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누리과정 재원부담 정책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의 원인에 대한 분석 = IAD 정책분석 틀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29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앙정부는 2012년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육 및 보육과정을 통합한 정책인 ‘누리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5년 동안 누리과정의 재원부담을 둘러싸고 중앙정부와 시·도교...

      중앙정부는 2012년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육 및 보육과정을 통합한 정책인 ‘누리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5년 동안 누리과정의 재원부담을 둘러싸고 중앙정부와 시·도교육청 사이의 갈등이 반복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학부모와 어린이집 종사자들이 피해를 보는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IAD 정책분석 틀에 기초하여 누리과정 재원부담 정책을 둘러싼 갈등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물리적 조건으로서 누리과정 재원부담 정책의 재원으로 설정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공유재적 특성과 사용권한의 불명확성 등 제도적 요인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공동체의 속성 측면에서 중앙정부의 가치체계(효율과 집권)와 시·도교육청의 가치체계(자율과 분권) 상이하였다는 점이 갈등이 지속된 중요한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앙정부가 권한과 지위, 부정확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방적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한 것이 또 하나의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할 때, 향후 누리과정 재원부담 정책은 법률 개정 등 입법과정을 통해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사용에 대한 명확한 권한을 설정하고, 정책대상자인 시·도교육청의 참여를 보장하는 등 제도적 측면의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vernment enforced Nuri Program which integrated kindergarte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day care facilities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partment in 2012. Conflicts related finance for the policy, however, between central gove...

      Government enforced Nuri Program which integrated kindergarte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day care facilities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partment in 2012. Conflicts related finance for the policy, however,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ontinued, even were exacerbated year again year, and the press call it ‘Child-care Chaos’. This paper analyzed the key causes of social conflicts related the policy of Nuri Program finances based on IAD policy analysis framework. As the results, firstly, in the light of physical conditions, local education subsidy had the characteristics of commons, and authority for use of it was not clear. Secondly, in the light of community attributes,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had different value systems. Thirdly, central government compelled local governments to execute the policy based on authority rule without participating local government, even with inaccurate information about future local education subsidy prospects.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future policy of Nuri Program finances should be changed to clear the authority for use and to assure th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 through legislation process in cong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의 검토와 분석방법
      • Ⅲ. 누리과정 재원부담 정책분석: 2012-2016
      • Ⅳ. 결론: 어떠한 정책혁신이 필요한가?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의 검토와 분석방법
      • Ⅲ. 누리과정 재원부담 정책분석: 2012-2016
      • Ⅳ. 결론: 어떠한 정책혁신이 필요한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민석, "지방교육재정의 현황과 재정확보 방안-누리교육과정과 관련한 중앙정부와 지방교육청 간의 갈등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2 (2): 125-145, 2015

      2 이동규, "유아교육・보육 통합에 대한 제도분석 발전모형의 접근: 노무현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까지(2004년∼2013년까지)"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113-135, 2014

      3 이혜경,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들은 어느 나라 국민인가?-누리과정 예산편성의 책임주체에 대하여" 2015

      4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1-106호"

      5 관계부처합동,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2013.5.28)"

      6 김준한, "무상보육 재원분담을 둘러싼 갈등 과정에서의 프레임효과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207-226, 2015

      7 국무총리실, "만5세 어린이 교육・보육, 국가가 책임진다 2011.5.2"

      8 문화일보, "누리예산 싸움 ‘1인시위’ 나선 교육감들… 정치투쟁・법리투쟁 이어 장외투쟁까지 2016년 2월 4일"

      9 박은혜, "누리과정 재정 구조를 통해서 본 유아교육 공교육제체 분석과 미래방향" 한국교육개발원 39 (39): 55-78, 2012

      10 최성은, "누리과정 예산편성의 쟁점과 당면과제" 2016 (2016): 24-35, 2016

      1 정민석, "지방교육재정의 현황과 재정확보 방안-누리교육과정과 관련한 중앙정부와 지방교육청 간의 갈등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2 (2): 125-145, 2015

      2 이동규, "유아교육・보육 통합에 대한 제도분석 발전모형의 접근: 노무현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까지(2004년∼2013년까지)"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113-135, 2014

      3 이혜경,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들은 어느 나라 국민인가?-누리과정 예산편성의 책임주체에 대하여" 2015

      4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1-106호"

      5 관계부처합동,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2013.5.28)"

      6 김준한, "무상보육 재원분담을 둘러싼 갈등 과정에서의 프레임효과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207-226, 2015

      7 국무총리실, "만5세 어린이 교육・보육, 국가가 책임진다 2011.5.2"

      8 문화일보, "누리예산 싸움 ‘1인시위’ 나선 교육감들… 정치투쟁・법리투쟁 이어 장외투쟁까지 2016년 2월 4일"

      9 박은혜, "누리과정 재정 구조를 통해서 본 유아교육 공교육제체 분석과 미래방향" 한국교육개발원 39 (39): 55-78, 2012

      10 최성은, "누리과정 예산편성의 쟁점과 당면과제" 2016 (2016): 24-35, 2016

      11 최은영, "누리과정 시행 이후의 유아교육재정 변화 및 향후 과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51-68, 2016

      12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0호"

      13 강은숙, "공유재의 딜레마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또 하나의 길: E. Ostrom의 기여와 남겨진 연구과제들" 한국정부학회 25 (25): 531-555, 2013

      14 김철회, "공공기관 임금피크제의 작동원리와 기대효과에 대한 연구" 공공기관과 국가정책 294-295, 2016

      15 김철회, "『보육대란』과 중앙-지방정부의 재정분담: Ostrom의 IAD 분석틀 관점에서" 2016

      16 Elinor Ostrom Roy, Gardner, "Rules, Games, and Common-Pool Resourc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17 김주경,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 Framework)을 적용한 영유아 무상보육정책 분석 - 누구를 위한 무상보육인가? -" 한국정책학회 23 (23): 527-563, 2014

      18 심익섭, "IAD분석을 통한 읍・면・동 주민자치센터의 발전방안 연구: 주민자치센터와 주민자치위원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147-172, 2015

      19 Elinor Ostrom, "Elinor Ostrom: Understanding Institutional D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2005

      20 Elinor Ostrom, "Collective action and the evolution of social norms" 6 (6): 235-252, 2014

      21 Margaret M. Polski,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Policy Analysis and Design"

      22 통계청, "7월 11일「인구의 날」에 즈음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2015.7.8"

      23 기획재정부, "2012년 제3차 위기관리대책회의 개최 2012년 1월 18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8 1.41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