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시의 시간 연구 - 1910년대~1920년대 시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310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시에 ‘구현된 시간’ 자체에 주목하여 그것이 시라는 세계를 존재론적으로 구축한다고 보고 이때 시간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를 1910년대에서 1920년대까지의 시를 중심으로살펴보았다. 시에서 시간은 자율적 고유성을 갖는데 그것은 창조적인 것으로 허구의 시간 질서나 법칙에 가변적으로 부합하는 독립적인 시간의 성격이다. 또한 시의 시간은 과거나 미래, 또는 두가지 모두가 현재를 중심으로 겹쳐져 나타나는 복합적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시간의 복합성은 시에 상존하는 고유한 시간성으로 시간적 지평을 형성한다. 한편 시의 시간은 특정한 성격의 시간성을 갖는데 이 시간성은 시의 시간 형성 단계부터 근원적으로 개입되어 있다. 1910년대 근대 초기의 시에서는 근대적 자아가 출현하면서 시의 시간은 근대의 시간관념과 시간의식에 의한 시간성을 보이며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시간으로 전개되었다. 1920년대의시에서 시간은 현실과 관계를 맺으면서도 상상에 의해 창조된 가상적 시간성을 보이고 있다. 시의 시간은 시에서 자율적으로 존재하면서도 시대적, 사회적 환경에 의해 여러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현실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시의 시간은 현실의 시간과 다르지만시대적, 사회적 환경에 따라 시에 구현된 현실적 실재인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시에 ‘구현된 시간’ 자체에 주목하여 그것이 시라는 세계를 존재론적으로 구축한다고 보고 이때 시간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를 1910년대에서 1920년대까지의 시를 중심으로살펴보...

      본고는 시에 ‘구현된 시간’ 자체에 주목하여 그것이 시라는 세계를 존재론적으로 구축한다고 보고 이때 시간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를 1910년대에서 1920년대까지의 시를 중심으로살펴보았다. 시에서 시간은 자율적 고유성을 갖는데 그것은 창조적인 것으로 허구의 시간 질서나 법칙에 가변적으로 부합하는 독립적인 시간의 성격이다. 또한 시의 시간은 과거나 미래, 또는 두가지 모두가 현재를 중심으로 겹쳐져 나타나는 복합적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시간의 복합성은 시에 상존하는 고유한 시간성으로 시간적 지평을 형성한다. 한편 시의 시간은 특정한 성격의 시간성을 갖는데 이 시간성은 시의 시간 형성 단계부터 근원적으로 개입되어 있다. 1910년대 근대 초기의 시에서는 근대적 자아가 출현하면서 시의 시간은 근대의 시간관념과 시간의식에 의한 시간성을 보이며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시간으로 전개되었다. 1920년대의시에서 시간은 현실과 관계를 맺으면서도 상상에 의해 창조된 가상적 시간성을 보이고 있다. 시의 시간은 시에서 자율적으로 존재하면서도 시대적, 사회적 환경에 의해 여러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현실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시의 시간은 현실의 시간과 다르지만시대적, 사회적 환경에 따라 시에 구현된 현실적 실재인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ime in the poetry from 1910s to 1920s focused on the implemented time in the poetry that is assumed to construct the world of poetry ontologically. In the poetry, the time has autonomous uniqueness, which is creative, so is the independent nature of time that varies with a fictional time order or rule. In addition, the time in the poetry shows a combination of past, present and future. The complexity of time forms a temporal horizon with the unique temporality existing in the poem. On the other hand, the time in the poetry has the temporality of specific character, which is fundamentally involved from the formation of the time in the poetry. In the poetry of early modern in the 1910s, the modern self emerged, and the time in the poetry shows the notion of time and the temporality by time consciousness in the modern time, evolving into creative and subjective time. In the poetry in the 1920s, time has come to relate to reality.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 fictional time consciousness created by imagin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time in the poetry is realistic in that it exists autonomously in the poetry, but it appears in many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periodic and social environment. The time in the poetry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time, but it is the implemented in the poetry according to the periodic and social environment.
      번역하기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ime in the poetry from 1910s to 1920s focused on the implemented time in the poetry that is assumed to construct the world of poetry ontologically. In the poetry, the time has autonomous unique...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ime in the poetry from 1910s to 1920s focused on the implemented time in the poetry that is assumed to construct the world of poetry ontologically. In the poetry, the time has autonomous uniqueness, which is creative, so is the independent nature of time that varies with a fictional time order or rule. In addition, the time in the poetry shows a combination of past, present and future. The complexity of time forms a temporal horizon with the unique temporality existing in the poem. On the other hand, the time in the poetry has the temporality of specific character, which is fundamentally involved from the formation of the time in the poetry. In the poetry of early modern in the 1910s, the modern self emerged, and the time in the poetry shows the notion of time and the temporality by time consciousness in the modern time, evolving into creative and subjective time. In the poetry in the 1920s, time has come to relate to reality.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 fictional time consciousness created by imagin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time in the poetry is realistic in that it exists autonomously in the poetry, but it appears in many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periodic and social environment. The time in the poetry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time, but it is the implemented in the poetry according to the periodic and social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시에서 시간의 의미
      • 3. 1910년대~1920년대 시에 나타난 시간의 특징
      • 1) 근대의 시간과 주체적 시간 – 1910년대의 시
      • 국문요약
      • 1. 서론
      • 2. 시에서 시간의 의미
      • 3. 1910년대~1920년대 시에 나타난 시간의 특징
      • 1) 근대의 시간과 주체적 시간 – 1910년대의 시
      • 2) 상상적 시간의 창조 – 1920년대의 시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성호, "?향수?와 ?고향?, 그리고 향토의 발견" 한국시학회 (7) : 7-, 2002

      2 김재홍, "한국 현대시의 사적 탐구" 일지사 1998

      3 김동근, "한국 현대시의 ‘시간’ 양상 -역사·기억·변형의 시간의식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48) : 05-27, 2012

      4 심재휘, "한국 현대시와 시간" 월인 1998

      5 이숭원, "한국 현대시사의 쟁점" 시와시학사 1991

      6 인태정, "한국 근대 자본주의 전후의 시 ‧ 공간 관념의 변화" 한국문화사회학회 13 (13): 151-186, 2012

      7 김소월, "진달내" 賣文社 1925

      8 Ponty, Merleau,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9 Heidegger, Martin,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10 송명희, "이상화 시에 나타난 공간 이미지와 시간의식" 한국비교문학회 6 : 123-146, 1981

      1 오성호, "?향수?와 ?고향?, 그리고 향토의 발견" 한국시학회 (7) : 7-, 2002

      2 김재홍, "한국 현대시의 사적 탐구" 일지사 1998

      3 김동근, "한국 현대시의 ‘시간’ 양상 -역사·기억·변형의 시간의식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48) : 05-27, 2012

      4 심재휘, "한국 현대시와 시간" 월인 1998

      5 이숭원, "한국 현대시사의 쟁점" 시와시학사 1991

      6 인태정, "한국 근대 자본주의 전후의 시 ‧ 공간 관념의 변화" 한국문화사회학회 13 (13): 151-186, 2012

      7 김소월, "진달내" 賣文社 1925

      8 Ponty, Merleau,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9 Heidegger, Martin,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10 송명희, "이상화 시에 나타난 공간 이미지와 시간의식" 한국비교문학회 6 : 123-146, 1981

      11 이숭원, "원본 정지용 시집" 깊은샘 2003

      12 Langer, Susanne K., "예술이란 무엇인가" 고려원 1982

      13 박이문, "예술 철학" 문학과지성사 1983

      14 전동진, "시간의식과 장르에 관한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8집) : 199-224, 2006

      15 Husserl, Edmund, "시간의식" 한길사 1996

      16 소광희, "시간의 철학적 성찰" 문예출판사 2001

      17 김태훈, "소월 시에 나타난 시간성의 의미 - 「먼 후일」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1 : 201-220, 2011

      18 윤여탁, "불노리의 문학사적 평가와 그 의미" 현대문학이론학회 9 : 131-152, 1998

      19 "백조 3호"

      20 박슬기, "박인환 시에서의 우울과 시간의식" 한국시학회 (33) : 219-243, 2012

      21 Bergson, Henri,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22 김준오, "문학사와 장르" 문학과지성사 2000

      23 Meyerhoff, Hans, "문학과 시간의 만남" 자유사상사 1994

      24 문혜원, "김춘수의 처용단장에 나타나는 시간의식에 대한 연구- 후설의 현상학적 시간의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3 (23): 127-150, 2015

      25 주영중, "김춘수 시의 근원적 시간의식과 전통의 창조적 변용"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1 : 305-333, 2012

      26 노춘기, "김종삼 시의 시간의식- 전쟁 체험의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32) : 341-364, 2015

      27 조강석, "김수영 시에 나타난 시간의식 연구 : 근대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8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1997

      29 노춘기, "근대시 형성기의 창작주체와 장르의식" 민족어문학회 0 (0): 225-248, 2006

      30 박태호, "근대 계몽기 지식 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소명출판 2004

      31 김준오, "詩論" 삼지원 1982

      32 Aldrich, Virgil C., "藝術哲學" 종로서적 1983

      33 "『학지광』5호"

      34 "『학지광』4호"

      35 "『폐허이후』1호"

      36 "『창조』창간호"

      37 이기철, "<나의寢室로>의 再解釋" 한민족어문학회 15 : 79-97, 1988

      38 이기성, "1950년대 모더니즘 시의 시간의식과 시쓰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1 0.80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