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병근, "현대 국어학의 개척자 이숭녕 선생" 26 (26): 2016
2 이준식, "해방 후 국어학계의 분열과 대립― 언어민족주의와 ‘과학적’ 언어학을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학회 (67) : 88-118, 2013
3 최현배, "한글을 위한 수난과 투쟁" 10 : 1973
4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5 "학술원회보 1"
6 대한민국학술원, "학술원60년사" 2014
7 "학술"
8 장지영, "창생하는 국가, 창출하는 기예-해방후 남북의 학술분기" 상허학회 36 : 13-53, 2012
9 "조선일보"
10 조건, "제1차 교육과정 성립기 문교부 조직과 반공 교육정책" 역사와교육학회 (22) : 155-190, 2016
1 이병근, "현대 국어학의 개척자 이숭녕 선생" 26 (26): 2016
2 이준식, "해방 후 국어학계의 분열과 대립― 언어민족주의와 ‘과학적’ 언어학을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학회 (67) : 88-118, 2013
3 최현배, "한글을 위한 수난과 투쟁" 10 : 1973
4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5 "학술원회보 1"
6 대한민국학술원, "학술원60년사" 2014
7 "학술"
8 장지영, "창생하는 국가, 창출하는 기예-해방후 남북의 학술분기" 상허학회 36 : 13-53, 2012
9 "조선일보"
10 조건, "제1차 교육과정 성립기 문교부 조직과 반공 교육정책" 역사와교육학회 (22) : 155-190, 2016
11 "전시과학"
12 "자료대한민국사"
13 정재환, "이승만 정권 시기 한글간소화파동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14 최규남, "원로과학기술자의 증언 3 최규남 박사편" 12 (12): 1979
15 안동혁, "원로과학기술자의 증언 11 안동혁 편" 13 (13): 1980
16 윤일선, "원로과학기술자의 증언 1 윤일선 박사편(하)" 12 (12): 1979
17 정재환, "왜 이승만 대통령은 한글간소화파동을 일으켰나" 32 : 2008
18 李惠鈴, "언어 법제화의 내셔널리즘―1950년대 한글간소화파동 一考" 대동문화연구원 12 (12): 183-224, 2007
19 김장호, "양주동연구" 민음사 1991
20 이태호, "압록강변의 겨울 – 납북요인들의 삶과 통일의 한" 다섯수레 1992
21 "신조선보"
22 김인식, "백남운의 연합성 신민주주의와 무계급성 단일민족국가 건설론" 중앙사학연구소 (27) : 167-216, 2008
23 김인식, "백남운 · 연합성 신민주주의론과 조선공산당 · 「8월테제」의 차별성" 중앙사학연구소 (45) : 33-83, 2017
24 남원진, "반공국가의 법적 장치와 <예술원>의 성립 과정 연구" 겨레어문학회 (38) : 195-222, 2007
25 김인식, "민족주의 세력의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개조 움직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5) : 227-278, 2018
26 "동아일보"
27 "독립신보"
28 공보실, "대통령이승만박사담화집 1" 1953
29 김용섭, "남북 학술원과 과학원의 발달" 지식산업사 2005
30 최현배, "나라사랑의 길" 정음사 1981
31 "국회속기록"
32 김동선, "교수요목기 중등학교 공민교과 교수요목의 내용과 성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8) : 227-275, 2019
33 조성운, "교수요목기 국사교과서의 발행과 편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6) : 279-324, 2016
34 "경향신문"
35 이병근, "心岳 李崇寧 선생의 삶과 學問-10週忌에 다시 떠올리는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77-493, 2004
36 이봉범, "8ㆍ15해방~1950년대 문화기구와 문학 -문화관련 법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4) : 253-311, 2011
37 유상수, "1952년 정부통령 선거" 25 : 2010
38 오영섭, "1950년대 전반 한글파동의 전개와 성격" 한국사학회 (72) : 133-174,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