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이후 '고용 적은 성장' 패턴으로 인하여 과거에 비해 적은 수의 일자리가 창출된다. 그러므로 향후 일자리 창출에 대한 전망을 하기 위해서는 잠재성장률과 함께 '고용 적은 성장'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경제위기 이후 '고용 적은 성장' 패턴으로 인하여 과거에 비해 적은 수의 일자리가 창출된다. 그러므로 향후 일자리 창출에 대한 전망을 하기 위해서는 잠재성장률과 함께 '고용 적은 성장' ...
경제위기 이후 '고용 적은 성장' 패턴으로 인하여 과거에 비해 적은 수의 일자리가 창출된다. 그러므로 향후 일자리 창출에 대한 전망을 하기 위해서는 잠재성장률과 함께 '고용 적은 성장' 패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용 적은 성장' 패턴이 당분간 지속되리라는 가정 하에, 실질소득과 취업자 수와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선진국의 경우 '취업자 수/실질소득'의 비율은 상당기간 동안 일정한 추세선을 가지고 하락하였다. 이러한 선진국의 예를 바탕으로 한국의 '취업자 수/실질소득'의 비율을 추정하였다. 또한 이 추세선과 각종 잠재성장률 전망치로 예상한 실질소득을 이용하여 2012년까지의 총취업자 수와 산업별 취업자 수를 추정하였다. 이 결과 2007년 말부터 2012년 말까지의 기간 동안 최소 100만명 그리고 최대 230만명의 취업자 수 증가가 예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tential growth rate of the Korean economy has been declining since the financial crisis. Moreover, due to the so-called 'jobless growth' pattern, smaller number of jobs are created under a given growth rate. Therefore, in order to forecast about...
The potential growth rate of the Korean economy has been declining since the financial crisis. Moreover, due to the so-called 'jobless growth' pattern, smaller number of jobs are created under a given growth rate. Therefore, in order to forecast about the number of job creation in the future, we need to consider the jobless growth pattern as well as the potential growth rat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jobless growth pattern would continue in the foreseeable future, the paper estim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income and number of employees. In developed economics, the ratio of number of employees over real income has been declining for a considerable time with a certain trend. Based on experiences of developed economies, this paper estimated the trend of the ratio of number of employees over real income in Korea. Using this trend line and real income data estimated under different growth scenarios, this paper estimated total number of employees as well as number of employees in each industry. As result, it is estimated that a minimum of 1 million and a maximum of 2.3 million jobs are to be created between 2007 and 2012.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과 OECD국가의 잠재성장률 비교 연구 보도자료"
2 유경준, "한국경제 구조변화와 고용창출" 한국개발연구원 2004
3 이종화, "한국 경제성장요인의 산업별 분석(1970-2001)" 서울대학교 출판부 (2) : 2005
4 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5 한국은행,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 약화 원인과 향후 전망"
6 한국개발연구원, "산업별 생산 및 취업계수 중장기전망: 2005-2020"
7 기획예산처, "비전 2030-함께 가는 희망 한국, 계부서 합동 보도자료"
8 차문중, "기업환경개선을 위한 규제개혁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08" 한국개발연구원 2005
9 김용현, "고용없는 성장(Jobless Growth)현실인가?" 5 (5): 2005
10 전병유, "고용 없는 성장에 대한 대응전략 연구(I)" 한국노동연구원 정책연구 2005
1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과 OECD국가의 잠재성장률 비교 연구 보도자료"
2 유경준, "한국경제 구조변화와 고용창출" 한국개발연구원 2004
3 이종화, "한국 경제성장요인의 산업별 분석(1970-2001)" 서울대학교 출판부 (2) : 2005
4 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5 한국은행,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 약화 원인과 향후 전망"
6 한국개발연구원, "산업별 생산 및 취업계수 중장기전망: 2005-2020"
7 기획예산처, "비전 2030-함께 가는 희망 한국, 계부서 합동 보도자료"
8 차문중, "기업환경개선을 위한 규제개혁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08" 한국개발연구원 2005
9 김용현, "고용없는 성장(Jobless Growth)현실인가?" 5 (5): 2005
10 전병유, "고용 없는 성장에 대한 대응전략 연구(I)" 한국노동연구원 정책연구 2005
11 Jones, Randall S., "The Labor Market in Korea: Enhancing Flexibility and Raising Participation,”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469"
12 Lee, Doowon., "The Korean Economy in Transition: In Search for a New Model" 35 (35): 207-230, 2006
13 삼성경제연구소, "SERI Economic Outlook: 2007년 국내경제전망"
14 OECD, "OECD Employment Outlook: Boosting Jobs and Incomes"
15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Country Report" Republic of Korea 06-380, 2006
16 Daniel, Kirsten., "Does Employment Protection Reduce the Demand for Unskilled Labour?" 19 (19): 2005
개인의 직무몰입과 콘텐츠의 업무 연관성이 e-러닝 학습 성과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폐쇄형 뮤추얼펀드의 유동성제고 효과와 프리미엄현상에 대한 실증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3-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지식연구 -> 금융지식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7 | 0.72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