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동근, "확장적 재정지출에 의한 경제성장은 지속가능한가? - ‘헤리티지’ 경제자유도를 이용한 실증분석 -" 한국재정정책학회 12 (12): 33-70, 2010
2 하혜수, "혁신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조직 개편 대안: 상황적합이론의 관점에서" 2012
3 김영재, "한국 정부의 고용 정책 변천에 관한 소고: 국가 중심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44) : 179-206, 2018
4 신동면, "한국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특성과 발전 방향" 한국정책학회 22 (22): 115-140, 2013
5 최광, "한국 재정의 과거 현재 미래: 고찰과 성찰" 한국재정학회 5 (5): 53-89, 2012
6 한국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 한국고용정보원 2017
7 박용철, "좋은 일자리 창출과 공공부문의 역할" 149 : 11-13, 2018
8 이해영, "정책연구에서 개입주의의 이념적 이해" 한국정책학회 25 (25): 300-328, 2016
9 이해영, "정책사상으로서 국가주의의 재조명: 탐색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427-454, 2015
10 이해영, "정책개입의 사회적 정당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정책학회 24 (24): 347-376, 2015
1 조동근, "확장적 재정지출에 의한 경제성장은 지속가능한가? - ‘헤리티지’ 경제자유도를 이용한 실증분석 -" 한국재정정책학회 12 (12): 33-70, 2010
2 하혜수, "혁신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조직 개편 대안: 상황적합이론의 관점에서" 2012
3 김영재, "한국 정부의 고용 정책 변천에 관한 소고: 국가 중심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44) : 179-206, 2018
4 신동면, "한국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특성과 발전 방향" 한국정책학회 22 (22): 115-140, 2013
5 최광, "한국 재정의 과거 현재 미래: 고찰과 성찰" 한국재정학회 5 (5): 53-89, 2012
6 한국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 한국고용정보원 2017
7 박용철, "좋은 일자리 창출과 공공부문의 역할" 149 : 11-13, 2018
8 이해영, "정책연구에서 개입주의의 이념적 이해" 한국정책학회 25 (25): 300-328, 2016
9 이해영, "정책사상으로서 국가주의의 재조명: 탐색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427-454, 2015
10 이해영, "정책개입의 사회적 정당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정책학회 24 (24): 347-376, 2015
11 윤건, "정부의 윤리성과 사회갈등 간 관계에 관한 실증적 탐색" 사회과학연구소 34 (34): 59-75, 2018
12 이시원, "정부변동에 따른 정책변동의 사례분석: 고용노동부의 일자리창출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293-319, 2018
13 이진영,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 추정: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제도∙경제학회 12 (12): 145-163, 2018
14 문병기,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성과분석 - 직접일자리사업의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1 (21): 303-328, 2014
15 이혜승,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실태분석" 감사원 감사연구원 2012
16 최정묵, "재정분권이 OECD 국가들의 정부효과성에 미친 영향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32 (32): 323-347, 2016
17 양재진, "작은 복지국가 연구: 성과, 한계 그리고 연구 방향의 제시" 정부학연구소 22 (22): 3-28, 2016
18 일자리위원회,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일자리위원회 2017
19 김종웅, "일자리재정과 정부의 역할: 일자리재정지출의 우선순위를 중심으로" 2018
20 변양규, "이명박 정부 정책평가 및 선진화 과제" 392-459, 2010
21 심혜정,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국제적 위상과 일자리 창출 효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7
22 김태일, "우리나라 공무원 규모의 국제비교" 한국행정연구원 15 (15): 3-26, 2007
23 김태일, "신화 깨트리기: 작은 정부론" 529-546, 2007
24 변영우, "새로운 사회적 위험구조에 의한 OECD 국가의 사회지출구조 변화"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37-357, 2012
25 기획예산처, "상반기중 26.1만명 일자리 창출, 성과위주 지원 강화"
26 심지홍, "사회적 일자리 창출의 문제점" 한국질서경제학회 11 (11): 45-66, 2008
27 김형용, "사회서비스 산업화에 따른 사회적 노동의 위기 : 지역사회기반 서비스로의 전환 모색" 사회복지연구소 25 : 115-141, 2010
28 김혜원,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6
29 정의룡, "복지와 재정건전성의 관계분석: OECD 국가들의 사회투자형 복지지출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6 (46): 147-171, 2012
30 이인재, "변화하는 정책환경과 공공부문 일자리정책 과제" 2-12, 2017
31 주은선, "변화하는 스웨덴 모델과 박근혜 정부의 복지정책 방향"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5) : 103-142, 2014
32 관계부처 합동, "민간일자리 창출 지원 및 공공기관 일자리 확대방안"
33 권정현, "미국 오바마 정부의 노동시장 정책 평가와 2012년 대선 공약" 37-43, 2012
34 이복수,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향후 과제" 11-13, 2017
35 김대호, "문재인 정부 공공부문 일자리 정책 현황과 문제점, In 공공부문 일자리정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 자료집"
36 김윤정,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의 스웨덴과 영국의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국제개발연구소 7 (7): 47-70, 2017
37 한국은행, "국민계정" 한국은행 2018
38 최희경, "공공주택 운영의 소셜 엔지니어링 접근: 스웨덴 지역주택공사의 경험"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141-189, 2017
39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40 기획재정부, "′17년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결과 및 향후 계획"
41 금현섭, "OECD 국가와 비교한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 방안" 일자리기획단 2017
42 OECD,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43 Fairclough, 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Longman 1995
44 기획재정부, "4.9조원 일자리 대책으로 55만개 새 일자리 창출"
45 인사혁신처, "2018년 공무원총조사 보고서" 인사혁신처 2018
46 국회예산정책처, "2017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분석" 국회예산정책처 2017
47 통계청,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48 통계청, "2015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49 한국은행, "2014년 산업연관표" 한국은행 2016
50 이정진, "2012 미국대선: 민주당과 공화당의 정책 비교" 국회입법조사처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