.16. 선고 2020도9789 판결을 대상으로 -" 부설법학연구소 68 : 087-107, 2022

      55 기노성, "가상자산 거래의 법적 쟁점과 규제 방안 - 시장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금융법학회 17 (17): 67-96, 2020

      56 천창민, "가상자산 거래의 물권법적 측면에 관한 연구 - UNIDROIT의 디지털자산 프로젝트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3 (63): 43-90, 2022

      57 송화윤, "NFT 규제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증권형 및 가상자산형 NFT를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23 (23): 251-286, 2022

      58 박영윤, "EU의 가상자산 규제 체계 및 시사점" 한국금융법학회 19 (19): 121-169,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