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네이티브 광고 인식, 기망성 인식이 광고 효과 및 언론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겨레신문의 네이티브 광고(기사형, 카드뉴스형)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Native Advertising Recognition and Perception of Deception on Advertising Effect and Trust in the Newspapers - With a focus on native advertising (article- and card news-type native advertising) in Hankyore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tive advertising is an online advertising model based on people's trust in news media. Some research has reported that native advertising could have high advertising effects, and others predicted that it could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trust of news media. Thu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rust in news media,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and perceptions of deception on the effects of native advertising (advertising effects as positive effects and trust in news media as negative effects). The study divided native advertising models into article-type and card new-type advertising to provide broad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of native advertising effec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regarding article-type native advertising show that trust in news media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that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had positive effects on brand attitude, intention to purchase a product in advertising, intention to share advertising, and trust in news media. It also found that perceptions of deception in native advertising had negative effects on brand attitude, intention to purchase a product in advertising, intention to share advertising, and trust in news media. Secondly, the findings regarding card news-type native advertising show that trust in news media had positive impacts on the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that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had positive impacts on brand attitude, intention to purchase a product in advertising, intention to share advertising, and trust in news media, and that perceptions of deception in native advertising had negative impacts on intention to share advertising and trust in news media.
      번역하기

      Native advertising is an online advertising model based on people's trust in news media. Some research has reported that native advertising could have high advertising effects, and others predicted that it could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trust of n...

      Native advertising is an online advertising model based on people's trust in news media. Some research has reported that native advertising could have high advertising effects, and others predicted that it could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trust of news media. Thu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rust in news media,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and perceptions of deception on the effects of native advertising (advertising effects as positive effects and trust in news media as negative effects). The study divided native advertising models into article-type and card new-type advertising to provide broad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of native advertising effec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regarding article-type native advertising show that trust in news media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that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had positive effects on brand attitude, intention to purchase a product in advertising, intention to share advertising, and trust in news media. It also found that perceptions of deception in native advertising had negative effects on brand attitude, intention to purchase a product in advertising, intention to share advertising, and trust in news media. Secondly, the findings regarding card news-type native advertising show that trust in news media had positive impacts on the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that perceptions of native advertising had positive impacts on brand attitude, intention to purchase a product in advertising, intention to share advertising, and trust in news media, and that perceptions of deception in native advertising had negative impacts on intention to share advertising and trust in news med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네이티브 광고는 언론사의 신뢰에 근거한 온라인 광고 모델이다. 다만, 네이티브 광고가 높은 광고 효과를 가진다는 연구결과와 함께 언론사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목소리도 존재한다. 이에 이 연구는 언론사 신뢰, 네이티브 광고 인식, 기망성 인식 변인을 활용하여 네이티브 광고의 효과(긍정적 효과로서 광고 효과, 부정적 효과로서 언론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는 네이티브 광고 모델을 기사형 광고와 카드뉴스형 광고로 구분함으로써 네이티브 광고 효과 연구에 대한 폭넓은 함의를 이끌어 내고자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사형 네이티브 광고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론 신뢰는 네이티브 광고 인식에 정적 영향을, 네이티브 광고 인식은 브랜드 태도, 광고 상품 구매의도, 광고 공유의도, 언론 신뢰에 정적 영향을, 네이티브 기망성 인식은 브랜드 태도, 광고 상품 구매의도, 광고 공유의도, 언론 신뢰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카드뉴스형 네이티브 광고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론 신뢰는 네이티브 광고 인식에 정적 영향을, 네이티브 광고 인식은 브랜드 태도, 광고 상품 구매의도, 광고 공유의도, 언론사 신뢰에 정적 영향을, 네이티브 광고 기망성 인식은 광고 공유의도, 언론사 신뢰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반으로 네이티브 광고의 발전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수행했다.
      번역하기

      네이티브 광고는 언론사의 신뢰에 근거한 온라인 광고 모델이다. 다만, 네이티브 광고가 높은 광고 효과를 가진다는 연구결과와 함께 언론사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부...

      네이티브 광고는 언론사의 신뢰에 근거한 온라인 광고 모델이다. 다만, 네이티브 광고가 높은 광고 효과를 가진다는 연구결과와 함께 언론사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목소리도 존재한다. 이에 이 연구는 언론사 신뢰, 네이티브 광고 인식, 기망성 인식 변인을 활용하여 네이티브 광고의 효과(긍정적 효과로서 광고 효과, 부정적 효과로서 언론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는 네이티브 광고 모델을 기사형 광고와 카드뉴스형 광고로 구분함으로써 네이티브 광고 효과 연구에 대한 폭넓은 함의를 이끌어 내고자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사형 네이티브 광고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론 신뢰는 네이티브 광고 인식에 정적 영향을, 네이티브 광고 인식은 브랜드 태도, 광고 상품 구매의도, 광고 공유의도, 언론 신뢰에 정적 영향을, 네이티브 기망성 인식은 브랜드 태도, 광고 상품 구매의도, 광고 공유의도, 언론 신뢰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카드뉴스형 네이티브 광고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론 신뢰는 네이티브 광고 인식에 정적 영향을, 네이티브 광고 인식은 브랜드 태도, 광고 상품 구매의도, 광고 공유의도, 언론사 신뢰에 정적 영향을, 네이티브 광고 기망성 인식은 광고 공유의도, 언론사 신뢰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반으로 네이티브 광고의 발전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수행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기, "팟캐스트 이용 동기, 평가(저널리즘 가치 평가, 만족도)가 팟캐스트 지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문화진흥회 19 (19): 117-156, 2018

      2 주지혁, "청소년의 성(性)정향성, 인터넷 음란물 노출 및 노출 후 행태 사이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11-21, 2013

      3 이하늬, "중앙일보 네이티브 광고, 출구인가 헬게이트인가?"

      4 이현숙,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일 연구: 메시지 관여도, 오해율,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5 (15): 201-232, 2012

      5 채반석, "용어로 보는 IT"

      6 강미혜, "왜 네이티브 광고에 주목하는가"

      7 이경렬, "온라인 네이티브 동영상광고에 대한 광고 혹은 정보 구분의 모호성이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각된 신뢰성과 지각된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5 (15): 161-176, 2017

      8 안순태, "온라인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 표식에 대한 분석: 광고 표식의 위치, 현저성, 명료성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1 (21): 5-31, 2019

      9 이정기, "온라인 광고 이슈 2016"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0 이종민, "애드버토리얼에 대한 소비자 이해율 및 오해율 조사" 한국광고학회 16 (16): 285-310, 2005

      1 이정기, "팟캐스트 이용 동기, 평가(저널리즘 가치 평가, 만족도)가 팟캐스트 지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문화진흥회 19 (19): 117-156, 2018

      2 주지혁, "청소년의 성(性)정향성, 인터넷 음란물 노출 및 노출 후 행태 사이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11-21, 2013

      3 이하늬, "중앙일보 네이티브 광고, 출구인가 헬게이트인가?"

      4 이현숙,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일 연구: 메시지 관여도, 오해율,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5 (15): 201-232, 2012

      5 채반석, "용어로 보는 IT"

      6 강미혜, "왜 네이티브 광고에 주목하는가"

      7 이경렬, "온라인 네이티브 동영상광고에 대한 광고 혹은 정보 구분의 모호성이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각된 신뢰성과 지각된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5 (15): 161-176, 2017

      8 안순태, "온라인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 표식에 대한 분석: 광고 표식의 위치, 현저성, 명료성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1 (21): 5-31, 2019

      9 이정기, "온라인 광고 이슈 2016"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0 이종민, "애드버토리얼에 대한 소비자 이해율 및 오해율 조사" 한국광고학회 16 (16): 285-310, 2005

      11 김병희, "스마트 시대의 광고 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2 안순태,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감성 자극이 심리적각성과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95) : 112-134, 2016

      13 김선호, "소비자는 네이티브 광고를 어떻게 받아들이나?" 한국언론진흥재단 1 (1): 1-10, 2015

      14 이정기, "대학생의 스트레스, 학교 부적응, 학업 성취도와 잠재적 학업 중단의도의 구조관계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34 (34): 1-24, 2018

      15 황우념, "대만 미디어 콘텐츠 노출이 한국인의 대만 인식, 대만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주)에스비에스 15 (15): 135-182, 2017

      16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1998

      17 썬도그, "뉴스기사의 신뢰도는 ‘누가 공유했나?’가 언론사보다 중요하다"

      18 유봉석, "뉴스 포털에서의 기사형 광고의 효과 요인에 관한연구: 메시지 노출 환경과 기망성 인식에 의한 역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19 (19): 23-45, 2018

      19 이수범, "네이티브 광고의 브랜드 및 제품 노출이수용자의 광고 인지와 태도, 공유 의도에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111) : 68-100, 2016

      20 강정수, "네이티브 광고와 저널리즘의 동거 (하): 유료화냐, 광고화냐"

      21 최원형, "네이티브 광고, 새 수익원인가 저널리즘의 ‘독’인가"

      22 홍문기, "네이티브 광고 유형이 신문 독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183-214, 2017

      23 강미선, "기사체광고의 실태와 개선방안: 설문조사,내용분석, 해외 사례연구의 통합 적용" 한국광고홍보학회 5 (5): 1-41, 2003

      24 박동현,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물리적/심리적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107-122, 2003

      25 문수백,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26 하선영, "광고주 만족하고 독자 사로잡는 고품질로 진화 중" 538 : 20-24, 2015

      27 정해원, "광고소구, 관여도, 설득지식에 따른 동영상 네이티브 광고 효과" 한국광고PR실학회 10 (10): 222-254, 2017

      28 유봉석, "‘온라인 기사형 광고’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심층면담 연구" 한국언론학회 59 (59): 227-251, 2015

      29 최세정, "‘애드블록’에서 자유롭고 정보와 오락도 제공: 네이티브 광고의 가치와 저널리즘" 538 : 16-19, 2015

      30 디지털타임즈, "[용어 아하!] 네이티브 광고"

      31 IAB, "The Native advertising playbook"

      32 Haas, R. G., "Temporal delay, Type of forewarning and resistance to influence" 11 (11): 459-469, 1975

      33 Van Reijmersdal, E., "Readers’ reactions to mixtures of advertising and editorial content in magazines" 27 (27): 39-53, 2005

      34 IPG MEDIA LAB, "Native Ad Research ‘NATIVE ADS VS BANNER ADS’"

      35 Balasubrmanian, S. K., "Beyond advertising and publicity: Hybrid messages and public issues" 23 (23): 29-46,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