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재가노인돌봄서비스 이용의사 영향요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7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lderly s use inten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 (CCS) and examined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nalysis, it used 9,811 elderly cases from the data of the 2018 Community Residents Survey. The CCS variable was measured into the Long-Term Care Service (LCS) and Elderly Care Service (ECS). Moreover, the factors selected from the model of Anderson and Newman(1973), predisposing elements, enabling elements, and need elem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n CCS s use intent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CS use intention showed a different level in each service type. Among the LCS s types, the willingness to use home-based care was highest with 54.4%, followed by visiting nursing 52.8%, visiting bathing 44.4%, and so on. In the ECS s types, 48.1% of the elderly were willing to us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46.9% of the elderly were hoping to use care service for the blind zone of long-term care system. Second, the different factors were influencing the LCS and ECS use intention by service types. Notably, education, income class, number of illnesses, and difficulty in daily lif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all service intention types. In LCS, the service perception and region factors had a strong effect on service use intention than other variables. In ECS, family members number, subjective economic status, neighborhood help for independence, and access to medical center factors significantly impacted on service use intention than other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extending elderly care services for universal and enhancing the CCS system s health program to protect the elders declining health. Also, it presented the ways of activating community-center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study had an implication of discussing CCS policy focused on aging in place perspective.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lderly s use inten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 (CCS) and examined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nalysis, it used 9,811 elderly cases from the data of the 2018 Community Residents Survey. The CCS variable was mea...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lderly s use inten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 (CCS) and examined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nalysis, it used 9,811 elderly cases from the data of the 2018 Community Residents Survey. The CCS variable was measured into the Long-Term Care Service (LCS) and Elderly Care Service (ECS). Moreover, the factors selected from the model of Anderson and Newman(1973), predisposing elements, enabling elements, and need elem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n CCS s use intent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CS use intention showed a different level in each service type. Among the LCS s types, the willingness to use home-based care was highest with 54.4%, followed by visiting nursing 52.8%, visiting bathing 44.4%, and so on. In the ECS s types, 48.1% of the elderly were willing to us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46.9% of the elderly were hoping to use care service for the blind zone of long-term care system. Second, the different factors were influencing the LCS and ECS use intention by service types. Notably, education, income class, number of illnesses, and difficulty in daily lif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all service intention types. In LCS, the service perception and region factors had a strong effect on service use intention than other variables. In ECS, family members number, subjective economic status, neighborhood help for independence, and access to medical center factors significantly impacted on service use intention than other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extending elderly care services for universal and enhancing the CCS system s health program to protect the elders declining health. Also, it presented the ways of activating community-center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study had an implication of discussing CCS policy focused on aging in place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혜진, "한국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7 (47): 179-204, 2016

      2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안)" 보건복지부 2018

      3 현승현,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경기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69-83, 2018

      4 문용필, "중․고령자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영향요인 분석: 베이비부머와 노인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32 (32): 59-92, 2016

      5 전용호, "재가노인지원서비스의 필요성과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경기도의 이용자와 공급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275-304, 2016

      6 임정기, "재가노인요양서비스 종류별 이용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193-234, 2009

      7 김성희, "장기요양인정 독거노인의 재가서비스 이용 관련 요인" 한국보건사회학회 (29) : 237-258, 2011

      8 정완교,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결정요인" 한국개발연구원 31 (31): 139-167, 2009

      9 석재은, "장기요양 인정자의 최초 재가급여 선택과 유지 및 이탈에 대한 영향요인: Aging in Place 지원을 위한 탐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5-42, 2017

      10 이신영, "장기요양 등급외 노인의 보건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265-286, 2014

      1 노혜진, "한국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7 (47): 179-204, 2016

      2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안)" 보건복지부 2018

      3 현승현,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경기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69-83, 2018

      4 문용필, "중․고령자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영향요인 분석: 베이비부머와 노인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32 (32): 59-92, 2016

      5 전용호, "재가노인지원서비스의 필요성과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경기도의 이용자와 공급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275-304, 2016

      6 임정기, "재가노인요양서비스 종류별 이용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193-234, 2009

      7 김성희, "장기요양인정 독거노인의 재가서비스 이용 관련 요인" 한국보건사회학회 (29) : 237-258, 2011

      8 정완교,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결정요인" 한국개발연구원 31 (31): 139-167, 2009

      9 석재은, "장기요양 인정자의 최초 재가급여 선택과 유지 및 이탈에 대한 영향요인: Aging in Place 지원을 위한 탐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5-42, 2017

      10 이신영, "장기요양 등급외 노인의 보건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265-286, 2014

      11 이미애, "장기 요양 보호 대상 노인의 시설 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7) : 29-47, 2005

      12 임정기, "의사결정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노인의 요양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129-150, 2008

      13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공공성 강화 및 품질 향상을 위한 2019년 사회서비스원 시범사업 추진계획" 보건복지부 2019

      14 이윤경,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917-933, 2009

      15 이윤경,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분석 - 다층모형(HLM)을 통한 개인과 지역요인 분석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82-200, 2009

      16 김찬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사각지대 규명과 해소 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정책학회 23 (23): 121-144, 2014

      17 양난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재가노인돌봄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31-56, 2013

      18 송미숙,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설급여 이용 선호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3~5등급 인정자를 대상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281-301, 2018

      19 이재모,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 203-222, 2006

      20 이가옥・이미진,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21 (21): 113-124, 2001

      21 하석철, "노인의 돌봄 유형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 돌봄, 재가 돌봄, 시설 돌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6 (46): 27-55, 2019

      22 임연옥, "노인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종단연구-서울과 춘천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9 (29): 1063-1085, 2009

      23 김은정, "노인의 가족유형별 돌봄서비스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22 (22): 1-30, 2010

      24 강유진, "노인복지서비스 인지도 및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28) : 255-294, 2005

      25 심미승,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5 (45): 203-229, 2011

      26 양은진, "노인 돌봄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derson 행동모형의 가능성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4 (74): 61-90, 2019

      27 김찬우, "노인 돌봄 서비스 수요 추정관련 고찰"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4) : 163-190, 2008

      28 배화숙, "가구유형별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경험과 영향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24, 2011

      29 Andersen, R.,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51 : 95-124, 1973

      30 Andersen, R. M.,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0 : 1-10, 1995

      31 Goins, R. T., "Research on rural caregiving" 28 (28): 139-170, 2009

      32 Dahlberg, L., "Receipt of formal and informal help with specific care tasks among older people living in their own home. National trends over two decades" 52 (52): 91-110, 2018

      33 OECD, "OECD Project on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Incomes"

      34 OECD, "OCED Economic Surveys Korea"

      35 Graessel, E., "Home nursing and home help for dementia patients: Predictors for utilization and expected quality from a family caregiver’s point of view" 52 (52): 233-238, 2011

      36 Genet N, "Home Care across Europe: Current Structure and Future Challenges" European Observatory on Health Systems and Policies 25-53, 2012

      37 Wolinsky, F. 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Conceptual, measurement, and modeling issues in secondary analysis" 34 (34): 470-475, 1994

      38 Dohl, O.,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public home care received by elderly and intellectually disabled individuals in a large Norwegian municipality" 24 (24): 297-308, 2016

      39 전병주, "Anderson 모형을 이용한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 예측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19-27, 2014

      40 김은영, "Andersen 행동모형에 근거한 한국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 28 (28): 585-602, 2008

      41 보건복지부, "2020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20

      42 보건복지부, "2020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20

      43 통계청,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44 국민건강보험공단, "2019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20

      45 정경희,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46 통계청, "2017 인구주택총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