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ound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Buddhist Upāsakas (male lay devotees of Buddhism) formed religious formations, including Jeongwonsa (淨願社), Myoryeonsa (妙蓮社), Gamrosa (甘露社), and Musangdan (無相壇). Myoryeonsa is a religious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73900
박소연 (동국대학교)
2017
Korean
Jeongwonsa ; Myoryeonsa ; Musangdan ; Seonseo ; religious association for buddha-smṛti ; 정원사 ; 묘련사 ; 무상단 ; 선서 ; 염불결사
KCI등재
학술저널
7-40(34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ound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Buddhist Upāsakas (male lay devotees of Buddhism) formed religious formations, including Jeongwonsa (淨願社), Myoryeonsa (妙蓮社), Gamrosa (甘露社), and Musangdan (無相壇). Myoryeonsa is a religious ...
Around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Buddhist Upāsakas (male lay devotees of Buddhism) formed religious formations, including Jeongwonsa (淨願社), Myoryeonsa (妙蓮社), Gamrosa (甘露社), and Musangdan (無相壇). Myoryeonsa is a religious association for buddha-smṛti (reciting the nam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formed mainly by Buddhist Upāsakas in 1872, showing a syncretism of Buddhism and Daoism. Its formation was led by reform-minded elites belonging to the middle class or military class of Joseon dynasty. Since its formation, the Upāsakas’ activities developed in two directions, one being signified by the publication of Daoist faith Books, called Seonseo (善書), recommending the practice of good virtues, initiated by Musangdan in around 1876, the other being signified by the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initiated by Gamrosa in 1882.
In 1877, Musangdan was established as the first Daoist Randan (鸞壇, a sacred place for receiving revelations from divinities) in Joseon dynasty. The Upāsakas of Myoryeonsa participated in it as Daoist practitioners (道士), introducing the faith in Sam Sung Je Gun (三聖帝君) from China and publishing independently revelatory works called Ranseo (鸞書, books written by revelation from God) by Daoist practitioners of Joseon dynasty. For about 10 years, over 30 kinds of Seonseo were published and circulated, which led to the wide spread of the faith in Sam Sung Je Gun in Joseon at that time. Through the circulation of Seonseo, the idea of the syncretism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together with the idea of the populace as the active agent in this world, was developed expansively, which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rise of nationalist relig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 후반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불교 거사들은 淨願社, 妙蓮社, 甘露社, 無相 壇이라는 신앙 결사를 일으켰다. 묘련사는 불교 거사들을 중심으로 성립한 道佛 융합적 성격을 지닌 염불결사...
19세기 후반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불교 거사들은 淨願社, 妙蓮社, 甘露社, 無相 壇이라는 신앙 결사를 일으켰다. 묘련사는 불교 거사들을 중심으로 성립한 道佛 융합적 성격을 지닌 염불결사이다. 결사를 주도했던 인물들은 최성환, 유성종, 정극경 등 中人이나 무인층의 개혁적 성향의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묘련사 이후 도교와불교 두 측면에서 활동을 전개하였다. 하나는 1876년 무렵 시작된 무상단의 善書의간행이며, 다른 하나는 1882년 감로사의 佛書 간행이다.
무상단은 1877년에 조선 최초로 성립된 도교 난단이다. 무상단은 중국으로부터三聖帝君신앙을 도입하였고, 조선의 도사들에 의해 鸞書들이 독자적으로 편찬되었다. 약 10년간 30여 종이 넘는 선서가 간행·보급되면서 이 시기 조선에서 삼성제군신앙이 크게 유행하게 된다. 선서의 보급으로 삼교통합 사상과 민중 주체적 사상이확대되면서, 선서는 19세기 후반에 일어난 민족 종교의 성립에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형택, "閭巷文學叢書 5" 여강출판사 1986
2 김일권, "한말시기 도교적인 종교 정체성과 삼교통합주의의 흐름" 32 : 2003
3 김탁, "한국의 관제신앙" 선학사 2004
4 이효원, "한국의 관음신앙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0
5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한국불교전서 11" 동국대학교출판부 1992
6 양은용, "한국근대에 있어서 권선서 유행에 대하여" 20 : 1996
7 김경집, "한국근대불교사" 경서원 1998
8 이봉춘, "한국관음신앙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88
9 황인규, "파주 普光寺의 역사와 위상*" 대각사상연구원 (12) : 9-65, 2009
10 백현숙, "최성환의 인물과 저작물" 103 : 1984
1 임형택, "閭巷文學叢書 5" 여강출판사 1986
2 김일권, "한말시기 도교적인 종교 정체성과 삼교통합주의의 흐름" 32 : 2003
3 김탁, "한국의 관제신앙" 선학사 2004
4 이효원, "한국의 관음신앙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0
5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한국불교전서 11" 동국대학교출판부 1992
6 양은용, "한국근대에 있어서 권선서 유행에 대하여" 20 : 1996
7 김경집, "한국근대불교사" 경서원 1998
8 이봉춘, "한국관음신앙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88
9 황인규, "파주 普光寺의 역사와 위상*" 대각사상연구원 (12) : 9-65, 2009
10 백현숙, "최성환의 인물과 저작물" 103 : 1984
11 김용태, "조선후기 중국 불서의 유통과 사상적 영향" 보조사상연구원 (41) : 197-243, 2014
12 이에나가유코, "조선후기 윤리신앙의 다변화와 도교 선서 유행" 한국역사민속학회 (30) : 293-327, 2009
13 김윤경,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와 변용-동학 증산교를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39 : 99-123, 2013
14 최혜영, "조선후기 「선서」의 윤리사상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15 지승종, "조선전기 내수사의 성격과 내수노비" 11 : 1985
16 이능화, "조선도교사" 보성문화사 1997
17 윤병태, "조선 후기의 활자와 책" 범우사 1992
18 유덕준, "조선 후기 신종교와 선서" 삼척대학교 21 : 1998
19 김윤경,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한국철학사연구회 (35) : 309-334, 2012
20 오문선, "서울지역 공동체신앙 전승과정 고찰 -조선시대 각사(各司) 신당(神堂)의 존재양상과 변화를 중심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41 (41): 5-25, 2008
21 심승구,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공연예술화 방안" 한국공연문화학회 (24) : 265-308, 2012
22 유봉학, "개혁과 갈등의 시대-정조와 19세기" 신구문화사 2009
23 김윤수, "高宗時代의 鸞壇道敎" 한국동양철학회 (30) : 57-101, 2008
24 모리스 꾸랑, "韓國書誌" 일조각 1994
25 유본예, "漢京識略" 탐구당 1981
26 노대환, "19세기 중반 南秉哲(1817-1863)의 학문과 현실 인식" 이화사학연구소 (40) : 163-199, 2010
27 서수정, "19세기 불서간행과 유성종의 「덕신당서목」 연구" 동국대 2016
28 이능화, "(역주) 조선불교통사 권6" 동국대출판부 2010
경북지역 향촌지배층과 전기의병장들의 동학농민군 인식과 대응
1906년 일본군 安東縣軍政署의 鴨綠江 하구 조사의 성격과 의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2 | 1.67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