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질병, 치료, 종교∶한국 고대 불교의학 = Disease, Healing, and Religion: Medicine of Buddhism in Ancient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4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Buddhism, anguish is regarded as illness. In this regard, Buddhism compares itself with medicine which can treat with the pain(苦) resulting from human anxiety. It is believed that this aspect of Buddhism necessarily led to a spiritual remedy which helped to remove mental suffering and physical pain or anguish. Buddhist priest groups had developed its own hygienic system growing into, what is called, the priest physician(僧醫) or physician priest(醫僧) group which provided medical service to the public with an act of a Buddhist saint or an act of charity.
      In this paper, I focused on to reveal some aspects of Buddhist medicine in ancient Korea. First, the Buddhist medicine was credited to the fact that Buddhism was adapted and emerged as a significant power in politics although it had once been a foreign religion. In fact, the Buddhist priests had treated with diseases of the ruling class, including the royal family. Consequently, the three Kingdoms of Korea (Koguryo, Packche and Silla) adopted Buddhism as a national religion. One of the methods to treat with kings' diseases was the grand Buddhist ceremony (Baekgoja), where 100 high priests gathered for a sermon.
      Meanwhile, in Silla, an ascetic wrote a medical book <Sillabyubsabang> which showed a great deal of medical prescriptions, different from the Chinese medicine. Among them was an interesting prescription, so called as a secret magical method (Bimilyosulbang). According to it, the priests fabricated a hive of hornets in order to enrich sex life of the governing class. Such a method was dissimilar to the Chinese method to use the hive. It is well known as an unique medical formula advanced by Silla. The book <Sillabyubsabang> still exists. In this regard, the ancient Buddhist medicine even addressed the enjoyment of those in power. It considered such pleasure as an important issue. As shown, the medicine was used as a means of serving consistently the ruling class in order for Buddhism to form and sustain its position as a predominant religion. Second, the Buddhist priests looked deeply into preventive measures and a curative means. Like the army, priests lived together as a group, so preventive methods and medical treatment should be prepared. In the three Kingdoms of Korea, as Buddhist groups had been created and priests had got to live together, the preventive measures and treatments of diseases was developed. Such fact can be found in the Buddhist commandment and law. A variety of rules - the Buddhist priests and faiths should follow them - had emphasized how to take a bath, brush teeth and clean hand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se still remain important methods to prevent disease in the modern society, they, probably, were widely exercised by the public. Third, given that the Buddhist medicine had been accompanied with incantatory treatment, the Buddhist medicine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hinese medicine. The Sutras showed all kinds of incanta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specialized treatments, such as dentistry, ophthalmology, pediatry and an infectious disease care, and the cause that Buddhist medicine could be demotic one as well. Since a small number of the governing class only consumed medical materials, it was too difficult for commoners to use medicine for treatment.
      번역하기

      In Buddhism, anguish is regarded as illness. In this regard, Buddhism compares itself with medicine which can treat with the pain(苦) resulting from human anxiety. It is believed that this aspect of Buddhism necessarily led to a spiritual remedy whic...

      In Buddhism, anguish is regarded as illness. In this regard, Buddhism compares itself with medicine which can treat with the pain(苦) resulting from human anxiety. It is believed that this aspect of Buddhism necessarily led to a spiritual remedy which helped to remove mental suffering and physical pain or anguish. Buddhist priest groups had developed its own hygienic system growing into, what is called, the priest physician(僧醫) or physician priest(醫僧) group which provided medical service to the public with an act of a Buddhist saint or an act of charity.
      In this paper, I focused on to reveal some aspects of Buddhist medicine in ancient Korea. First, the Buddhist medicine was credited to the fact that Buddhism was adapted and emerged as a significant power in politics although it had once been a foreign religion. In fact, the Buddhist priests had treated with diseases of the ruling class, including the royal family. Consequently, the three Kingdoms of Korea (Koguryo, Packche and Silla) adopted Buddhism as a national religion. One of the methods to treat with kings' diseases was the grand Buddhist ceremony (Baekgoja), where 100 high priests gathered for a sermon.
      Meanwhile, in Silla, an ascetic wrote a medical book <Sillabyubsabang> which showed a great deal of medical prescriptions, different from the Chinese medicine. Among them was an interesting prescription, so called as a secret magical method (Bimilyosulbang). According to it, the priests fabricated a hive of hornets in order to enrich sex life of the governing class. Such a method was dissimilar to the Chinese method to use the hive. It is well known as an unique medical formula advanced by Silla. The book <Sillabyubsabang> still exists. In this regard, the ancient Buddhist medicine even addressed the enjoyment of those in power. It considered such pleasure as an important issue. As shown, the medicine was used as a means of serving consistently the ruling class in order for Buddhism to form and sustain its position as a predominant religion. Second, the Buddhist priests looked deeply into preventive measures and a curative means. Like the army, priests lived together as a group, so preventive methods and medical treatment should be prepared. In the three Kingdoms of Korea, as Buddhist groups had been created and priests had got to live together, the preventive measures and treatments of diseases was developed. Such fact can be found in the Buddhist commandment and law. A variety of rules - the Buddhist priests and faiths should follow them - had emphasized how to take a bath, brush teeth and clean hand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se still remain important methods to prevent disease in the modern society, they, probably, were widely exercised by the public. Third, given that the Buddhist medicine had been accompanied with incantatory treatment, the Buddhist medicine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hinese medicine. The Sutras showed all kinds of incanta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specialized treatments, such as dentistry, ophthalmology, pediatry and an infectious disease care, and the cause that Buddhist medicine could be demotic one as well. Since a small number of the governing class only consumed medical materials, it was too difficult for commoners to use medicine for trea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 고대 사회에서 불교의학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가 시간에 따라 변화해 가는 과정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불교의학은 종교적 믿음에 기반 하여 인간이 질병으로 고통받는 것을 구제해 주는 역할을 한다. 불교가 한반도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불교의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포교를 위해 인도와 중국의 승려 뿐 아니라 사찰 건축을 위해서는 다양한 장인까지 대거 한반도에 도래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래 전염병이 유입되었고, 이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어있던 불교 의학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에 적절한 대응책을 제시해 줄 수 있었다. 이는 불교가 빠른 시간 내에 사회저변까지 스며들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였다.
      불교 의학은 인도 아유르 베다의 의학 체계를 바탕으로 중국에 정착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면모를 아우르고 있었다. 샤머니즘과 애니미즘의 영향 하에 의학 이론이 발달하지 못하였던 한국 고대 사회에서 불교가 가지고 있던 질병관이나 의학 체계는 우주와 몸에 대해 새로운 세계를 보여줌으로써, 고대 의학 발전에 공헌을 하였다. 승려는 각종 경전을 읽고 암송하는 과정에서 불교경전 내에 소재한 의학 관련 문구로 인해 자연스럽게 불교의학에 대한 이해를 가지게 되어 불교 사찰은 한국 고대 사회에서 의료를 책임질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자 의료 인력의 산실로 자리매김하였다.
      단편적이나마 현전하는 고대 의학의 자료-고려법사방, 신라법사방, 신라법사비밀요술방 등 당시 불교 의학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초창기 선교 의학의 역할을 하였던 불교 의학이 왕공 귀족 중심의 의료 활동을 통해 불교가 단기간 내에 주류 세력으로 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후 중국식 전문의학 교육 기관에서 의료 인력이 배출되면서 불교 의학은 점차 서민 의료까지 담당해갔던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 고대 사회에서 불교의학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가 시간에 따라 변화해 가는 과정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불교의학은 종교적 믿음에 기반 하여 인간이 질병으로 고통받는 것을 ...

      본고는 한국 고대 사회에서 불교의학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가 시간에 따라 변화해 가는 과정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불교의학은 종교적 믿음에 기반 하여 인간이 질병으로 고통받는 것을 구제해 주는 역할을 한다. 불교가 한반도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불교의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포교를 위해 인도와 중국의 승려 뿐 아니라 사찰 건축을 위해서는 다양한 장인까지 대거 한반도에 도래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래 전염병이 유입되었고, 이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어있던 불교 의학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에 적절한 대응책을 제시해 줄 수 있었다. 이는 불교가 빠른 시간 내에 사회저변까지 스며들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였다.
      불교 의학은 인도 아유르 베다의 의학 체계를 바탕으로 중국에 정착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면모를 아우르고 있었다. 샤머니즘과 애니미즘의 영향 하에 의학 이론이 발달하지 못하였던 한국 고대 사회에서 불교가 가지고 있던 질병관이나 의학 체계는 우주와 몸에 대해 새로운 세계를 보여줌으로써, 고대 의학 발전에 공헌을 하였다. 승려는 각종 경전을 읽고 암송하는 과정에서 불교경전 내에 소재한 의학 관련 문구로 인해 자연스럽게 불교의학에 대한 이해를 가지게 되어 불교 사찰은 한국 고대 사회에서 의료를 책임질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자 의료 인력의 산실로 자리매김하였다.
      단편적이나마 현전하는 고대 의학의 자료-고려법사방, 신라법사방, 신라법사비밀요술방 등 당시 불교 의학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초창기 선교 의학의 역할을 하였던 불교 의학이 왕공 귀족 중심의 의료 활동을 통해 불교가 단기간 내에 주류 세력으로 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후 중국식 전문의학 교육 기관에서 의료 인력이 배출되면서 불교 의학은 점차 서민 의료까지 담당해갔던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斗鍾, "한국의학사" 1965

      2 李九義, "최치원의 法藏和尙傳攷" 한민족어문학회 1991

      3 윌리암 맥닐,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한울출판사 1992

      4 "자치통감"

      5 "일본서기"

      6 여인석, "우리나라 고대 불교의학의 한 단면:원효의 경우" 대한의사학회 4 (4): 1996

      7 과학백과사전편찬위원회,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8 이현숙, "신라 통일기 전염병의 유행과 대응책" 한국고대사학회 31 : 209-256, 2003

      9 여인석, "삼국시대의 불교교학과 治病活動의 관계" 대한의사학회 5 (5): 1996

      10 손홍렬, "삼국시대의 佛敎의학 in : 가산 이지관스님 화갑기념논총" 1992

      1 金斗鍾, "한국의학사" 1965

      2 李九義, "최치원의 法藏和尙傳攷" 한민족어문학회 1991

      3 윌리암 맥닐,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한울출판사 1992

      4 "자치통감"

      5 "일본서기"

      6 여인석, "우리나라 고대 불교의학의 한 단면:원효의 경우" 대한의사학회 4 (4): 1996

      7 과학백과사전편찬위원회, "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8 이현숙, "신라 통일기 전염병의 유행과 대응책" 한국고대사학회 31 : 209-256, 2003

      9 여인석, "삼국시대의 불교교학과 治病活動의 관계" 대한의사학회 5 (5): 1996

      10 손홍렬, "삼국시대의 佛敎의학 in : 가산 이지관스님 화갑기념논총" 1992

      11 "삼국사기"

      12 여인석, "불교의학 in : 高麗時代以前 韓醫藥學에 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소 1996

      13 金斗鍾, "韓國醫學史" 探究堂 1965

      14 唐義淨, "金光明最勝王經 in : 高麗大藏經 제9권" 동국대학교 1959

      15 崔英成, "譯註 崔致遠文集 2" 아세아문화사 1999

      16 富士川游, "日本醫學士" 裳華房 1904

      17 金福順, "崔致遠의 「法藏和尙傳」 檢討" 한국사연구회 (57) : 1987

      18 방인욱, "佛敎醫學의 形成과 韓醫學에 미친 影響" 동국대학교 1998

      19 二本柳賢司, "佛敎醫學槪要" 法藏館 1994

      20 한정섭, "佛敎 符籍信仰 小考-특히 密敎符를 중심하여" 1976

      21 馬伯英, "中外醫學文化交流史" 電波科學社 1997

      22 馬伯英, "中外醫學文化交流史" 1997

      23 道端良秀, "中國佛敎와 社會福祉事業" 東國大附設東國譯經院 1981

      24 Vivian Nutton, "Medicine in Late Antiquity and Early Middle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