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세부 > ○ 권장소비기한 설정을 위한 연차별(2022-2025년) 계획 수립 - 권장소비기한 설정을 위해 학계, 산업계 및 소비자단체가 참여하는 의견수렴 채널 구축 및 의견 수렴 등을 통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 1 세부 > ○ 권장소비기한 설정을 위한 연차별(2022-2025년) 계획 수립 - 권장소비기한 설정을 위해 학계, 산업계 및 소비자단체가 참여하는 의견수렴 채널 구축 및 의견 수렴 등을 통한 ...
< 1 세부 >
○ 권장소비기한 설정을 위한 연차별(2022-2025년) 계획 수립
- 권장소비기한 설정을 위해 학계, 산업계 및 소비자단체가 참여하는 의견수렴 채널 구축 및 의견 수렴 등을 통한 연차별 계획 수립
- 연차별 권장소비기한 설정 대상 50개 식품유형(유통기한 6개월 미만의 권장유통기한 설정 식품(21개), 김치류 등 다소비 식품(13개), 영유아용 이유식 등 어린이 기호식품(4개), 업계요청사항(12개) 등) 선정
○ 식품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권장소비기한 설정 대상품목 선정
- 시중 유통 가공식품의 특성(제품형태, 살균여부, 보관온도 등)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소비가 많은 품목(선정 유형별1종∼10종)선정
○ 과학적 소비기한 설정실험을 따른 ‘품질안전한계기간’ 도출
- 대상 유형별 선정된 품목에 대한 과학적 설정실험을 통한 “품질안전한계기간” 도출
- 제품의 특성(pH, 수분활성도 등)과 유통조건 또는 과정(상온, 냉장)을 고려하여 관능검사, 미생물·이화학·물리적 지표(세균수, 유산균수, 대장균(군), 식중독균 등 미생물 검사, 수분·산도·VBN·산가 등 화학적 검사 및 관능검사)의 측정 등 시험검사 수행
- 품목별 제품 특성을 고려하여 품질이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품질안전지표 선정 및 시험 검사를 통한 품질안전한계기간 도출
- 제품의 특성, 시험검사 결과를 토대로 품질안전지표 선정기준(안) 마련
○ ‘소비기한’ 산출 결과
- 식품 유형별 권장 소비기한 산출 결과 대부분 식품유형의 소비기한은 증가
< 2 세부 >
○ 식품의 특성, 포장방법, 유통조건 등을 고려한 과학적인 근거에 따른 권장소비기한 설정을 위한 안전계수 산출법 마련
- 식품 유형 및 품목별 영업자가 사용가능한 안전계수 제시
- 안전계수(품질안전계수) 적용 원칙을 설정하였으며, 모의실험(simulation study)과 선행연구조사, 분석을 통해 0.92∼1.0값의 안전계수 산출식을 마련
○ 안전계수를 활용해 식품 유형별 권장소비기한을 설정
- 식품 특성별, 보존/유통 온도별 안전계수를 적용하여 권장소비기한을 설정
- 권장소비기한은 객관적인 항목(지표)에 근거하여 얻는데, 식품의 특성에 따라 1.0 미만의 안전계수를 곱하여 기간을 설정함
○ 도출된 과학적 안전계수 산출법에 대한 학계, 산업계 의견수렴을 통한 수정·보완
- 2022.7.4.∼7.14 제1차 델파이 전문가 조사(27명)
- 2022.8∼9 제2차 델파이전문가 조사(27명)
- 2022.8.17. 16:10-17:50 (경주 화백국제컨벤션센터) 한국저장식품유통학회 주관 “202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프로그램”에서 “권장소비 기한제도 도입과 식품산업의 대응 전략을 위한 토론회” 개최 완료
- 2022.11.1. 15:30-17:30 (서울 더케이호텔 해금A) 소비자권익포럼, (재)소비자재단 주관 “2022컨슈머소사이어티코리아”에서 “소비기한 제도 도입을 위한 권장소비기한 설정 및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한 토론회”개최 완료
< 3 세부 >
○ 소비자에게 소비기한의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고 안전하게 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권장소비기한 등에 대한 교육
- 전국 3,000명 소비자 대상 교육 진행 및 소비기한 인식조사
- 소비기한 제도 시행에 대해 63.5%의 소비자가 교육받기 전까지 모르고 있었다고 응답하였으며, 96%의 소비자가 소비기한 교육이 도움되었다(매우 도움되었다 63.7% + 도움되었다 32.3%)고 응답하여 소비기한 제도의 안정적 정착에 공감대 형성
○ 영업자와 지자체 공무원 대상 소비기한 설정시험 방법 및 권장소비기한 활용에 대한 교육 수행
- 6개 권역별(서울, 대전, 부산, 대구, 광주, 인천) 지자체 공무원 300명과 영업자 400명 대상 소비기한 설정 관련 온·오프라인 설명회 개최 및 권장소비기한 설정결과에 대한 의견 수렴
- 현장 교육 참석자 862명(지자체 공무원: 367명, 영업자: 495명), 온라인 참석자 3,197명으로 총 4,059명에게 소비기한 제도 시행 알림 및 권장소비기한 설정방법 안내
○ 권장소비기한 설정을 위한 안전계수 산출에 소비자 영업자 행태 지수 반영
- 전국 1,000명 소비자 인식조사, 200개 영업장 현황조사 실시
- 234개 영업자의 현재 유통기한설정방법 및 개선되어야 할 점, 소비기한 제도 시행에 대한 의견 수렴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