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구조적 조건과 한국인들의 의식 및 관행 사이에 존재하는 독특한 연관 형태를 분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설계된 것이다. 21세기를 앞둔 한국사회는 한편에서 탈현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08671
200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구조적 조건과 한국인들의 의식 및 관행 사이에 존재하는 독특한 연관 형태를 분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설계된 것이다. 21세기를 앞둔 한국사회는 한편에서 탈현대...
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구조적 조건과 한국인들의 의식 및 관행 사이에 존재하는 독특한 연관 형태를 분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설계된 것이다. 21세기를 앞둔 한국사회는 한편에서 탈현대적 특성을 드러낼 정도로 급변하면서도 다른 한편에는 강한 전통적 요소가 작용하고 있고 이 차이와 불일치 속에서 특이한 모습과 갈등들을 노정하여 왔다. 앞으로 정보화,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자율적인 개인의 권한과 책임, 다양성이 보다 강하게 요구될 것이 분명한 이상 한국의 사회구조와 의식·관행간의 관련성은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매우 중요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민사회 내의 일상생활의 구조가 자발적 결사체와 시장이라는 서구적인 근대적 조직원리에 의해서 제대로 설명되지 못한다면, 한국의 시민사회와 일상생활의 구조를 밝혀주는 원리는 무엇일까?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그 요인을 비공식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독특한 한국의 관행, 다시 말하면 공식적이고 드러난 현상만으로는 결코 포착할 수 없는 생활방식의 이중적 구조에서 찾고자 한다. 예컨대, 연고주의와 지역감정의 형성과 재생산, 일상적 사회적 교환의 관행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전통적 양식들, 그리고 공식적 통제를 대체하는 비공식적 관행, 사회적 자원으로 화한 연결망 등에 대해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연 한국사회의 일상영역에서 현재 당면한 중심과제는 무엇인가가 우선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탈현대시대 한국인의 의식과 관행” 연구 보고서 I. 문제제기 및 연구개요 II. 기존연구의 정리 III. 이론적 논의 IV. 경험자료 분석 및 토론 A. 조사방법론적 논의...
“탈현대시대 한국인의 의식과 관행” 연구 보고서
I. 문제제기 및 연구개요
II. 기존연구의 정리
III. 이론적 논의
IV. 경험자료 분석 및 토론
A. 조사방법론적 논의: 기존의 사회의식조사에 대한 검토
B. 연결망, 시민사회, 그리고 신뢰: ‘98 서베이 자료 분석 I
C. 가치 이중성과 세대차: ‘98 서베이 자료 분석 II
D. 연결망과 사회의식: ‘98 서베이 자료 분석 III
E. "한국적 조직원리“의 허실: 인류학적 현지조사
F. “한국문화와 일본문화, 무엇이 다른가”: 비교문화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