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국내 영구기록물의 EAD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ncoded Archival Description(EAD) Elements for the Archival Institution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AD mandatory elements to share finding aids among the Archival Institutions of Korea. Three foreign EAD best practices for case studies: the EAD Best Practice at the Library of Congress(2008), the RLG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ncoded Archival Description(2002), and the OAC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2005)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Archival Description Rules(2008) as the data content standard of Korea and the descriptive elements which are were being used at Archival Institutions of Korea were analyzed. Based upon the results of comparisons among EAD element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which EAD elements should be included in finding aids as a matter of exchange format.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he rules and EAD elements for the archival institutions in Korea were designed and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AD mandatory elements to share finding aids among the Archival Institutions of Korea. Three foreign EAD best practices for case studies: the EAD Best Practice at the Library of Congress(2008), the RLG Best Pr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AD mandatory elements to share finding aids among the Archival Institutions of Korea. Three foreign EAD best practices for case studies: the EAD Best Practice at the Library of Congress(2008), the RLG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ncoded Archival Description(2002), and the OAC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2005)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Archival Description Rules(2008) as the data content standard of Korea and the descriptive elements which are were being used at Archival Institutions of Korea were analyzed. Based upon the results of comparisons among EAD element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which EAD elements should be included in finding aids as a matter of exchange format.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he rules and EAD elements for the archival institutions in Korea were designed and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검색도구를 공유할 수 있도록 EAD 필수요소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3개의 국외 모범사례인 미국연구도서관협회, 캘리포니아 온라인 아카이브, 미국의회도서관에서 개발한 모범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공공표준 『영구기록물 기술규칙』(2008)과 실제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담당자와의 심층 면담 과정을 거쳐 설계원칙과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검색도구를 공유할 수 있도록 EAD 필수요소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3개의 국외 모범사례인 미국연구도서관협회, 캘리포니...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검색도구를 공유할 수 있도록 EAD 필수요소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3개의 국외 모범사례인 미국연구도서관협회, 캘리포니아 온라인 아카이브, 미국의회도서관에서 개발한 모범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공공표준 『영구기록물 기술규칙』(2008)과 실제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담당자와의 심층 면담 과정을 거쳐 설계원칙과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영구기록물 기술규칙"

      2 송혜현, "소장기록물의 정리․기술 및 검색도구 구축 추진, In 2009 국가기록백서" 국가기록원 2010

      3 하은미, "대학기록물의 온라인 탐색도구 서비스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4 "대통령기록포털"

      5 김은형, "대통령기록물 분류․정리․기술, In 2010 국가기록백서" 국가기록원 2010

      6 행정안전부, "나라기록포털-계층별 검색의 기술요소" 국가기록원 2011

      7 행정안전부, "기술계층별 검색의 기술적(technical) 사항" 국가기록원 2011

      8 "기록물 생산기관 연혁정보"

      9 강소영, "기록물 검색도구 전산화를 위한 EAD DTD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2

      10 설문원, "기록 검색도구의 발전과 전망" 한국기록학회 (23) : 3-43, 2010

      1 "영구기록물 기술규칙"

      2 송혜현, "소장기록물의 정리․기술 및 검색도구 구축 추진, In 2009 국가기록백서" 국가기록원 2010

      3 하은미, "대학기록물의 온라인 탐색도구 서비스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4 "대통령기록포털"

      5 김은형, "대통령기록물 분류․정리․기술, In 2010 국가기록백서" 국가기록원 2010

      6 행정안전부, "나라기록포털-계층별 검색의 기술요소" 국가기록원 2011

      7 행정안전부, "기술계층별 검색의 기술적(technical) 사항" 국가기록원 2011

      8 "기록물 생산기관 연혁정보"

      9 강소영, "기록물 검색도구 전산화를 위한 EAD DTD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2

      10 설문원, "기록 검색도구의 발전과 전망" 한국기록학회 (23) : 3-43, 2010

      11 김경미, "국내 고문헌 처리를 위한 한국형 EAD 개발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1999

      12 "국가기록원 나라기록포털"

      13 Kiesling, K., "The Influence of American and European Practices on the Evolution of EAD" 3 (3): 207-215, 2006

      14 "RLG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AD"

      15 "OASIS Cover Pages"

      16 "OAC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AD"

      17 Park, J. R., "Metadata Quality in Digital Repositories: A Survey of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47 (47): 213-228, 2009

      18 "ISAD(G)"

      19 Frost, H. C., "Guidelines Counseling: A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EAD Implementation Guidelines" 1 (1): 73-86, 2002

      20 Pitti, D. V.,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the Development of an Encoding Standard for Archival Finding Aids" 60 (60): 268-283, 1997

      21 Carpenter, Brian, "Encoded Archival Description(EAD) Metadata Scheme: An Analysis of Use of the EAD Headers" 9 (9): 134-152, 2009

      22 박지영, "EAD를 이용한 기록정보의 기술 및 활용 - 4월 혁명 연구반 컬렉션을 중심으로" 8 (8): 17-57, 2007

      23 박은경, "EAD를 이용한 기록자료 자동화방안 - Online Archive of California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2 (2): 93-106, 2002

      24 "EAD Best Practice at the LC"

      25 Prom, C. J., "Does EAD Play Well with Other Metadata Standards? Searching and Retrieving EAD Using the OAI Protocols" 1 (1): 51-72, 2002

      26 Hoyer, T. P., "Consortial Approaches to the Implementation of Encoded Archival Description(EAD): the American Heritage Virtual Archive Project and the online Archive of California(OAC)" 4 (4): 113-136, 2001

      27 SAA,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28 Pearce-Moses, R.,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7-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e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6 1.60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