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존 클라센의 <모자 삼부작>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 = Worldview Approach to John Klassen’s Picturebooks, <Hats Tri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7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icture book texts can affect readers by not only providing the joy of reading, but by projecting the artist's beliefs and vision of life. The worldview approach to texts requires multidisciplinary and integrative research that goes beyond aesthetic and ideological approaches revealing how the text answer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world and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n example of a worldview approach to picture books by criticizing John Klassen 's <Hats Trilogy>, which won the Caldecott Medal in 2013 and several picture book awards. For this study, Vanhouser (2009) 's hermeneutic realism and 'thick description' were used as the premise of interpretation. Moreover, and the theoretical system and methodology in the field of theology, hermeneutics, literary criticism, picture book aesthetics and reading education were used. Through 'elementary reading', 'inspectional reading', and 'analytical reading' about the <Hats Trilog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nswered: 1) what is this world? 2) what are human beings? and 3) what should human beings do? As a result, a 'nihilism' worldview projected by the trilogy was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e concrete discussion and practice of the worldview approach to picture book criticism.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nature and vision of picture books for young readers.
      번역하기

      Picture book texts can affect readers by not only providing the joy of reading, but by projecting the artist's beliefs and vision of life. The worldview approach to texts requires multidisciplinary and integrative research that goes beyond aesthetic a...

      Picture book texts can affect readers by not only providing the joy of reading, but by projecting the artist's beliefs and vision of life. The worldview approach to texts requires multidisciplinary and integrative research that goes beyond aesthetic and ideological approaches revealing how the text answer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world and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n example of a worldview approach to picture books by criticizing John Klassen 's <Hats Trilogy>, which won the Caldecott Medal in 2013 and several picture book awards. For this study, Vanhouser (2009) 's hermeneutic realism and 'thick description' were used as the premise of interpretation. Moreover, and the theoretical system and methodology in the field of theology, hermeneutics, literary criticism, picture book aesthetics and reading education were used. Through 'elementary reading', 'inspectional reading', and 'analytical reading' about the <Hats Trilog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nswered: 1) what is this world? 2) what are human beings? and 3) what should human beings do? As a result, a 'nihilism' worldview projected by the trilogy was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e concrete discussion and practice of the worldview approach to picture book criticism.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nature and vision of picture books for young read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그림책 텍스트는 단지 읽기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신념과 삶에 대한 비전을 투영(project)하고 있다. 텍스트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이란 이 세상과 삶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그 텍스트가 어떻게 답하고 있는가를 밝혀내려는 것으로서 미학이나 이데올로기적인 접근을 넘어선, 다학제적이며 통합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 Caldecott Medal을 비롯한, 다수의 그림책 상을 수상한바 있는 John Klassen의 <모자 삼부작>을 비평 대상으로 하여 그림책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의 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Vanhouser(2009)의 해석학적 실재론과 ‘두터운 기술’(thick description)이 해석의 전제로서 사용되었으며 신학, 해석학, 문학 비평, 그림책 미학, 독서 교육 분야의 이론 체계와 방법론이 차용되었다. <모자 삼부작>에 대한 ‘기초적 읽기’, ‘검증적 읽기’, ‘분석적 읽기’를 통해 1)이 세상은 어떤 곳인가, 2)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3)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같은 세계관적 주제가 다루어졌으며, <모자 삼부작>이 투영하고 있는 ‘허무주의’ 세계관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그림책 비평의 세계관적 접근의 구체적 논의와 실천이 이루어졌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발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어린 독자들을 위한 그림책의 본질에 대한 숙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그림책 텍스트는 단지 읽기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신념과 삶에 대한 비전을 투영(project)하고 있다. 텍스트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이란 이 세상과 삶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

      그림책 텍스트는 단지 읽기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신념과 삶에 대한 비전을 투영(project)하고 있다. 텍스트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이란 이 세상과 삶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그 텍스트가 어떻게 답하고 있는가를 밝혀내려는 것으로서 미학이나 이데올로기적인 접근을 넘어선, 다학제적이며 통합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 Caldecott Medal을 비롯한, 다수의 그림책 상을 수상한바 있는 John Klassen의 <모자 삼부작>을 비평 대상으로 하여 그림책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의 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Vanhouser(2009)의 해석학적 실재론과 ‘두터운 기술’(thick description)이 해석의 전제로서 사용되었으며 신학, 해석학, 문학 비평, 그림책 미학, 독서 교육 분야의 이론 체계와 방법론이 차용되었다. <모자 삼부작>에 대한 ‘기초적 읽기’, ‘검증적 읽기’, ‘분석적 읽기’를 통해 1)이 세상은 어떤 곳인가, 2)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3)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같은 세계관적 주제가 다루어졌으며, <모자 삼부작>이 투영하고 있는 ‘허무주의’ 세계관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그림책 비평의 세계관적 접근의 구체적 논의와 실천이 이루어졌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발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어린 독자들을 위한 그림책의 본질에 대한 숙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olterstorff, N., "행동하는 예술" IVP 2010

      2 Cole, R., "하버드 문학 강의" 웅진싱크빅 2012

      3 Sire, J. W., "코끼리 이름 짓기" IVP 2007

      4 미야자키 하야오, "책으로 가는 문" 현암사 2013

      5 Kaufmann, W., "인문학의 미래" 동녘 2011

      6 Klassen, J., "이건 내 모자가 아니야" 시공주니어 2013

      7 Vanhouser, K., "이 텍스트에 의미가 있는가?" IVP 2003

      8 Wilkens, S., "은밀한 세계관" IVP 2013

      9 Lewis, C. S., "오독: 문학비평의 실험" 홍성사 2017

      10 Johnston, R., "영화와 영성" IVP 2003

      1 Wolterstorff, N., "행동하는 예술" IVP 2010

      2 Cole, R., "하버드 문학 강의" 웅진싱크빅 2012

      3 Sire, J. W., "코끼리 이름 짓기" IVP 2007

      4 미야자키 하야오, "책으로 가는 문" 현암사 2013

      5 Kaufmann, W., "인문학의 미래" 동녘 2011

      6 Klassen, J., "이건 내 모자가 아니야" 시공주니어 2013

      7 Vanhouser, K., "이 텍스트에 의미가 있는가?" IVP 2003

      8 Wilkens, S., "은밀한 세계관" IVP 2013

      9 Lewis, C. S., "오독: 문학비평의 실험" 홍성사 2017

      10 Johnston, R., "영화와 영성" IVP 2003

      11 고선주, "영국 그림책의 유머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9 (9): 167-196, 2008

      12 Nodelman, P.,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시공주니어 2001

      13 Nikolayeva, M., "어린이 문학에 나타난 힘과 목소리, 주체성" 교문사 2012

      14 현은자,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207-226, 2017

      15 방태환, "애드가 알렌 포우의 소설에 나타난 공포의 유형과 특징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6 Gohen, M. W., "세계관은 이야기다" IVP 2011

      17 Adler, M. J., "생각을 넓혀주는 독서법" 멘토 2015

      18 Frye, N.,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0

      19 신국원, "변혁과 샬롬의 대중문화론" IVP 2004

      20 Barrett, T., "미술비평: 그림읽는 즐거움" 아트북스 2004

      21 Vanhouser, K., "문화 신학" 부흥과 개혁사 2009

      22 김욱동,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2013

      23 Eagleton, T., "문학을 읽는다는 것은" 책 읽는 수요일 2016

      24 김미란, "모자의 상징에 관한 도자 조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25 Klassen, J., "모자를 보았어" 시공주니어 2016

      26 Peterson, E. H., "메시지 신약" 복있는 사람 2011

      27 Klassen, J., "내 모자 어디 갔을까?" 시공주니어 2012

      28 Buber, M., "나와 너" 대한기독교서회 2015

      29 Ryken, L., "기독교와 문학"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1991

      30 이란,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문학 읽기 교육 모형 개발과 모형 적용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7

      31 Sire, J. W.,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 사상" IVP 1995

      32 김민정, "그림책의 장르에 따른 아동의 다시 말하기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7

      33 Nikolayeva, M., "그림책을 보는 눈" 마루벌 2011

      34 Middleton, J. R., "그리스도인의 비전" IVP 2012

      35 Schulevitz, U., "Writing with pictures: how to write and illustrate children’s books" Watson-Guptill Publications 1997

      36 Vermeule, B., "Why do we care about literary character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0

      37 Stephens, J., "Ways of being male: representing masculinties in children’s literature and film" Routledge 2002

      38 Tucker, B. D., "The tell-tale heart and the evil eve" 13 (13): 92-98, 1981

      39 Barratt, D., "The discerning reader: Christian perspectives on literature and theory" Baker 1995

      40 Sloan, G., "The child as critic: developing literacy through literature, K-8" Teachers College Press 2003

      41 Hammond, H. K., "Reading the art in Caldecott award books" Rowman & littlefield 2014

      42 Nikolayeva, M., "Reading for learning: Cognitive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The Netherland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4

      43 Stephens, J., "Language and ideology in fiction" Longman 1992

      44 dPICTUS, "Jon Klassen"

      45 Sire, J. W., "How to read slowly: reading for comprehension" Harold shaw Publishers 1989

      46 李美愛, "Edgar Allan Poe의 실존적 불안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47 Lurie, A., "Don’t tell the grown-ups: The subversive power of children’s literature" Little, Brown and Company 1990

      48 Gelt, J., "Children's book author Jon Klassen and the morally ambiguous universe of hats"

      49 Brand, H., "Art and soul: Signposts for christians in the arts" Solway 1999

      50 Abrams, M. H., "A glosssary of literary terms" Thomson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