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대학교 신입생 종단 분석(1988-2022): Lortie의 충원 자원 분석틀에 따른 사회경제적 배경과 진학 결정을 중심으로 =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Freshmen Survey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88-2022): Application of Lortie’s Teacher Recruitment Resource Framework to the Freshmen’s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Decision to Enter A National University 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59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just one generation ago,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characterized as relatively easy gates, where tuition fees were low, and employment was guaranteed; however, the entrance threshold was only slightly high. On the contrary, the recent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considered to have transformed into a narrow gate, where entrance is difficult due to the high-level academic achievement required. How can such an abrupt and unprecedented change be understood?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longitudinally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 freshmen survey conducted from 1988 to 2022 by applying Lortie’s framework for teacher recruitment resources.
      The main finding is that the major attractors and facilitators of the recruitment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changed over tim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freshmen from the late 1980s to the mid-1990s belong to families with low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the major recruitment resources were socioeconomic constraints as a facilitator and money income and social mobility as attractors. Alternatively, the study found that the majority of freshmen from the late 2010s to the early 2020s belong to middle-class or higher socioeconomic backgrounds, whereas a proportion of freshmen from low socioeconomic background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ajor recruitment resources of the changed population were employment security (attractor) and blocked aspirations and convertibility (facilitator).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rtie's teaching profession theory, which has become a classic framework of the research on the teaching profession, has been expanded and refined by re-illuminating Lortie’s teaching profession recruitment theory in the Korean context, where the preferenc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is very high. This scenario has markedly contrasted with that in the United States. Second, providing timely and empirical data necessary for teacher trai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recruitment policy appropriate to the new phase of teacher training have been possible, which is indicated by the recent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번역하기

      Until just one generation ago,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characterized as relatively easy gates, where tuition fees were low, and employment was guaranteed; however, the entrance threshold was only slightly high. On the contrary, the recent U...

      Until just one generation ago,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characterized as relatively easy gates, where tuition fees were low, and employment was guaranteed; however, the entrance threshold was only slightly high. On the contrary, the recent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considered to have transformed into a narrow gate, where entrance is difficult due to the high-level academic achievement required. How can such an abrupt and unprecedented change be understood?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longitudinally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 freshmen survey conducted from 1988 to 2022 by applying Lortie’s framework for teacher recruitment resources.
      The main finding is that the major attractors and facilitators of the recruitment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changed over tim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freshmen from the late 1980s to the mid-1990s belong to families with low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the major recruitment resources were socioeconomic constraints as a facilitator and money income and social mobility as attractors. Alternatively, the study found that the majority of freshmen from the late 2010s to the early 2020s belong to middle-class or higher socioeconomic backgrounds, whereas a proportion of freshmen from low socioeconomic background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ajor recruitment resources of the changed population were employment security (attractor) and blocked aspirations and convertibility (facilitator).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rtie's teaching profession theory, which has become a classic framework of the research on the teaching profession, has been expanded and refined by re-illuminating Lortie’s teaching profession recruitment theory in the Korean context, where the preferenc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is very high. This scenario has markedly contrasted with that in the United States. Second, providing timely and empirical data necessary for teacher trai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recruitment policy appropriate to the new phase of teacher training have been possible, which is indicated by the recent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불과 한 세대 전까지만 해도 교육대학교는 학비가 저렴하고 취업이 용이하나 입학의 문턱이 그리높지 않은 비교적 ‘쉬운 문’의 특징을 가진 대학이었다. 최근의 교육대학교는 높은 수준의 학업 성취 능력이 요구되어 입학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은 ‘좁은 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변화 추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화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Lortie의 교직 충원 자원 분석틀을 적용하여 1988년부터 2022 년까지 약 30여 년간의 A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를 종단적으로 추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어려운 사회·경제적 배경가정 출신 신입생의 비중이 상당하였으나, 2010년대 말부터 2020년대 초반까지는 어려운 사회·경제적배경을 가진 학생의 비중은 줄어든 반면 중류층 이상의 학생 비중이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신입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화는, 1990년대 중반까지의 교육대학교 진학은 주로 ‘사회·경제적제약’ 촉진자, ‘금전적 수입’ 및 ‘사회적 이동’ 유인자 등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면, 최근의 교육대학교 진학은 주로 ‘고용 안정성’ 유인자, ‘희망과 호환 가능성’ 촉진자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고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제는 교직 연구의 고전이 된 Lortie의 교직 충원 이론을1960년대 미국 상황과는 현저하게 대비되는 교직에 대한 선호가 높은 한국적 맥락에서 재조명함으로써Lortie의 교직 이론을 확장, 정교화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대표되는 교사양성의새로운 국면을 맞아 교사양성 및 교원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시의적절하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불과 한 세대 전까지만 해도 교육대학교는 학비가 저렴하고 취업이 용이하나 입학의 문턱이 그리높지 않은 비교적 ‘쉬운 문’의 특징을 가진 대학이었다. 최근의 교육대학교는 높은 ...

      불과 한 세대 전까지만 해도 교육대학교는 학비가 저렴하고 취업이 용이하나 입학의 문턱이 그리높지 않은 비교적 ‘쉬운 문’의 특징을 가진 대학이었다. 최근의 교육대학교는 높은 수준의 학업 성취 능력이 요구되어 입학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은 ‘좁은 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변화 추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화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Lortie의 교직 충원 자원 분석틀을 적용하여 1988년부터 2022 년까지 약 30여 년간의 A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를 종단적으로 추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어려운 사회·경제적 배경가정 출신 신입생의 비중이 상당하였으나, 2010년대 말부터 2020년대 초반까지는 어려운 사회·경제적배경을 가진 학생의 비중은 줄어든 반면 중류층 이상의 학생 비중이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신입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화는, 1990년대 중반까지의 교육대학교 진학은 주로 ‘사회·경제적제약’ 촉진자, ‘금전적 수입’ 및 ‘사회적 이동’ 유인자 등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면, 최근의 교육대학교 진학은 주로 ‘고용 안정성’ 유인자, ‘희망과 호환 가능성’ 촉진자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고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제는 교직 연구의 고전이 된 Lortie의 교직 충원 이론을1960년대 미국 상황과는 현저하게 대비되는 교직에 대한 선호가 높은 한국적 맥락에서 재조명함으로써Lortie의 교직 이론을 확장, 정교화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대표되는 교사양성의새로운 국면을 맞아 교사양성 및 교원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시의적절하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혁규, "한국의 교사와 교사 되기" 교육공동체 벗 2021

      2 한효진 ; 김갑성, "초등교원 수급정책 변화 과정 분석 : 계량적 시기 구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8 (38): 167-201, 2020

      3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

      4 통계청, "인구총조사 2005"

      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00"

      6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

      7 매일경제, "연.고대 특차접수 첫날 ‘한산’..지방교대 인기"

      8 김홍중,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 세대:마음의 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회 49 (49): 179-212, 2015

      9 한국대학신문, "대학생 군 간부 양성 변천사 ‘ROTC에서 RNTC까지’"

      10 김은영,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Ⅸ)" 한국교육개발원 2021

      1 이혁규, "한국의 교사와 교사 되기" 교육공동체 벗 2021

      2 한효진 ; 김갑성, "초등교원 수급정책 변화 과정 분석 : 계량적 시기 구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8 (38): 167-201, 2020

      3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

      4 통계청, "인구총조사 2005"

      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00"

      6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

      7 매일경제, "연.고대 특차접수 첫날 ‘한산’..지방교대 인기"

      8 김홍중,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 세대:마음의 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회 49 (49): 179-212, 2015

      9 한국대학신문, "대학생 군 간부 양성 변천사 ‘ROTC에서 RNTC까지’"

      10 김은영,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Ⅸ)" 한국교육개발원 2021

      11 김은영,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Ⅷ)" 한국교육개발원 2020

      12 남신동,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Ⅶ)" 한국교육개발원 2019

      13 임후남,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Ⅵ)" 한국교육개발원 2018

      14 최정윤,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Ⅴ)" 한국교육개발원 2017

      15 최정윤,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Ⅳ)" 한국교육개발원 2016

      16 유현숙,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Ⅲ)" 한국교육개발원 2015

      17 유현숙,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14

      18 유현숙, "대학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2013

      19 동아일보, "대졸초임 금융계가 “최고”"

      20 한국경제신문, "대졸 신입사원 연봉, 고졸보다 333만원 높다"

      21 김광수 ; 김현령, "교육대학 신입생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2013학년도 서울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4 (24): 185-205, 2013

      22 경향신문, "敎大 학사편입 평균 14대 1"

      23 아이뉴스24, "“중소기업 가기 싫다”…대기업 대졸 신입 연봉 보니 이유 있네"

      24 김영편입, "[편입전형]2006 A교대 학사편입 전형계획"

      25 김영편입, "[편입전형]2005년 A교대 학사 편입(3학년) 전형 계획"

      26 부산일보, "[대입정시모집] 올 입시 특징은"

      27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Prentice-Hall 1977

      28 다음 지식 게시판, "Re: A교대 2004-1 학사 편입학 모집에 관해 알려주세여"

      29 Golann, J. W., "Conformers, adapters, imitators, and rejectors : how no-excuses teachers cultural toolkits shape their responses to control" 91 (91): 28-45, 2018

      30 정바울, "A교대 재학생 특성 추이 심층 분석" A교대 2022

      31 중앙일보, "63개대 특차 원서마감...의대.교대 ‘인기’"

      32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22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22

      33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21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21

      34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20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2020

      35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20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20

      36 이은실, "2019학년도 청주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 26 : 49-91, 2020

      37 계명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19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보고서" 2019

      38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9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9

      39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8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8

      40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7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7

      41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6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6

      42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5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5

      43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4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4

      44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3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3

      45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2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2

      46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1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1

      47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0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10

      48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09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09

      49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08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08

      50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07학년도 A교대 신입생" 2007

      51 A교육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06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006

      52 부산일보, "2005학년도 대입 정시 ‘중하위권’ 대폭 하락 예상"

      53 학생생활연구소, "2005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54 학생생활연구소, "2004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30 : 1-36, 2005

      55 학생생활연구소, "2003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9 : 147-181, 2004

      56 송광용, "2002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8 : 175-207, 2003

      57 이관형, "2001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연구" 27 : 143-175, 2001

      58 이관형, "2000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연구" 26 : 1-33, 2000

      59 학생생활연구소, "1999학년도 A교대 신입생 실태조사" 25 : 1-30, 1999

      60 김지자, "1998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분석" 24 : 1-28, 1998

      61 학생생활연구소, "1997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 분석" 23 : 125-155, 1997

      62 학생생활연구소, "1996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 분석" 22 : 103-126, 1996

      63 곽노의, "1994∼1995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분석" 21 : 1-44, 1995

      64 이수희, "1993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 분석" 20 : 19-42, 1994

      65 이수희, "1992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 분석" 19 : 31-55, 1993

      66 장창환, "1991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분석" 18 : 1-28, 1992

      67 김진호, "1990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분석" 17 : 33-68, 1991

      68 김제한, "1989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분석" 16 : 1-36, 1990

      69 윤홍태, "1988학년도 A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분석" 15 : 1-30, 1989

      70 Lortie, D., "(미국와 한국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양서원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