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한 군사통합시 북한 잉여장비 이전 수요 연구 - 화포장비중 심으로 = The Study on Transfer Demand of Surpus Weapons for Milit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9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possible surplus weapons in the case of military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enough. In the past, research topics concentrated mostly on cost and benefit analysis of unification. However, this paper sheds light upon the international transfer demand analysis of the possible surplus weapons and planning the actual transfer.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of a unification of absorption by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To specify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artillery system was chosen as a result of a thorough analysis of various background factors. The current North Korean artillery scale was estimated by referring to information publicized in Military Balance, and making a comparison to countries with a similar weapon size or equal diameter. With this base information, the countries in demand were identified by referring to national transfer amounts on the SIPRI databas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ical factors were also taken into account. These countries were then classified into 'Exports', 'Performance Upgrades' and 'Military Aids'. The ideal transfer plan was selected by determining the countries with the highest transfer demands.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possible surplus weapons in the case of military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enough. In the past, research topics concentrated mostly on cost and benefit analysis of unification. However, th...

      This study focuses on possible surplus weapons in the case of military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enough. In the past, research topics concentrated mostly on cost and benefit analysis of unification. However, this paper sheds light upon the international transfer demand analysis of the possible surplus weapons and planning the actual transfer.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of a unification of absorption by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To specify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artillery system was chosen as a result of a thorough analysis of various background factors. The current North Korean artillery scale was estimated by referring to information publicized in Military Balance, and making a comparison to countries with a similar weapon size or equal diameter. With this base information, the countries in demand were identified by referring to national transfer amounts on the SIPRI databas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ical factors were also taken into account. These countries were then classified into 'Exports', 'Performance Upgrades' and 'Military Aids'. The ideal transfer plan was selected by determining the countries with the highest transfer deman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었던 남북한 군사통합에 대한 비용분석과 편익연구에서 탈피하여 그동안 미진하였던 남북한 군사통합 상황에서 북한에서 발생 가능한 잉여장비를 예측하고 이를 이전방안으로 처리하기 위한 국제적인 수요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기본 가정으로 통합방안은 남한군에 의한 흡수통합으로 한정하였으며, 대상체계는 전 세계 이전규모, 북한군 보유량, 민수화 가능성 및 성능개량 기술력 등 고려요소 분석을 통해 화포체계를 선정하였다. 또한 Military Balance 에 공개된 북한군 화포장비 현황을 반영하여 현재 북한군이 보유한 장비와 동일 구경을 갖는 유사장비 보유국을 식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IPRI 데이터베이스 상의 국가별 이전량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사회, 기술적 요소를 종합하여 수요국가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수요국가를 대외수출, 성능개량, 대외원조로 구분하여 향후 수요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국가별 이전방안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었던 남북한 군사통합에 대한 비용분석과 편익연구에서 탈피하여 그동안 미진하였던 남북한 군사통합 상황에서 북한에서 발생 가능한 잉여장비를 예측하고 ...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었던 남북한 군사통합에 대한 비용분석과 편익연구에서 탈피하여 그동안 미진하였던 남북한 군사통합 상황에서 북한에서 발생 가능한 잉여장비를 예측하고 이를 이전방안으로 처리하기 위한 국제적인 수요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기본 가정으로 통합방안은 남한군에 의한 흡수통합으로 한정하였으며, 대상체계는 전 세계 이전규모, 북한군 보유량, 민수화 가능성 및 성능개량 기술력 등 고려요소 분석을 통해 화포체계를 선정하였다. 또한 Military Balance 에 공개된 북한군 화포장비 현황을 반영하여 현재 북한군이 보유한 장비와 동일 구경을 갖는 유사장비 보유국을 식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IPRI 데이터베이스 상의 국가별 이전량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사회, 기술적 요소를 종합하여 수요국가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수요국가를 대외수출, 성능개량, 대외원조로 구분하여 향후 수요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국가별 이전방안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진환, "협력안보 시대에 한국의 안보와 군비통제" 봉명 1998

      2 하정열, "한반도 통일후 군사통합방안 - 독일 군사통합과정과 교훈" 팔복원 1996

      3 김규륜, "한반도 통일의 효과(통일비용 편익 종합연구 2014-3" ㈜ 예원기획 2014

      4 김근식, "한반도 통일과정의 정치동학 : 독일ㆍ예맨 사례의 시사점" 25 (25): 2010

      5 김관호, "한반도 통일 시 후유증 최소화 방안 연구 - 군사분야 통합을 중심으로 -" 북한연구소 37 (37): 85-116, 2012

      6 주용식, "통일한국의 군사통합과 적정군사력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7 "청와대 브리핑 자료. 2014. 1. 6. “박근혜 대통령 신년 구상 발표 및 기자회견 질의응답"

      8 문광건, "잉여장비 처리 사례연구" (43) : 203-232, 1998

      9 조성각, "임차를 통한 무기체계 획득 사례 연구" (385) : 2011

      10 윤병조, "세계방산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무기체계 수출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위산업학회 21 (21): 129-149, 2014

      1 황진환, "협력안보 시대에 한국의 안보와 군비통제" 봉명 1998

      2 하정열, "한반도 통일후 군사통합방안 - 독일 군사통합과정과 교훈" 팔복원 1996

      3 김규륜, "한반도 통일의 효과(통일비용 편익 종합연구 2014-3" ㈜ 예원기획 2014

      4 김근식, "한반도 통일과정의 정치동학 : 독일ㆍ예맨 사례의 시사점" 25 (25): 2010

      5 김관호, "한반도 통일 시 후유증 최소화 방안 연구 - 군사분야 통합을 중심으로 -" 북한연구소 37 (37): 85-116, 2012

      6 주용식, "통일한국의 군사통합과 적정군사력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7 "청와대 브리핑 자료. 2014. 1. 6. “박근혜 대통령 신년 구상 발표 및 기자회견 질의응답"

      8 문광건, "잉여장비 처리 사례연구" (43) : 203-232, 1998

      9 조성각, "임차를 통한 무기체계 획득 사례 연구" (385) : 2011

      10 윤병조, "세계방산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무기체계 수출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위산업학회 21 (21): 129-149, 2014

      11 하욱, "북한무기도감" 삼진 1989

      12 외교부 홈페이지 이슈별 자료실, "북한 핵문제/6자회담"

      13 최성빈, "북한 군수산업 개황"

      14 권양주, "바람직한 군사통합 유형" (58) : 2009

      15 장기덕, "무기체계의합리적인정비유지비산출"

      16 이상목, "동?서독 군사통합의 경험과 한반도 군사통합에 대한 정책적 함의" 한국질서경제학회 4 (4): 57-75, 2001

      17 문광건, "노후 군사장비 처리에관한 의사결정 모델연구" 179-208, 2004

      18 제정관, "남북한 군사통합방안과 통일국군 건설방향" (29) : 2001

      19 박주현, "남북한 군사통합 비용에 관한 소고" 45 : 1-32, 1999

      20 김기수, "남북한 군사통합 방안에 관한 연구 - 델파이(Delphi) 설문분석결과를 중심으로" 10 (10): 2001

      21 박영한, "남북 군사통합시 독일모델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4

      22 "군수품관리법 [법률 제13240호, 2015.3.27., 일부개정]"

      23 국방부, "국방백서" 2014

      24 기술품질원, "국방과학기술 수준조사서, 제1권 총론 일반본" 경성문화사 2013

      25 기술품질원, "국방과학기술 수준조사서(국가별)" 경성문화사 2015

      26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법률 제13017호, 2015.1.20. 일부개정]"

      27 조선닷컴, "北, 김정은 지시로 첫 수소탄 시험 성공 발표"

      28 Ian Davis, "Upgrades and surplus weapons :Lessons from the UK disposal sales agency" 11 : 1997

      29 J. Colijn, "The Second-Hand Arms Market After The Cold War" Revue Belge De Droit International 1993

      30 IISS, "The Military Balance 2015" Bell & Brain 2015

      31 Paul Holtom, "The Cascade Continues: International Transfers of Surplus Weapons as a Consequence of Defence Reform in Europe" 2013

      32 SIPRI, "SIPRI Yearbook 2015"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3 Susanne Kopte, "Researching Surplus Weapons:Guidelines, Methods and Topics" 3 : 1995

      34 Edward J. Laurance, "Introduction : Coping with Surplus Weapons : A Priority for Conversion Research and Policy" 3 : 1995

      35 IISS, "Global Conflict Database"

      36 Collins M. Jackson, "Excess Defense Article Transfers : Problems and Necessary Actions" (Fall) : 1994

      37 Pieter D. Wezeman, "Dutch surplus weapons" 5 : 1996

      38 Valerie Bailey Grasso, "Demilitarization of Significant Military Equipment" CRS 2006

      39 SIPRI, "Database"

      40 Mark Bromley, "Current trends in the international arms trade and implications for Sweden" SIPRI 2013

      41 James Bean, "Conventional Ammunition In Surplus A Reference Guide"

      42 Otfried Nassauer, "An Army Surplus—The NVA’s Heritage" 3 : 1995

      43 기술품질원, "2015 세계 방산시장 연감" 경성문화사 2015

      44 이은정, "1. 독일통일 총서군사분야 통합 관련 정책문서" 통일부 2013

      45 정상돈, "1. 독일통일 총서 군사분야 통합 관련 정책문서" 통일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3 0.27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