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XAI SHAP 기반 토지 피복 구성에 따른 지표면 온도의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Surface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Composition of Land Cover Based on XAI SH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3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인공지능 아키텍처의 발전과 하드웨어의 성능이 급속도로 개선되면서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들의 유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는 인공지능 모델의 의사결정 분기점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연구자의 모델 해석 용이성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블랙박스 모형으로 알려진 인공지능 모형을 설명하기 위한 연구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은 위와 같은 복잡성을 해소하기 위해 등장하였으며, 모델의 블랙박스를 연구자가 이해 가능한 수준으로 분해하여 해석 가능성 및 신뢰도 제고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셀(cell) 단위의 토지 피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공간 단위의 지표면 온도를 추정한다. 고차원 데이터에 대한 기존 통계모형의 한계를 살펴보았으며,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사용한 모형으로는 Lasso(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회귀, 랜덤포레스트 회귀(random forest regression), XGBoost(eXtreme Gradient Boosting)가 있으며, XGBoost 모델의 적합 결과를 바탕으로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을 통한 XAI 점검을 시행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인공지능 아키텍처의 발전과 하드웨어의 성능이 급속도로 개선되면서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들의 유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는 인공지능 모델의 의사결정 분기점...

      최근 인공지능 아키텍처의 발전과 하드웨어의 성능이 급속도로 개선되면서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들의 유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는 인공지능 모델의 의사결정 분기점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연구자의 모델 해석 용이성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블랙박스 모형으로 알려진 인공지능 모형을 설명하기 위한 연구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은 위와 같은 복잡성을 해소하기 위해 등장하였으며, 모델의 블랙박스를 연구자가 이해 가능한 수준으로 분해하여 해석 가능성 및 신뢰도 제고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셀(cell) 단위의 토지 피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공간 단위의 지표면 온도를 추정한다. 고차원 데이터에 대한 기존 통계모형의 한계를 살펴보았으며,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사용한 모형으로는 Lasso(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회귀, 랜덤포레스트 회귀(random forest regression), XGBoost(eXtreme Gradient Boosting)가 있으며, XGBoost 모델의 적합 결과를 바탕으로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을 통한 XAI 점검을 시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chitecture and the rapid improvement of hardware performance,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their usefulness are increasing. However, unlike the rate of development of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model's explanatory ability is slow to progress. The increasingly complex decision branching points of AI models are increasing exponentially, which hinders researchers' ease of model interpretation.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has emerged to solve the above complexity, and helps to improve interpretability and reliability by decomposing the black box of the model to a level that researchers can understand. This study estimat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a specific spatial unit using land cover data of a cell unit in Korea, Seoul.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atistical model for high-dimensional data were examined, and the estimation results were compared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Models used include Lasso regression(Least absolute l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random forest regression, and XGBoost (eXtreme Gradient Boosting) regression. Finally, based on the fitted result of the XGBoost regression model, XAI SHAP was carried out.
      번역하기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chitecture and the rapid improvement of hardware performance,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their usefulness are increasing. However, unlike the rate of ...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chitecture and the rapid improvement of hardware performance,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their usefulness are increasing. However, unlike the rate of development of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model's explanatory ability is slow to progress. The increasingly complex decision branching points of AI models are increasing exponentially, which hinders researchers' ease of model interpretation.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has emerged to solve the above complexity, and helps to improve interpretability and reliability by decomposing the black box of the model to a level that researchers can understand. This study estimat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a specific spatial unit using land cover data of a cell unit in Korea, Seoul.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atistical model for high-dimensional data were examined, and the estimation results were compared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Models used include Lasso regression(Least absolute l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random forest regression, and XGBoost (eXtreme Gradient Boosting) regression. Finally, based on the fitted result of the XGBoost regression model, XAI SHAP was carried ou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상영 ; 김기환, "오픈 데이터와 격자 시스템을 이용한 세종시 실제 인구 추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1793-1807, 2020

      2 허만규, "식용 고사리 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1937-1946, 2021

      3 이동찬 ; 김기환,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를 이용한 격자인구 추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1535-1548, 2021

      4 김근한 ; 김동범 ; 송영명 ; 최희선, "도시지역에서의 토지피복 유형별 지표면 온도 현황 분석" 한국지리학회 10 (10): 415-430, 2021

      5 유철희 ; 임정호 ; 박선영 ; 조동진, "기계학습 기반 상세화를 통한 위성 지표면온도와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열환경 분석: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 33 (33): 1101-1118, 2017

      6 김백조 ; 남형구 ; 하태룡 ; 김지완 ; 이용희, "겨울철 도로기상 및 노면온도의 시⋅공간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2419-2430, 2021

      7 이동찬 ; 변상영 ; 김기환, "XAI Grad-CAM 기반 궤양병 감귤 이미지 분류 CNN 모델의 점검" 한국자료분석학회 24 (24): 2133-2142, 2022

      8 Tibshirani, R., "Regression shrinkage and selection via the lasso" 58 : 267-288, 1996

      9 Lundberg, S., "Consistent Individualized Feature Attribution for Tree Ensembles" 2018

      1 변상영 ; 김기환, "오픈 데이터와 격자 시스템을 이용한 세종시 실제 인구 추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1793-1807, 2020

      2 허만규, "식용 고사리 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1937-1946, 2021

      3 이동찬 ; 김기환,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를 이용한 격자인구 추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1535-1548, 2021

      4 김근한 ; 김동범 ; 송영명 ; 최희선, "도시지역에서의 토지피복 유형별 지표면 온도 현황 분석" 한국지리학회 10 (10): 415-430, 2021

      5 유철희 ; 임정호 ; 박선영 ; 조동진, "기계학습 기반 상세화를 통한 위성 지표면온도와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열환경 분석: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 33 (33): 1101-1118, 2017

      6 김백조 ; 남형구 ; 하태룡 ; 김지완 ; 이용희, "겨울철 도로기상 및 노면온도의 시⋅공간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2419-2430, 2021

      7 이동찬 ; 변상영 ; 김기환, "XAI Grad-CAM 기반 궤양병 감귤 이미지 분류 CNN 모델의 점검" 한국자료분석학회 24 (24): 2133-2142, 2022

      8 Tibshirani, R., "Regression shrinkage and selection via the lasso" 58 : 267-288, 1996

      9 Lundberg, S., "Consistent Individualized Feature Attribution for Tree Ensembles"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