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지역 고려시대의 문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28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과 사원]은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 국왕의 순행, 불교사원을 다루었다. 고려시대에 서해도 지역은 한 때 關內道로 불리고 해주가 右神策軍․右輔로 불렸을 만큼 개경․경기와 밀접한 공간이었다. 이 지역의 중심은 해주와 황주였는데 황주는 목이었고, 해주는 안서도호부→안서대도호부→해주목의 변천 과정을 밟았다. 서해도는 개경과 서경 사이에 끼여 金郊道와 岊嶺道가 교차하며 개경-금교-평주-절령-황주-서경으로 이어졌다. 절령은 황주 일대와 더불어 개경․서해도와 서경․서북면의 경계선이고 전략선이었다. 서해 연안의 풍주와 옹진은 대륙과의 교통․무역로였다. 서해도의 물자는 개경을 위해서 쓰이기도 했고, 권력자나 왕에게 수탈당하기도 했으며, 서해도 사람들은 개경의 공사와 행사에 동원되곤 했다. 서해도는 개경에 인접했기에 그 토지가 왕족과 권력자에게 점유당하는 일이 종종 발생했고 평주를 중심으로 거주지 내지 별장지로 인기가 많았다. 서해도는 고려전기에는 서경과 남경에 버금가는 국왕의 순행지였고 고려말기에는 서경과 남경을 뛰어넘는 국왕의 순행지였다. 이 지역에서도 해주가 주된 순행지였는데 나한신앙의 중심지인 신광사가 해주에 위치한 점이 많이 작용했다. 延基의 땅으로 백주 兎山이 떠올라 의종 때 중흥궐이 창건되어 의종이 행차했다. 원간섭기를 거치면서 서해도로의 행차 고을과 빈도는 더욱 늘어나 평양․한양 행차를 능가해 그것을 대체할 정도였다. 국왕의 서해도 순행이 고려 전기는 민생․국토를 돌아보고 불교성지를 순례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말기는 그보다 사냥, 휴양, 유희의 측면이 강했다. 서해도 지역의 사원으로는 해주의 북숭산 신광사(숭산사)와 수미산 광조사, 동주(서흥)의 성수사, 백주의 견주사․반야사․등암사, 절령의 미륵원 내지 나한당 등이 대표적이었다. 신광사는 오백나한 도량으로서 나한신앙의 중심지였고, 광조사는 선종 9산의 하나였다. 견불사는 화엄사찰이면서 인예태후와 의천의 천태종 개창에 기여했고, 반야사와 등암사는 충숙왕의 주요 행차지였다. 미륵원(자비사)은 미륵도량으로서, 나한전은 나한도량으로서 절령을 넘는 여행객에게 편의를 제공했다.
      [고려 서북면의 사원과 불교신앙]은 고려 서북면 북부지역의 사원과 불교신앙을 조명했다. 고려시대 서북면의 북부지역은 군사적인 요충지라서 요새들이 건축되었다. 이 지역 사원들은 압록강의 진강사, 안북도호부 혹은 延州의 진북영화사, 선주(통주)의 신중사에 보이듯이 외적을 진압하기 위한 호국도량의 성격이 강했다. 延州의 보현사와 약산사도 그러했으리라 생각되었다. 고려시대는 보현보살이 승려는 물론 일반인에게 널리 숭배되었으며, 보현보살이 중심을 이루는 화엄경의 보현행원품과 법화경의 보현보살권발품이 인기를 끌었다. 보현보살은 화엄경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존재이지만 종파를 초월해서 신앙되었다. 보현신앙은 종파의 화합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고 불교가 대중에게 좀 더 깊숙이 다가가는 촉매로 작용했다. 하지만 보현신앙은 고려말로 가면서 화엄종의 쇠퇴와 더불어 약화되어 갔다. 延州의 묘향산은 고려시대 이래 보현보살의 住處로 인식된 신성한 공간이었다. 이곳의 화엄사찰 보현사는 고려 현종 때 혹은 靖宗 때 창건되어 번창해 나갔다. 이는 보현사 승려들
      번역하기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과 사원]은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 국왕의 순행, 불교사원을 다루었다. 고려시대에 서해도 지역은 한 때 關內道로 불리고 해주가 右神策軍․右輔로 ...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과 사원]은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 국왕의 순행, 불교사원을 다루었다. 고려시대에 서해도 지역은 한 때 關內道로 불리고 해주가 右神策軍․右輔로 불렸을 만큼 개경․경기와 밀접한 공간이었다. 이 지역의 중심은 해주와 황주였는데 황주는 목이었고, 해주는 안서도호부→안서대도호부→해주목의 변천 과정을 밟았다. 서해도는 개경과 서경 사이에 끼여 金郊道와 岊嶺道가 교차하며 개경-금교-평주-절령-황주-서경으로 이어졌다. 절령은 황주 일대와 더불어 개경․서해도와 서경․서북면의 경계선이고 전략선이었다. 서해 연안의 풍주와 옹진은 대륙과의 교통․무역로였다. 서해도의 물자는 개경을 위해서 쓰이기도 했고, 권력자나 왕에게 수탈당하기도 했으며, 서해도 사람들은 개경의 공사와 행사에 동원되곤 했다. 서해도는 개경에 인접했기에 그 토지가 왕족과 권력자에게 점유당하는 일이 종종 발생했고 평주를 중심으로 거주지 내지 별장지로 인기가 많았다. 서해도는 고려전기에는 서경과 남경에 버금가는 국왕의 순행지였고 고려말기에는 서경과 남경을 뛰어넘는 국왕의 순행지였다. 이 지역에서도 해주가 주된 순행지였는데 나한신앙의 중심지인 신광사가 해주에 위치한 점이 많이 작용했다. 延基의 땅으로 백주 兎山이 떠올라 의종 때 중흥궐이 창건되어 의종이 행차했다. 원간섭기를 거치면서 서해도로의 행차 고을과 빈도는 더욱 늘어나 평양․한양 행차를 능가해 그것을 대체할 정도였다. 국왕의 서해도 순행이 고려 전기는 민생․국토를 돌아보고 불교성지를 순례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말기는 그보다 사냥, 휴양, 유희의 측면이 강했다. 서해도 지역의 사원으로는 해주의 북숭산 신광사(숭산사)와 수미산 광조사, 동주(서흥)의 성수사, 백주의 견주사․반야사․등암사, 절령의 미륵원 내지 나한당 등이 대표적이었다. 신광사는 오백나한 도량으로서 나한신앙의 중심지였고, 광조사는 선종 9산의 하나였다. 견불사는 화엄사찰이면서 인예태후와 의천의 천태종 개창에 기여했고, 반야사와 등암사는 충숙왕의 주요 행차지였다. 미륵원(자비사)은 미륵도량으로서, 나한전은 나한도량으로서 절령을 넘는 여행객에게 편의를 제공했다.
      [고려 서북면의 사원과 불교신앙]은 고려 서북면 북부지역의 사원과 불교신앙을 조명했다. 고려시대 서북면의 북부지역은 군사적인 요충지라서 요새들이 건축되었다. 이 지역 사원들은 압록강의 진강사, 안북도호부 혹은 延州의 진북영화사, 선주(통주)의 신중사에 보이듯이 외적을 진압하기 위한 호국도량의 성격이 강했다. 延州의 보현사와 약산사도 그러했으리라 생각되었다. 고려시대는 보현보살이 승려는 물론 일반인에게 널리 숭배되었으며, 보현보살이 중심을 이루는 화엄경의 보현행원품과 법화경의 보현보살권발품이 인기를 끌었다. 보현보살은 화엄경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존재이지만 종파를 초월해서 신앙되었다. 보현신앙은 종파의 화합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고 불교가 대중에게 좀 더 깊숙이 다가가는 촉매로 작용했다. 하지만 보현신앙은 고려말로 가면서 화엄종의 쇠퇴와 더불어 약화되어 갔다. 延州의 묘향산은 고려시대 이래 보현보살의 住處로 인식된 신성한 공간이었다. 이곳의 화엄사찰 보현사는 고려 현종 때 혹은 靖宗 때 창건되어 번창해 나갔다. 이는 보현사 승려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sition and Buddhist Temples of Seohaedo Area in Koryeo : This study is about the position of Seohaedo area, King's patrolling, Buddhist temples during the Koryeo Dynasty. The Seohaedo area of Koryeo was closely connected with Gaekyeong and Gyeonggi. Haeju and Hwangju were the center of the area. Seohaedo was the place where the roads of Geumgyo and Jeolnyeong intersected between Gaegyeong and Seogyeong. The goods of Seohaedo were often used for Gaegyeong or were plundered by men of power and its lands were often occupied to be very popular as a residence or villa. Seohaedo was the kings' patrolling place next to Seogyeong and Namgyeong in the early years of Koryeo and beyond Seogyeong and Namgyeong at the end of Koryeo. Haeju was the kings' favorite patrolling place. While the kings' visit to Seohaedo focused on supervising problems concerning public welfare, looking around the territory, and making a pilgrimage to Buddhism fortress in the early Koryeo; instead it was done for hunting, leisure, and amusement at the end of Koryeo. In Seohaedo there were so many Buddhist temples related to the King, the royal family and Gaegyeong. Model temples were Shingwang-sa of Buksung mountain, Gwangjo-sa of Sumi mountain, seongsu-sa in Dongju and Gyeonju-sa in Begju, Shingwang-sa was the center of Nahan belief.
      Buddhist Temples and Buddhism in the Northwest Area of Koryeo : In Koryeo Samanthabhadra Bodhisattva was widely admired by people as well as Buddhist monks. He was admired, paired up with Manjusri Bodhisattva. In late Koryeo Manjusri became more popular, while Samanthabhadra got less popular. Samanthabhadra was believed by people beyond Buddhist sects. He played a role in stimulating the harmony of sects as the catalyst that made Buddhism more popular to people. The north area of the northwest of Koryeo was a strategically significant place for the national defense. The temples of this region assumed a strong character of defeating the foreign enemy. Myohyang Mountain of Yeongju was the holy space which was recognized as the shelter of Samanthabhadra since Koryeo. Bohyeon Temple on Myohyang Mountain,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or King Jeongjong. The central government needed the help of Bohyeon Temple to rule the northwestern region effectively, while Bohyeon Temple needed its help to be prosperous. Thus the central government supported Bohyeon Temple, and Yeongju and Bohyeon Temple backed it up positively. Bohyun Temple became more prosperous with the effort of its own monks and the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late Koryeo the relationship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Bohyeon Temple was loose, Zen Buddhism of Naong became powerful with Yunpil Temple and Anshim Temple on Myohyang Mountain. A great monk, Naong who was admired by the public had an influence on Bohyeon Temple beyond sects.
      번역하기

      The Position and Buddhist Temples of Seohaedo Area in Koryeo : This study is about the position of Seohaedo area, King's patrolling, Buddhist temples during the Koryeo Dynasty. The Seohaedo area of Koryeo was closely connected with Gaekyeong and Gye...

      The Position and Buddhist Temples of Seohaedo Area in Koryeo : This study is about the position of Seohaedo area, King's patrolling, Buddhist temples during the Koryeo Dynasty. The Seohaedo area of Koryeo was closely connected with Gaekyeong and Gyeonggi. Haeju and Hwangju were the center of the area. Seohaedo was the place where the roads of Geumgyo and Jeolnyeong intersected between Gaegyeong and Seogyeong. The goods of Seohaedo were often used for Gaegyeong or were plundered by men of power and its lands were often occupied to be very popular as a residence or villa. Seohaedo was the kings' patrolling place next to Seogyeong and Namgyeong in the early years of Koryeo and beyond Seogyeong and Namgyeong at the end of Koryeo. Haeju was the kings' favorite patrolling place. While the kings' visit to Seohaedo focused on supervising problems concerning public welfare, looking around the territory, and making a pilgrimage to Buddhism fortress in the early Koryeo; instead it was done for hunting, leisure, and amusement at the end of Koryeo. In Seohaedo there were so many Buddhist temples related to the King, the royal family and Gaegyeong. Model temples were Shingwang-sa of Buksung mountain, Gwangjo-sa of Sumi mountain, seongsu-sa in Dongju and Gyeonju-sa in Begju, Shingwang-sa was the center of Nahan belief.
      Buddhist Temples and Buddhism in the Northwest Area of Koryeo : In Koryeo Samanthabhadra Bodhisattva was widely admired by people as well as Buddhist monks. He was admired, paired up with Manjusri Bodhisattva. In late Koryeo Manjusri became more popular, while Samanthabhadra got less popular. Samanthabhadra was believed by people beyond Buddhist sects. He played a role in stimulating the harmony of sects as the catalyst that made Buddhism more popular to people. The north area of the northwest of Koryeo was a strategically significant place for the national defense. The temples of this region assumed a strong character of defeating the foreign enemy. Myohyang Mountain of Yeongju was the holy space which was recognized as the shelter of Samanthabhadra since Koryeo. Bohyeon Temple on Myohyang Mountain,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or King Jeongjong. The central government needed the help of Bohyeon Temple to rule the northwestern region effectively, while Bohyeon Temple needed its help to be prosperous. Thus the central government supported Bohyeon Temple, and Yeongju and Bohyeon Temple backed it up positively. Bohyun Temple became more prosperous with the effort of its own monks and the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late Koryeo the relationship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Bohyeon Temple was loose, Zen Buddhism of Naong became powerful with Yunpil Temple and Anshim Temple on Myohyang Mountain. A great monk, Naong who was admired by the public had an influence on Bohyeon Temple beyond sec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