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濯纓 金馹孫의 賦에 나타난 정신세계(Ⅱ) ― 그의 「遊月宮賦」, 「疾風知勁草賦」 「聚星亭賦」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Spiritual world in Takyeung kim Ilson's Fu(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4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u(賦) -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of Takyeung kim Ilson's (濯纓 金馹孫:1464 - 1498) are linked with life, sand what the spiritual sphere in which is. Three pieces of his Fu are 'Strolling about the selenic palace', 'Being acquainted with a firm herbage when it's a sever wind' and 'A pavilion of swarmed stars'. They are organized four steps in a signification of the end of paragraph.
      The characteristics of his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things. He lived a life of distress himself but his spirit was wide. It is the affirmation of reality and pursuit of the ideal world. His home of spirit was the virtual idealism.
      An ultimate goal of his life was unity of nature and man. At his 'Strolling about the selenic palace' described his lofty ideal- a peaceful reign and a monarch of high moral repute.
      At his 'Being acquainted with a firm herbage when it's a sever wind' emphasized being faithful to one's principles.
      At his 'A pavilion of swarmed stars' stressed an usefulness in literature. Also he clearly define his scholarship founded on confucian ethics -the doctrines of Chu-tze(朱子).
      번역하기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u(賦) -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of Takyeung kim Ilson's (濯纓 金馹孫:1464 - 1498) are linked with life, sand what the spiritual sphere in which is. Three pieces of his Fu are 'Strolling about the s...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u(賦) -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of Takyeung kim Ilson's (濯纓 金馹孫:1464 - 1498) are linked with life, sand what the spiritual sphere in which is. Three pieces of his Fu are 'Strolling about the selenic palace', 'Being acquainted with a firm herbage when it's a sever wind' and 'A pavilion of swarmed stars'. They are organized four steps in a signification of the end of paragraph.
      The characteristics of his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things. He lived a life of distress himself but his spirit was wide. It is the affirmation of reality and pursuit of the ideal world. His home of spirit was the virtual idealism.
      An ultimate goal of his life was unity of nature and man. At his 'Strolling about the selenic palace' described his lofty ideal- a peaceful reign and a monarch of high moral repute.
      At his 'Being acquainted with a firm herbage when it's a sever wind' emphasized being faithful to one's principles.
      At his 'A pavilion of swarmed stars' stressed an usefulness in literature. Also he clearly define his scholarship founded on confucian ethics -the doctrines of Chu-tze(朱子).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1464-1498)의 부(賦) 가운데 「유월궁부(遊月宮賦)」, 「질풍지경초부(疾風知勁草賦)」 「취성정 부(聚星亭賦)」 등 세 편에 나타난 그의 정신세계를 고찰한 것이다.
      세 수의 부에 나타난 공통적인 특질 가운데 하나는 모두 작가의 정신이 녹아 있다. 이 작품들의 표현 방법은 직서법(直敍法)이 아니라 우의법(寓意法)이다.
      「유월궁부」에서는 탁영 자신의 이상을 표출하고 있다. 그 이상은 왕자(王者)가 나타나 왕도정치(王道政治)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 왕도정치를 구현하려면 임금이 발라야 한다. 이것이 바로 정명주의(正名主義)이다.
      「매서운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 풀을 앎 부((疾風知勁草賦)」는 그 제목만 보아도 시인의 의식이 그다지 밝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질풍경초부」 안에는 자아의 변하지 않는 지조가 드러나 있다.
      「취성정부(聚星亭賦)」에서는, 탁영의 학문이 주자학(朱子學) 중심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부(賦)에서는 세상을 바로잡을 덕망 있는 군주가 나타나길 바라고 있다. 이 세상에 왕천하(王天下)를 할 수 있는 사람이다. 탁영이 이 부(賦)를 지은 것은 자신이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후세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기 위함이다. 작자는 효용론적 문학관에 입각하여 이 부(賦)를 지었다. 이는 작자가 전통 유가의 문학관을 견지(堅持)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1464-1498)의 부(賦) 가운데 「유월궁부(遊月宮賦)」, 「질풍지경초부(疾風知勁草賦)」 「취성정 부(聚星亭賦)」 등 세 편에 나타난 그의 정신세계를 고찰한 ...

      본고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1464-1498)의 부(賦) 가운데 「유월궁부(遊月宮賦)」, 「질풍지경초부(疾風知勁草賦)」 「취성정 부(聚星亭賦)」 등 세 편에 나타난 그의 정신세계를 고찰한 것이다.
      세 수의 부에 나타난 공통적인 특질 가운데 하나는 모두 작가의 정신이 녹아 있다. 이 작품들의 표현 방법은 직서법(直敍法)이 아니라 우의법(寓意法)이다.
      「유월궁부」에서는 탁영 자신의 이상을 표출하고 있다. 그 이상은 왕자(王者)가 나타나 왕도정치(王道政治)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 왕도정치를 구현하려면 임금이 발라야 한다. 이것이 바로 정명주의(正名主義)이다.
      「매서운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 풀을 앎 부((疾風知勁草賦)」는 그 제목만 보아도 시인의 의식이 그다지 밝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질풍경초부」 안에는 자아의 변하지 않는 지조가 드러나 있다.
      「취성정부(聚星亭賦)」에서는, 탁영의 학문이 주자학(朱子學) 중심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부(賦)에서는 세상을 바로잡을 덕망 있는 군주가 나타나길 바라고 있다. 이 세상에 왕천하(王天下)를 할 수 있는 사람이다. 탁영이 이 부(賦)를 지은 것은 자신이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후세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기 위함이다. 작자는 효용론적 문학관에 입각하여 이 부(賦)를 지었다. 이는 작자가 전통 유가의 문학관을 견지(堅持)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구의, "蓮潭 李世仁의 삶과 시의 상관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9) : 39-72, 2005

      2 李九義, "蓮潭 李世仁의 文學에 나타난 社會意識" 韓國思想文化學會 7-32, 2000

      3 이구의, "藍溪 表沿沫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한국사상문화학회 (44) : 7-40, 2008

      4 李九義, "懶齋 蔡壽의 ‘獨鶴賦’攷" 尙州文化硏究所 131-155, 2005

      5 "金馹孫, 濯纓集(韓國文集叢刊17)"

      6 "金宗直, 佔畢齋集(啓明漢文學會 影印本)"

      7 "表沿沫, 藍溪集(韓國文集叢刊 15)"

      8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濯纓 金馹孫의 문학과 사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8

      9 李九義, "梅溪 曺偉의 문학에 나타난 精神世界" 韓國思想文化學會 7-38, 2003

      10 "朝鮮王朝實錄(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1 이구의, "蓮潭 李世仁의 삶과 시의 상관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9) : 39-72, 2005

      2 李九義, "蓮潭 李世仁의 文學에 나타난 社會意識" 韓國思想文化學會 7-32, 2000

      3 이구의, "藍溪 表沿沫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한국사상문화학회 (44) : 7-40, 2008

      4 李九義, "懶齋 蔡壽의 ‘獨鶴賦’攷" 尙州文化硏究所 131-155, 2005

      5 "金馹孫, 濯纓集(韓國文集叢刊17)"

      6 "金宗直, 佔畢齋集(啓明漢文學會 影印本)"

      7 "表沿沫, 藍溪集(韓國文集叢刊 15)"

      8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濯纓 金馹孫의 문학과 사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8

      9 李九義, "梅溪 曺偉의 문학에 나타난 精神世界" 韓國思想文化學會 7-38, 2003

      10 "朝鮮王朝實錄(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11 "國朝人物考(서울大學校 出版部 影印本, 1992)"

      12 "兪好仁, 㵢溪集(韓國文集叢刊 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