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경범 교수의) 교육학 핵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106189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미래, 2007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0.1 판사항(22)

      • ISBN

        9788991245631 13370 : ₩2300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이경범 교수의) 교육학 핵심 / 이경범 편저.

      • 기타서명

        유치원,초등·중등,보건교사,교원임용대비

      • 형태사항

        641 p. : 삽도 ; 26 cm.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chapter 01 교육학개론
      • 1. 교육의 개념 = 2
      • 2.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 4
      • 3. 교육의 정의 = 5
      • 목차
      • chapter 01 교육학개론
      • 1. 교육의 개념 = 2
      • 2.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 4
      • 3. 교육의 정의 = 5
      • 4. 교육의 목적 = 7
      • 5. 교육의 유형 = 9
      • chapter 02 교사론
      • 1. 교직과 교사 = 24
      • 2. 교원의 역할과 자질 = 25
      • 3. 교사양성과 교육 = 27
      • 4. 교사의 권리와 의무 = 28
      • 5. 교직윤리 = 30
      • 6. 교직단체 = 31
      • chapter 03 한국교육사
      • 1. 삼국시대의 교육 = 36
      • 2. 고려시대의 교육 = 41
      • 3. 유교의 교육사상 = 48
      • 4. 조선시대의 교육사상 = 52
      • 5. 19세기의 근대교육 = 76
      • 6. 일제시대의 교육 = 84
      • 7. 현대의 교육 = 91
      • chapter 04 서양교육사
      • 1. 고대의 교육 = 98
      • 2. 서양 중세의 교육 = 106
      • 3. 15세기 문예부흥과 16세기 종교개혁기의 교육 = 110
      • 4. 17세기 실학주의 교육 = 115
      • 5.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의 교육 = 121
      • 6. 19세기 신인문주의 = 127
      • 7. 20세기 현대의 교육 = 139
      • chapter 05 교육철학
      • 1. 교육철학의 개념 = 144
      • 2. 철학의 연구영역 = 145
      • 3. 지식의 종류와 조건 = 147
      • 4. 전통적 철학 = 149
      • 5. 미국의 4대 철학 = 151
      • 6. 현대의 교육철학 = 156
      • chapter 06 교육과정
      • 1. 교육과정의 개념 = 176
      • 2. 교육과정의 구성 = 180
      • 3.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Vs 교육내용으로서의 경험 = 186
      • 4. 교육과정의 유형 = 190
      • 5. 교육과정 연구에 따른 분류 = 202
      • 6. 개발모형에 따른 교육과정 = 206
      • 7. 우리나라 교육과정 = 213
      • chapter 07 교육심리학
      • 1. 교육심리학의 기초 = 218
      • 2. 발달이론 = 222
      • 3. 학습이론 = 243
      • 4. 인지적 특성과 교육 = 261
      • 5. 정의적 특성과 교육 = 277
      • 6. 성격과 적응 = 284
      • 7. 학습부진과 학습장애 = 289
      • chapter 08 생활지도 및 상담
      • 1. 생활지도의 기초 = 292
      • 2. 상담활동의 기초 = 294
      • 3. 상담이론 = 299
      • 4. 생활지도의 실제 = 331
      • chapter 09 교수-학습이론
      • 1. 교수-학습이론의 기초 = 340
      • 2. 수업변인 = 344
      • 3. 교육방법의 유형 = 346
      • 4. 교수-학습이론 = 361
      • 5. 최신 교수-학습이론 = 377
      • 6. 개별화 교수법 = 393
      • chapter 10 교육공학
      • 1. 교육공학의 기초 = 400
      • 2. 교육공학의 발달 = 402
      • 3. 교육공학에서의 교수매체 = 407
      • 4. 교수설계 = 418
      • 5. 교육공학에서의 교육매체의 활용 = 424
      • chapter 11 교육사회학
      • 1. 교육사회학 연구의 발달 = 448
      • 2. 교육과 문화 = 463
      • 3. 사회화와 교육 = 465
      • 4. 사회집단과 교육 = 466
      • 5. 교육과 사회계층 = 469
      • 6. 교육평등과 사회평등 = 471
      • 7. 교육선발과 시험의 성격 = 477
      • 8. 학업성취 격차와 결정요인 = 479
      • 9. 지역사회학교 = 480
      • 10. 발전교육론 = 481
      • 11. 학교팽창과 학력의 상승 = 482
      • 12. 학교교육의 위기와 교육개혁 = 484
      • chapter 12 교육행정
      • 1. 교육행정의 기초 = 490
      • 2. 고전적 행정관리론 = 494
      • 3. 인간관계론 = 496
      • 4. 행동과학론 = 497
      • 5. 체제론 = 509
      • 6. 해석론 = 512
      • 7. 급진적 관점 = 513
      • 8. 조직론 = 515
      • 9. 기획론 = 525
      • 10. 교육정책론 = 527
      • 11. 장학-수업의 질(효과성) 향상 = 534
      • 12. 교육재정 = 539
      • 13. 학교ㆍ학급 경영론 = 546
      • 14. 학교 컨설팅 = 557
      • 15. 교육제도론 = 558
      • 16. 교육인사 정책론 = 562
      • chapter 13 교육통계
      • 1. 교육통계의 기초 = 570
      • 2. 집중경향치 = 572
      • 3. 변산도 = 575
      • 4. 규준점수 = 579
      • 5. 문항의 통계적 분석 = 581
      • 6. 측정치의 통계적 분석 = 586
      • 7. 추리통계 = 589
      • chapter 14 교육평가
      • 1. 교육평가의 기초 = 594
      • 2. 교육평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 = 597
      • 3. 교육평가의 유형 = 604
      • 4. 평가도구의 조건 = 613
      • 5.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및 메타평가 = 621
      • 6. 평가문항의 제작 = 622
      • chapter 15 교육연구
      • 1. 교육연구의 기초 = 626
      • 2. 실험적 연구 = 628
      • 3. 기술적 연구법 = 632
      • 4. 표집방법 = 634
      • 5. 자료수집방법 = 6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