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아동 부모의 가족일치감(Family Sense of Coherence: FSOC) 연구  :  사회적 지지, 낙관성, 부부 협력을 중심으로 = Family Sense of Coherence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Social Support, Optimism and Couple Collab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4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with the purposes of investigating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may substantially influence the family sense of coherence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 also explore the sophisticated mechanisms...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with the purposes of investigating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may substantially influence the family sense of coherence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 also explore the sophisticated mechanisms betwee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Method: A total of 396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in the age group 0 to 18 year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was used in the evaluation of the hypothesized model. Through latent mean analysis (LMA), differences between two parents groups (under vs. over school age) were examined. In addition, using the Sobel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 collaboration and optimism of parents were examined. Results: First, social support, couple collaboration, and optimism of parent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amily sense of coherence among the parents. Second, parents belonging to the group of children over school age appeared to have a higher level of family sense of coherence, than parents of children under school age. Thir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was found among the parents of children over school age.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 collaboration and optimism were significant in both parent groups.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지지, 낙관성, 부부 협력 및 가족일치감(Family Sense of Coherence)의 관계에 대한 모형을 분석하고, 이 관계가 학령전기 아동의 부모 집단과 학령기 아동의 부모...

      연구목적: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지지, 낙관성, 부부 협력 및 가족일치감(Family Sense of Coherence)의 관계에 대한 모형을 분석하고, 이 관계가 학령전기 아동의 부모 집단과 학령기 아동의 부모 집단에서 동일하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본 후, 그 결과를 가족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0세~18세 장애아동 부모 396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고,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두 부모 집단 간에 잠재변인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sobel검증을 통해 낙관성과 부부 협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는 가족일치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또한 낙관성 및 부부 협력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모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가족일치감에 이르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고,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는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 집단보다 가족일치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 자녀를 둔 가족의 지원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모형
      • 2. 연구 대상자
      • 3. 연구 도구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모형
      • 2. 연구 대상자
      • 3. 연구 도구
      • 4. 분석방법
      • Ⅲ. 연구 결과
      • 1.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 2. 연구모형검증
      • 3. 자녀의 초등학교 취학 유무에 따른 부모집단에서의 잠재평균분석
      • 4. 자녀의 초등학교 취학 유무에 따른 부모집단에서의 연구모형 검증
      • Ⅳ. 논의 및 제언
      • 참 고 문 헌
      • 국문초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