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우리사회에서 통일인식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어온 세대차, 이념, 지지정당, 민족적 유대감, 편익 계산 등의 다섯 요인이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75317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4-112(29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우리사회에서 통일인식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어온 세대차, 이념, 지지정당, 민족적 유대감, 편익 계산 등의 다섯 요인이 통...
본 논문은 우리사회에서 통일인식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어온 세대차, 이념, 지지정당, 민족적 유대감, 편익 계산 등의 다섯 요인이 통일의 당위성, 통일 예상시기, 통일비용 부담, 통일세 신설, 통일 후 빈부격차 등과 같은 통일 관련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다. 본 연구진이 실시한 2015 SBS-EAI 통일한국 설문조사 자료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최근 편익계산에 기초한 합리주의적 요인이 남한주민의 통일인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등장하였음을 밝힌다. 특히, 민족적 동질성에 기초한 당위론적 사고가 강했던 기성세대와 달리,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편익 계산에 기초한 합리주의적 관점에서 통일을 바라보는 시각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what explains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unification among South Koreans. From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we derive five major independent variables: generational differences, ideology, party identity, national connectio...
This article examines what explains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unification among South Koreans. From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we derive five major independent variables: generational differences, ideology, party identity, national connection with North Korea, and cost-benefit calculations. Based on regression analyses of the survey which we conducted, we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five variables on the perceptions of South Koreans regarding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expected timing of unification, willingness to bear unification costs, unification taxes, and gap between rich and poor after unification. The main finding of our research is that the cost-benefit calculation is the dominant factor that explains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South Koreans about unification. Specifically, such a trend is very strong among young people who tend to view the issue of unification from a cost-benefit angle, unlike older generations that have long approached the same issue from the viewpoint of a national connection with North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희, "한반도통일" 늘품플러스 2013
2 김병조, "한국인의 통일인식 2008~2015: 세대별 격차와 세대내 분화" 통일평화연구원 7 (7): 3-41, 2015
3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2 (22): 167-206, 2014
4 이내영, "한국인, 우리는누구인가? 여론조사를통해본한국인의정체성" 동아시아연구원 2011
5 김정선, "한국여성의한국문화관과통일의식" (12) : 105-146, 1995
6 김병연, "포커스: 통일대박논의의경제적검토" (80) : 4-8, 2014
7 백대현, "통일의식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통일편익과 비용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205-223, 2015
8 김창수, "통일대박론과 분단체제 변혁의 길" 42 (42): 382-395, 2014
9 박상익, "통일대박담론’의구상과한계" 8 (8): 23-52, 2014
10 변종헌, "청소년의 통일의식과 학교 통일교육의 진화" 한국윤리교육학회 (29) : 165-186, 2012
1 박종희, "한반도통일" 늘품플러스 2013
2 김병조, "한국인의 통일인식 2008~2015: 세대별 격차와 세대내 분화" 통일평화연구원 7 (7): 3-41, 2015
3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2 (22): 167-206, 2014
4 이내영, "한국인, 우리는누구인가? 여론조사를통해본한국인의정체성" 동아시아연구원 2011
5 김정선, "한국여성의한국문화관과통일의식" (12) : 105-146, 1995
6 김병연, "포커스: 통일대박논의의경제적검토" (80) : 4-8, 2014
7 백대현, "통일의식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통일편익과 비용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205-223, 2015
8 김창수, "통일대박론과 분단체제 변혁의 길" 42 (42): 382-395, 2014
9 박상익, "통일대박담론’의구상과한계" 8 (8): 23-52, 2014
10 변종헌, "청소년의 통일의식과 학교 통일교육의 진화" 한국윤리교육학회 (29) : 165-186, 2012
11 정주용, "참여지형에 따른 정보흐름의 변화가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유치사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4 (14): 43-81, 2008
12 이용화, "지속가능성장을위한: VIP 리포트; 통일에대한인식및필요성높아졌다- 통일의식에대한일반국민, 전문가여론조사- 4/4분기한반도평화지수, “긴장고조상태”지속" 548 : 1-23, 2013
13 송태민, "소셜빅데이터를활용한국민통일인식동향분석" 1-8, 2015
14 정은미, "북한주민의 통일의식과 남한사회의 수용성" 평화문제연구소 24 (24): 221-254, 2012
15 장민수, "북한 주민에 대한 상충적 태도와 적극적 통일인식에의 영향: 순차적로짓분석과 이분산프로빗분석의 적용"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4 (24): 111-140, 2015
16 정은미, "남북한주민들의통일의식 변화: 2011-2013년설문조사분석을중심으로" 5 (5): 74-104, 2013
17 김병로,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40 (40): 101-139, 2012
18 조진만, "남북한 젊은 세대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민족적 당위와 현실적 이익의 문제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6 (26): 149-177, 2014
19 권영승, "글로벌・다문화사회의통일의식: N세대대학생을중심으로" 1 (1): 1-38, 2011
20 변종헌, "20대 통일의식과 대학 통일교육의 과제" 통일연구원 21 (21): 157-186, 2012
21 박명규, "2014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201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 ![]()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6 | 1.013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