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성찰일지 활용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 Change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after participation in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lass by applying reflection journ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7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찰일지를 활용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 참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 성찰일지를 활용한 수업이 갖는 교육적 의미...

      본 연구의 목적은 성찰일지를 활용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 참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 성찰일지를 활용한 수업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이와 관련한 수업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56명이며, 수업 전 후로 작성된 성찰일지, 면담자료, 연구자 일지, 수업 결과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에게 나타난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의 대상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특수아를 무한한 잠재력이 있는 대상으로서 인식하기에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특수아와 양육자의 어려움 공감하기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예비교사로서의 봉사 실천하기와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기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난 성찰일지 작성과 수업에서의 활용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특수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에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hanges through participation in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using the reflection journal, and to learn about the edu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hanges through participation in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using the reflection journal, and to learn abou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lessons using the reflection journals and related instructional design.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5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aking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studies. Qualitative analysis was done by collecting data such as reflection journals, interview data, researcher journals, and class results written before and after classes. First, there were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object of special education. Second, there were change in recognizing special children as objects with infinite potential. Third, there were change in empathy between special children and nurturers. Fourth, there were change in the practice of serving as a pre-service teacher and positively recognizing oneself.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reflection journal and the use in the class that appear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as effective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순자,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83-113, 2017

      2 최진혁, "특수교육학개론 이수를 통한 예비통합교육교사들의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지식 변화"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185-203, 2016

      3 조규영,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특수교육연구소 34 (34): 73-100, 2018

      4 서효정,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교수적 수정 실행,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관련성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7 (17): 103-125, 2018

      5 이미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및 실습 요인이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2012

      6 이미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및 실습 요인이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7 이영선,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99-416, 2010

      8 박재범,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34 (34): 1-24, 2018

      9 석류, "체육에 있어서 성찰적 사고와 성찰적 훈련일지의 도입 및 심리기술 적용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 28 (28): 135-147, 2014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2006

      1 이순자,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83-113, 2017

      2 최진혁, "특수교육학개론 이수를 통한 예비통합교육교사들의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지식 변화"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185-203, 2016

      3 조규영,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특수교육연구소 34 (34): 73-100, 2018

      4 서효정,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교수적 수정 실행,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관련성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7 (17): 103-125, 2018

      5 이미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및 실습 요인이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2012

      6 이미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및 실습 요인이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7 이영선,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99-416, 2010

      8 박재범,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34 (34): 1-24, 2018

      9 석류, "체육에 있어서 성찰적 사고와 성찰적 훈련일지의 도입 및 심리기술 적용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 28 (28): 135-147, 2014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2006

      11 강영심,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83-304, 2009

      12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교육과학기술부 2009

      13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교육과학기술부 2014

      14 한희경,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경험요인"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77-99, 2014

      15 하지민, "장애와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적 표상 변화: 특수교육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93-516, 2017

      16 곽현주, "장애아 동영상 발표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169-191, 2013

      17 이황원, "일반학교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이수과정에서 흥미, 이해, 협동학습 간의 상호관계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89-114, 2017

      18 정영란,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이 학습자의 태도 및 학습 결과에 미친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9 (19): 87-115, 2003

      19 조운주, "예비유아교사의 초임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및 핵심역량의 타당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93-116, 2015

      20 조덕주, "예비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한 실제적 맥락 안에서의 저널쓰기 연구" 한국교육학회 46 (46): 231-259, 2008

      21 이은혜,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6

      22 석류, "성찰적 훈련일지를 통한 반성적 사고수준의 변화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 30 (30): 331-352, 2016

      23 노은초, "성찰일지를 활용한 발레수업이 무용전공자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169-182, 2014

      24 김지선, "성찰일지를 적용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연구원 31 : 115-132, 2015

      25 송수지, "성찰일지 적용 학습이 예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5) : 199-227, 2012

      26 이정아, "성찰일지 작성유형과 피드백이 예비영어교수자의 학업성취도 및 교수효능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어학회 16 (16): 383-403, 2016

      27 서석진, "봉사활동을 통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장애인식 변화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831-838, 2018

      28 박숙희, "마이크로티칭을 경험한 예비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변화와 성찰적 사고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6) : 139-160, 2014

      29 박소연, "대학생의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과정에서의 자아정체감 형성 경험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53-178, 2012

      30 유병민, "대학 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837-859, 2013

      31 김병찬, "교직과목 수업에서 ‘저널쓰기’의 의미 탐색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과목 수업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85-313, 2009

      32 Hatch, J. A,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학지사 2002

      33 이경숙, "가정과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자의 성찰적 실천 경험에 관한 실행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1-22, 2017

      34 강인애, "‘성찰저널(Reflective Journal)’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대학에서의 수업사례"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93-117, 2009

      35 엄미리, "e-포트폴리오 성찰일지 작성활동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7 (27): 213-246, 2011

      36 Umesh Sharma, "What concerns pre-service teachers about inclusive education: An international viewpoint?" 한국교육개발원 4 (4): 95-114, 2007

      37 Schön, D, "The Reflective Practitioner" Basic Books 1983

      38 Avramidis, E, "Teachers' attitudes towards integration/inclusion : a review of the literature" 17 (17): 129-147, 2002

      39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40 김차종, "Linux 교과목에서 성찰일지 적용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통신학회 21 (21): 475-481, 2017

      41 Dewey, J, "1997. Experience and education" Touchstone 193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