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 Analysis of recogni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digital literacy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수용 양상을 간략히 짚어보고 초・중학교 교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를 진단하여, 교과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과 교육과정 검토 결과, 시대적 흐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수용해 왔으나 체계적인 것은 아니었다. 교사 설문 결과, 초・중학교 교사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를 이해한 편이었으나, 실제 실행은 그에 미치지 못했다. 중학교 교사는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인식과 실천 모두 소극적인 편이었고 교과별로는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에 교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실행 근거를 명시할 것, 학습자 중심의 교과 수업을 설계할 것, 디지털 자원 관리 및 지원 체제를 구축할 것, 교과 특성에 맞는 교사 연수를 제공할 것, 교사 간 혹은 교과 간 공조 체제를 도모할 것 등을 개선안으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수용 양상을 간략히 짚어보고 초・중학교 교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를 진단하여, 교과 ...

      본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수용 양상을 간략히 짚어보고 초・중학교 교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를 진단하여, 교과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과 교육과정 검토 결과, 시대적 흐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수용해 왔으나 체계적인 것은 아니었다. 교사 설문 결과, 초・중학교 교사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를 이해한 편이었으나, 실제 실행은 그에 미치지 못했다. 중학교 교사는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인식과 실천 모두 소극적인 편이었고 교과별로는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에 교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실행 근거를 명시할 것, 학습자 중심의 교과 수업을 설계할 것, 디지털 자원 관리 및 지원 체제를 구축할 것, 교과 특성에 맞는 교사 연수를 제공할 것, 교사 간 혹은 교과 간 공조 체제를 도모할 것 등을 개선안으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igital literacy is accepted in subject-matter curriculum, to identify how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 and practice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subject-matter educa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ubject-matter curriculum, it appeared that digital literacy contents have been accepted in them along with the trend of the time, but they have not been systematic. Teacher survey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relatively understood the chang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le its practice in class was not the equivalent level as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The middle school teachers were more passive tha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recognition and practice as well as the aspects of each subject were shown different.
      Thus,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at basis the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subject-matter curriculum has, to design learner-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to build the digital resource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or to coordinate the interdisciplinary system among teachers or different subject-matt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igital literacy is accepted in subject-matter curriculum, to identify how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 and practice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igital literacy is accepted in subject-matter curriculum, to identify how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 and practice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subject-matter educa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ubject-matter curriculum, it appeared that digital literacy contents have been accepted in them along with the trend of the time, but they have not been systematic. Teacher survey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relatively understood the chang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le its practice in class was not the equivalent level as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The middle school teachers were more passive tha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recognition and practice as well as the aspects of each subject were shown different.
      Thus,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at basis the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subject-matter curriculum has, to design learner-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to build the digital resource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or to coordinate the interdisciplinary system among teachers or different subject-matt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1.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 2.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Ⅲ. 연구 방법 1. 설문 조사 대상 2. 설문 조사 문항 3. 응답자 특성 Ⅳ. 연구 결과 1.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변화 인식 3. 교과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의 양상 4.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준비도 및 여건 개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1.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 2.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Ⅲ. 연구 방법 1. 설문 조사 대상 2. 설문 조사 문항 3. 응답자 특성 Ⅳ. 연구 결과 1.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변화 인식 3. 교과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의 양상 4.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준비도 및 여건 개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선,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2 "캐나다 미디어스마트"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4 한정선, "지식 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유네스코"

      6 "영국 JISC"

      7 "미국 커먼센스미디어"

      8 배상률,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미디어 교육 제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9 김수환,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10 구본권, "디지털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 디지털 기술과 정보 이해・활용 능력, 뉴스 리터러시와 직결" 한국언론진흥재단 (2) : 4-9, 2017

      1 정현선,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2 "캐나다 미디어스마트"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4 한정선, "지식 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유네스코"

      6 "영국 JISC"

      7 "미국 커먼센스미디어"

      8 배상률,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미디어 교육 제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9 김수환,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10 구본권, "디지털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 디지털 기술과 정보 이해・활용 능력, 뉴스 리터러시와 직결" 한국언론진흥재단 (2) : 4-9, 2017

      11 김정래, "디지털 리터러시" 해냄출판사 1999

      12 "국가법령정보센터"

      13 Scott, C. L., "The futures of learning 2: What kind of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Education Research and Foresight Working Paper Series, 14" UNESCO Education Research and Foresight

      14 Futurelab, "Digital literacy across the curriculum"

      15 MediaSmarts, "Digital Literac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