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행정의 변화와 쇄신을 추구하면서 경영기법과 경영마인드를 강조하고 있다. 리더십에서도 마찬가지다. 1980년대 이후 민간부문의 급격한 변화에 부응하여 새롭게 탄생한 변혁적 리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6726
200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부는 행정의 변화와 쇄신을 추구하면서 경영기법과 경영마인드를 강조하고 있다. 리더십에서도 마찬가지다. 1980년대 이후 민간부문의 급격한 변화에 부응하여 새롭게 탄생한 변혁적 리더...
정부는 행정의 변화와 쇄신을 추구하면서 경영기법과 경영마인드를 강조하고 있다. 리더십에서도 마찬가지다. 1980년대 이후 민간부문의 급격한 변화에 부응하여 새롭게 탄생한 변혁적 리더십이 경영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도입되면서 행정에서도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이 인정되고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은 경영과 달리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기에 장애가 되는 중요한 요소들(이러한 장애요소는 Kerr와 Jermier가 발견한 리더십의 대체물과 중화물에 해당함)을 다소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요소들은 오랫동안 권위주의와 발전주의적 행정체제를 유지해 온 한국의 경우는 선진국가들에 비해 더욱 강하게 작용할 것이므로, 한국에서는 사기업조직과는 달리 행정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가 아주 약하거나 무의미할 것이다. 본연구에서는 한국의 공무원과 회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통해 이러한 내용을 검증하려고 한다.
검증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이 의미없다면, 장애요소들이 뿌리깊은 한국관료사회에 적합한 리더십유형은 무엇이겠는가? 변혁적 리더십 이전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리더십유형은 '구조주도'와 '배려'라고 할 수 있으므로 본연구에서도 구조주도, 배려, 변혁적 리더십 중 어떤 유형이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인지, 그리고 이러한 유형들의 어떠한 현실적 결합(비율)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경험적으로 발견하고자 한다.
그리고 행정조직의 효과성에 기여할 수 있는 리더십을 위해 정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예컨대 단기적으로는 현재 상황에 가장 부합되는 리더십유형을 발휘하도록 권장하는 일이요, 장기적으로는 적절한 리더십이 용이하도록 리더십의 장애요소을 제거하는 일이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