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정책 담론에 대한 분석- 공무원 증원을 둘러싼 국가개입 논쟁을 중심으로 = Discourse Analysis of the Public Sector Employment Policy in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 Focusing on the Controversy over the Government Intervention toward Expansion of Public Offic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government of Moon Jae-In, the government became a direct employer and created 810,000 public jobs including the recruitment of 174,000 new public officials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input, thereby causing social benefits such as solving youth unemployment problems and raising economic growth rate. However,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led public sector job creation policy has been controversial about the opposition to the 'big government' and the appropriateness of national intervention in job cre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overall landscape of job creation in the public sector more deeply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intervention in the policy of 'expansion of the amount of jobs' promoted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equacy of the expansion of public sector jobs through national inter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erception of national intervention is formed in a relative and complex manner in the creation of public sector jobs in Korean society, and that national intervention is symbolized by various values ​​and cultural codes in the creation of public sector job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maintain a balanced view on job creation in the public sector and to secure objective evidence for positive or negative results.
      번역하기

      In the government of Moon Jae-In, the government became a direct employer and created 810,000 public jobs including the recruitment of 174,000 new public officials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input, thereby causing social benefits such as solving you...

      In the government of Moon Jae-In, the government became a direct employer and created 810,000 public jobs including the recruitment of 174,000 new public officials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input, thereby causing social benefits such as solving youth unemployment problems and raising economic growth rate. However,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led public sector job creation policy has been controversial about the opposition to the 'big government' and the appropriateness of national intervention in job cre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overall landscape of job creation in the public sector more deeply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intervention in the policy of 'expansion of the amount of jobs' promoted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equacy of the expansion of public sector jobs through national inter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erception of national intervention is formed in a relative and complex manner in the creation of public sector jobs in Korean society, and that national intervention is symbolized by various values ​​and cultural codes in the creation of public sector job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maintain a balanced view on job creation in the public sector and to secure objective evidence for positive or negative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재인 정부는 2022년까지 17.4만 명의 신규공무원 채용을 포함한 공공부문 일자리 81만 개를 창출함으로써 청년실업문제의 완화와 경제성장률 제고 등과 같은 사회적 편익을 유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공무원 증원을 둘러싸고 ‘큰 정부’에 대한 우려 및 국가개입의 적절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의 양 확대’ 정책에 있어서 공무원 증원을 둘러싼 논란에 주목함으로써 정부 주도의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대한 전체적인 지형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국가개입을 통한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의 적절성 논쟁에 대한 분석결과, 우리 사회에서 공무원 증원을 통한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이고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국가개입과 관련된 논란은 다양한 가치와 상징들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공분야 고용창출에 대한 균형된 시각과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결과에 대한 객관적 근거 확보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번역하기

      문재인 정부는 2022년까지 17.4만 명의 신규공무원 채용을 포함한 공공부문 일자리 81만 개를 창출함으로써 청년실업문제의 완화와 경제성장률 제고 등과 같은 사회적 편익을 유발하고자 하였...

      문재인 정부는 2022년까지 17.4만 명의 신규공무원 채용을 포함한 공공부문 일자리 81만 개를 창출함으로써 청년실업문제의 완화와 경제성장률 제고 등과 같은 사회적 편익을 유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공무원 증원을 둘러싸고 ‘큰 정부’에 대한 우려 및 국가개입의 적절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의 양 확대’ 정책에 있어서 공무원 증원을 둘러싼 논란에 주목함으로써 정부 주도의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대한 전체적인 지형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국가개입을 통한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의 적절성 논쟁에 대한 분석결과, 우리 사회에서 공무원 증원을 통한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이고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국가개입과 관련된 논란은 다양한 가치와 상징들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공분야 고용창출에 대한 균형된 시각과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결과에 대한 객관적 근거 확보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동근, "확장적 재정지출에 의한 경제성장은 지속가능한가? - ‘헤리티지’ 경제자유도를 이용한 실증분석 -" 한국재정정책학회 12 (12): 33-70, 2010

      2 하혜수, "혁신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조직 개편 대안: 상황적합이론의 관점에서" 2012

      3 김영재, "한국 정부의 고용 정책 변천에 관한 소고: 국가 중심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44) : 179-206, 2018

      4 신동면, "한국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특성과 발전 방향" 한국정책학회 22 (22): 115-140, 2013

      5 최광, "한국 재정의 과거 현재 미래: 고찰과 성찰" 한국재정학회 5 (5): 53-89, 2012

      6 한국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 한국고용정보원 2017

      7 박용철, "좋은 일자리 창출과 공공부문의 역할" 149 : 11-13, 2018

      8 이해영, "정책연구에서 개입주의의 이념적 이해" 한국정책학회 25 (25): 300-328, 2016

      9 이해영, "정책사상으로서 국가주의의 재조명: 탐색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427-454, 2015

      10 이해영, "정책개입의 사회적 정당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정책학회 24 (24): 347-376, 2015

      1 조동근, "확장적 재정지출에 의한 경제성장은 지속가능한가? - ‘헤리티지’ 경제자유도를 이용한 실증분석 -" 한국재정정책학회 12 (12): 33-70, 2010

      2 하혜수, "혁신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조직 개편 대안: 상황적합이론의 관점에서" 2012

      3 김영재, "한국 정부의 고용 정책 변천에 관한 소고: 국가 중심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44) : 179-206, 2018

      4 신동면, "한국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특성과 발전 방향" 한국정책학회 22 (22): 115-140, 2013

      5 최광, "한국 재정의 과거 현재 미래: 고찰과 성찰" 한국재정학회 5 (5): 53-89, 2012

      6 한국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 한국고용정보원 2017

      7 박용철, "좋은 일자리 창출과 공공부문의 역할" 149 : 11-13, 2018

      8 이해영, "정책연구에서 개입주의의 이념적 이해" 한국정책학회 25 (25): 300-328, 2016

      9 이해영, "정책사상으로서 국가주의의 재조명: 탐색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427-454, 2015

      10 이해영, "정책개입의 사회적 정당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정책학회 24 (24): 347-376, 2015

      11 윤건, "정부의 윤리성과 사회갈등 간 관계에 관한 실증적 탐색" 사회과학연구소 34 (34): 59-75, 2018

      12 이시원, "정부변동에 따른 정책변동의 사례분석: 고용노동부의 일자리창출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293-319, 2018

      13 이진영,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 추정: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제도∙경제학회 12 (12): 145-163, 2018

      14 문병기,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성과분석 - 직접일자리사업의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1 (21): 303-328, 2014

      15 이혜승,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실태분석" 감사원 감사연구원 2012

      16 최정묵, "재정분권이 OECD 국가들의 정부효과성에 미친 영향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32 (32): 323-347, 2016

      17 양재진, "작은 복지국가 연구: 성과, 한계 그리고 연구 방향의 제시" 정부학연구소 22 (22): 3-28, 2016

      18 일자리위원회,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일자리위원회 2017

      19 김종웅, "일자리재정과 정부의 역할: 일자리재정지출의 우선순위를 중심으로" 2018

      20 변양규, "이명박 정부 정책평가 및 선진화 과제" 392-459, 2010

      21 심혜정,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국제적 위상과 일자리 창출 효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7

      22 김태일, "우리나라 공무원 규모의 국제비교" 한국행정연구원 15 (15): 3-26, 2007

      23 김태일, "신화 깨트리기: 작은 정부론" 529-546, 2007

      24 변영우, "새로운 사회적 위험구조에 의한 OECD 국가의 사회지출구조 변화"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37-357, 2012

      25 기획예산처, "상반기중 26.1만명 일자리 창출, 성과위주 지원 강화"

      26 심지홍, "사회적 일자리 창출의 문제점" 한국질서경제학회 11 (11): 45-66, 2008

      27 김형용, "사회서비스 산업화에 따른 사회적 노동의 위기 : 지역사회기반 서비스로의 전환 모색" 사회복지연구소 25 : 115-141, 2010

      28 김혜원,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6

      29 정의룡, "복지와 재정건전성의 관계분석: OECD 국가들의 사회투자형 복지지출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6 (46): 147-171, 2012

      30 이인재, "변화하는 정책환경과 공공부문 일자리정책 과제" 2-12, 2017

      31 주은선, "변화하는 스웨덴 모델과 박근혜 정부의 복지정책 방향"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5) : 103-142, 2014

      32 관계부처 합동, "민간일자리 창출 지원 및 공공기관 일자리 확대방안"

      33 권정현, "미국 오바마 정부의 노동시장 정책 평가와 2012년 대선 공약" 37-43, 2012

      34 이복수,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향후 과제" 11-13, 2017

      35 김대호, "문재인 정부 공공부문 일자리 정책 현황과 문제점, In 공공부문 일자리정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 자료집"

      36 김윤정,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의 스웨덴과 영국의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국제개발연구소 7 (7): 47-70, 2017

      37 한국은행, "국민계정" 한국은행 2018

      38 최희경, "공공주택 운영의 소셜 엔지니어링 접근: 스웨덴 지역주택공사의 경험"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141-189, 2017

      39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40 기획재정부, "′17년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결과 및 향후 계획"

      41 금현섭, "OECD 국가와 비교한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 방안" 일자리기획단 2017

      42 OECD,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43 Fairclough, 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Longman 1995

      44 기획재정부, "4.9조원 일자리 대책으로 55만개 새 일자리 창출"

      45 인사혁신처, "2018년 공무원총조사 보고서" 인사혁신처 2018

      46 국회예산정책처, "2017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분석" 국회예산정책처 2017

      47 통계청,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48 통계청, "2015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49 한국은행, "2014년 산업연관표" 한국은행 2016

      50 이정진, "2012 미국대선: 민주당과 공화당의 정책 비교" 국회입법조사처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