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당 중심의 국회 상임위원회 = The Partisan Nature of Standing Committees A Critical Review of Committee Assignment Theories, and Empirical Evidence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4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국회 상임위원회 구성이 어떠한 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지는지는 미국 의회를 대상으로 개발된 이익분배이론, 정보확산이론, 정당이익이론에 의거하여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기...

      지금까지 국회 상임위원회 구성이 어떠한 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지는지는 미국 의회를 대상으로 개발된 이익분배이론, 정보확산이론, 정당이익이론에 의거하여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각각의 이론이 한국의 현실과 얼마나 부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검토과정을 생략한 채 이를 적용하여 한국 국회의 상임위 구성을 설명하고자 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이 연구는 상임위 구성에 대한 미국의 세 가지 이론들을 한국의 현실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어떤 이론이 한국의 상임위 구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적합한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이익분배이론과 정보확산이론은 국회의 상임위 구성을 설명하기에 많은 한계가 있다는점을 밝힌다. 그리고 국회 상임위 구성이 정당의 이익을 반영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제18대와 제19대 국회를 대상으로 새로운 데이터와 새로운 가설에 따라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이 연구는 대부분의 상임위원회 위원은 같은 당 소속 다른 의원들과 이념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차이를 보인다 하더라도 거의 정당의 이념적 방향과 일치하고, 또한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정당의 이념적 성향이 더 정확히 반영된 상임위 구성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analyze what principles are mainly used for assigning the standing committees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KNA), existing studies have employed the theories developed for the U.S. Congress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of how applicable each th...

      To analyze what principles are mainly used for assigning the standing committees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KNA), existing studies have employed the theories developed for the U.S. Congress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of how applicable each theory is to the reality of the KNA. Critically reviewing the three competing theories regarding committee assignments (distributive, informational and partisan theories), this paper shows that both the distributive and the informational theories are not suitable to explain the standing committee assignment in the KNA. Then,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some hypotheses derived from the partisan theory by employing legislators’ ideal point estimates based on the roll-call vote records in the 18th and 19th KNA’s. This finds that (1) most members are not ideologically different from other members of their own parties, (2) even if some of them show ideological differences, they are in line with the ideological direction of their own parties, and (3) the standing committees are assigned to reflect each party’s ideological orientation more accurately in the second half than in the first ha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I. 서론
      • II. 미국 의회 상임위원회 구성에 관한 세 가지 이론
      • III. 정당 중심의 국회 상임위원회 구성
      • IV. 경험적 분석
      • 논문요약
      • I. 서론
      • II. 미국 의회 상임위원회 구성에 관한 세 가지 이론
      • III. 정당 중심의 국회 상임위원회 구성
      • IV. 경험적 분석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