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이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whole language education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children through children's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53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을 위해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 모형' 정립하여 이를 실제 적용한 후,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이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

      본 연구는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을 위해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 모형' 정립하여 이를 실제 적용한 후,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이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를 기초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학, 관련교과 활동 영역으로 구성된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 모형' 정립하고 Gardner의 다중지능을 4 지능 측면으로 IQ적 측면, EQ적 측면, SQ적 측면, NQ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다중지능 발달에 관한 Shearer의 다중지능 발달 척도에 관한 사전 검사 실시 후, 총 8주동안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Q적 지능의 하위 MI 영역인 언어적 지능 발달에는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논리-수학적인 지능의 경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Q적 지능의 하위 MI 영역인 음악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발달에 모두 효과적이었다. 또한 SQ적 지능의 하위 MI 영역인 대인관계 지능, 개인이해 지능 발달에 효과적이었으며, NQ적 측면의 지능 발달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부분의 보완과 다중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총체적 언어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해 교사들이 고려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whole language education, through children's poetry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o do this study has been established by being constituted by the related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whole language education, through children's poetry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o do this study has been established by being constituted by the related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literature and related subject matters. Also, the 8 intelligences of Gardener have been distinguished in to the following categories: IQ, EQ, SQ, and NQ.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 graders. The model of whole language education through children's poetry had been used in a language classroom after investigating Shearer's position on the criteria of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of second graders. The developed model had been executed in the language classroom during 8 weeks from March to May.
      As a result, it was shown to b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intelligence (which is a sub MI area of IQ) and also for the development of musical, physical intelligence (which is a sub MI area of IQ) but not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lso, it was effective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understanding intelligence (which is a sub MI area of SQ), but was not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NQ. Therefore, a sugges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ways to supplement the non effective aspects of this model taking into consideration teachers will be stated.
      Finally, for whole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the role of the teacher is pivotal. This investigation deals with the need for Whole language and the related strategies for practicing it. Thus, this investigation is meant to be of concrete and substantial help for teachers in practice who want to apply whole language education to their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총체적 언어교육 이론
      • 2. 총체적 언어학습과 다중지능 이론
      • Ⅲ. 연구방법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총체적 언어교육 이론
      • 2. 총체적 언어학습과 다중지능 이론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측정도구
      • 3.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1. IQ적 측면의 지능의 차이
      • 2. EQ적 측면의 지능의 차이
      • 3. SQ적 측면의 지능의 차이
      • 4. NQ적 측면의 지능의 차이
      •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
      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4 1.4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