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당의 교육과 풍속 및 놀이 = A Study on the Educational Management, Custom and Plays of Sudang(書堂) in Joseon Dynasty(朝鮮時代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4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draw attention to Sudang by putting us in its way of educational management, and in its custom, pla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dang is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in which they did primary education level for the children of both the noble and the common people. In Sudang they did not only the literal education but also trained the students to be in personality, because they did the choonghyo(忠孝) education based upon the five items(仁義禮智信) of morality in that Confucian country. In this way, Sudang contributed much to the primary education of Joseon(朝鮮) dynasty.
      The forms of Sudang varies the way of its establishment, its management was financed by all the people of the village or by an individual. School children(學童) could enter the Sudang any time they wanted to, as there was no regulation for its entrance and graduation. Sudang consisted of three different kinds of members, namely, a hunjang(訓長), a jupjang(接長) and disciples. Jupjang not only learned from hunjang but taught the classmates inferior to him as the best disciple. School children usually studied Chunjamoon(千字文), Dongmongsunsup(童蒙先習), Tonggam(通鑑) or some other texts which was written mostly by Chinese scholars, mainly comprehensive reading, composition, and penmanship. They awarded paper, writing brush, and ink stone to the best disciple, but punished the inferiors by whipping them on the calf or by making them sit on their knees.
      In Sudang performed jipjy(執贄), goechaekrae(掛冊禮), and something like these as their ritual, and did jonkyungdo(從卿圖) play, won(元) play, namseungdo(藍勝圖) play, daeku(對句) play, whasungjak(火繩作) pla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se performances encouraged the disciples to promote their learning motive, and were the intimacy and gratitude ceremony between hunjang and disciples and parents of disciples.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draw attention to Sudang by putting us in its way of educational management, and in its custom, pla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dang is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in which they did primary education level for the children...

      This study is to draw attention to Sudang by putting us in its way of educational management, and in its custom, pla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dang is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in which they did primary education level for the children of both the noble and the common people. In Sudang they did not only the literal education but also trained the students to be in personality, because they did the choonghyo(忠孝) education based upon the five items(仁義禮智信) of morality in that Confucian country. In this way, Sudang contributed much to the primary education of Joseon(朝鮮) dynasty.
      The forms of Sudang varies the way of its establishment, its management was financed by all the people of the village or by an individual. School children(學童) could enter the Sudang any time they wanted to, as there was no regulation for its entrance and graduation. Sudang consisted of three different kinds of members, namely, a hunjang(訓長), a jupjang(接長) and disciples. Jupjang not only learned from hunjang but taught the classmates inferior to him as the best disciple. School children usually studied Chunjamoon(千字文), Dongmongsunsup(童蒙先習), Tonggam(通鑑) or some other texts which was written mostly by Chinese scholars, mainly comprehensive reading, composition, and penmanship. They awarded paper, writing brush, and ink stone to the best disciple, but punished the inferiors by whipping them on the calf or by making them sit on their knees.
      In Sudang performed jipjy(執贄), goechaekrae(掛冊禮), and something like these as their ritual, and did jonkyungdo(從卿圖) play, won(元) play, namseungdo(藍勝圖) play, daeku(對句) play, whasungjak(火繩作) pla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se performances encouraged the disciples to promote their learning motive, and were the intimacy and gratitude ceremony between hunjang and disciples and parents of discip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당교육은 학습자의 개인차와 그 능력에 맞게 범위를 정하여 놓고, 주로 훈장이 개인지도를 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에 따라 교육내용도 다르고 진도도 달랐으며, 수시입학이 가능한 무학년제도였고 월반도 가능하였다. 서당의 학습순서는 대개 『천자문』으로 기초한자를 가르치고, 『동몽선습』 등으로 글자를 붙여서 소리 내어 읽는 방법으로 가르쳤다. 글의 뜻을 깨치는 방법으로 먼저 구두의 문리에서 출발하여 한 장의 文義로 나아가는 점진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 후에는 스스로 책을 읽도록 하였다.
      서당교육은 책 한 권을 다 떼면 책거리라 해서 한턱내는 풍속이 있었다. 책거리는 훈장에게는 옷이나 약주 및 음식대접을, 친구들에게는 대개 떡을 마련하여 그 영광을 같이 나누었다. 이 책거리는 훈장에게 감사하는 마음과 학동들을 격려하는 마음이 동시에 담겨있다. 때로는 여가시간에 놀이를 학습에 이용하여 많은 지식을 얻게 하기도 했다. 관직명을 익힐 수 있는 陞卿圖 놀이, 옛 사람의 시를 암송시키는 초⋅중⋅종 놀이, 우리나라 8도의 군 이름을 기억시키는 고을 모듬놀이, 曹操잡기, 글 대구 맞추기 등이 주요놀이였다. 이 고을 모듬놀이와 비슷한 것으로 覽勝圖 놀이가 있었다. 남승도는 명승지를 유람하는 도표를 놓고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숫자대로 유람을 다니는 놀이로, 명승고적을 익히는 동시에 풍토와 산물을 익히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오늘날 우리는 서당의 훈장들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직접 학문과 도를 전수한 교육을 다시금 배워야 할 것이다. 교육은 본래 인격과 인격이 맞부딪치는 만남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당교육은 현대의 지식위주의 교육과는 상당히 차이가 있는 교육으로서, 특히 인격과 인격이 맞부딪히는 만남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서로의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고 서로에게 공감을 형성하는 귀중한 교육이 이루어진 것이다.
      번역하기

      서당교육은 학습자의 개인차와 그 능력에 맞게 범위를 정하여 놓고, 주로 훈장이 개인지도를 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에 따라 교육내용도 다르고 진도도 달랐으며, 수시입학이 가능한 무학년...

      서당교육은 학습자의 개인차와 그 능력에 맞게 범위를 정하여 놓고, 주로 훈장이 개인지도를 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에 따라 교육내용도 다르고 진도도 달랐으며, 수시입학이 가능한 무학년제도였고 월반도 가능하였다. 서당의 학습순서는 대개 『천자문』으로 기초한자를 가르치고, 『동몽선습』 등으로 글자를 붙여서 소리 내어 읽는 방법으로 가르쳤다. 글의 뜻을 깨치는 방법으로 먼저 구두의 문리에서 출발하여 한 장의 文義로 나아가는 점진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 후에는 스스로 책을 읽도록 하였다.
      서당교육은 책 한 권을 다 떼면 책거리라 해서 한턱내는 풍속이 있었다. 책거리는 훈장에게는 옷이나 약주 및 음식대접을, 친구들에게는 대개 떡을 마련하여 그 영광을 같이 나누었다. 이 책거리는 훈장에게 감사하는 마음과 학동들을 격려하는 마음이 동시에 담겨있다. 때로는 여가시간에 놀이를 학습에 이용하여 많은 지식을 얻게 하기도 했다. 관직명을 익힐 수 있는 陞卿圖 놀이, 옛 사람의 시를 암송시키는 초⋅중⋅종 놀이, 우리나라 8도의 군 이름을 기억시키는 고을 모듬놀이, 曹操잡기, 글 대구 맞추기 등이 주요놀이였다. 이 고을 모듬놀이와 비슷한 것으로 覽勝圖 놀이가 있었다. 남승도는 명승지를 유람하는 도표를 놓고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숫자대로 유람을 다니는 놀이로, 명승고적을 익히는 동시에 풍토와 산물을 익히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오늘날 우리는 서당의 훈장들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직접 학문과 도를 전수한 교육을 다시금 배워야 할 것이다. 교육은 본래 인격과 인격이 맞부딪치는 만남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당교육은 현대의 지식위주의 교육과는 상당히 차이가 있는 교육으로서, 특히 인격과 인격이 맞부딪히는 만남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서로의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고 서로에게 공감을 형성하는 귀중한 교육이 이루어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인수, "한국인의 교육 세시풍속" 문음사 1991

      2 정낙찬, "한국의 전통교육" 영남대학교출판부 2000

      3 김성원, "한국의 세시풍속" 명문당 1994

      4 민속학회, "한국의 민속사상" 집문당 1996

      5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4

      6 안상원, "한국서당교육사" 재동문화사 1984

      7 정창수, "한국사회론. 제도와 사상" 사회비평사 1995

      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3

      9 박상만, "한국교육사(상)" 중앙교육연구소 1979

      10 한기언, "한국교육사" 박영사 1963

      1 손인수, "한국인의 교육 세시풍속" 문음사 1991

      2 정낙찬, "한국의 전통교육" 영남대학교출판부 2000

      3 김성원, "한국의 세시풍속" 명문당 1994

      4 민속학회, "한국의 민속사상" 집문당 1996

      5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4

      6 안상원, "한국서당교육사" 재동문화사 1984

      7 정창수, "한국사회론. 제도와 사상" 사회비평사 1995

      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3

      9 박상만, "한국교육사(상)" 중앙교육연구소 1979

      10 한기언, "한국교육사" 박영사 1963

      11 조연순, "한국 초등교육의 기원" 학지사 1994

      12 우남희, "한국 전통교육 속에 나타난 정서지능" 19 : 1988

      13 김종수, "조선조 서당교육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14 이만규, "조선교육사" 을유문화사 1947

      15 유교사전 편찬위원회, "유교대사전" 박영사 1990

      16 이이화, "우리 겨레의 전통생활" 여강출판사 1990

      17 보경문화사, "예기" 보경문화사 1991

      18 이규범, "서당의 교육방법에 관한 고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82

      19 권오석, "서당교재에 관한 서지적 연구" (10) : 1994

      20 도유호, "북한학자가 쓴 조선의 민속놀이" 도서출판 푸른숲 1999

      21 학민문화사, "명심보감" 학민문화사 1992

      22 손인수, "교육사⋅교육철학" 문음사 1997

      23 조화태, "교육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9

      24 김재만, "교육사" 교육과학사 1984

      25 대동문화연구원, "경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