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용준, "회분식활성슬러지를 이용한 표면개질된 폐타이어담체의 하수처리특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5 (25): 4-687, 2003
2 이광래, "친수성으로 표면개질한 폴리설폰막의 투과플럭스" 한국화학공학회 42 (42): 59-64, 2004
3 한성, "이온 보조 반응에 의하여 활성화된 폴리프로필렌 담체를 이용한 합성폐수 처리시 미생물 부착 및 유기물의 제거" 한국생물공학회 17 (17): 235-240, 2002
4 윤조희, "유동여재 A2O공정에서 외부탄소원으로 메탄올을 이용한 낮은 C/N비 하수의 생물학적 질소제거 특성" 대한환경공학회 28 (28): 687-692, 2006
5 황필기, "변성목편담체를 이용한 하수처리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26 (26): 1395-1398, 2004
6 Wett, B., "The role of inorganic carbon limitation in biological nitrogen removal of extremely ammonia concentrated wastewater" 37 : 1100-1110, 2003
7 Ministry of Environment, "Statistics of Sewerage"
8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5-17, 1998
9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Dong Hwa Technology Publishing Co 1-691, 2002
10 Yang, D. C, "Development of support by chemical modification for the immobilization of activated sludg" 35 : 129-134, 1997
1 정용준, "회분식활성슬러지를 이용한 표면개질된 폐타이어담체의 하수처리특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5 (25): 4-687, 2003
2 이광래, "친수성으로 표면개질한 폴리설폰막의 투과플럭스" 한국화학공학회 42 (42): 59-64, 2004
3 한성, "이온 보조 반응에 의하여 활성화된 폴리프로필렌 담체를 이용한 합성폐수 처리시 미생물 부착 및 유기물의 제거" 한국생물공학회 17 (17): 235-240, 2002
4 윤조희, "유동여재 A2O공정에서 외부탄소원으로 메탄올을 이용한 낮은 C/N비 하수의 생물학적 질소제거 특성" 대한환경공학회 28 (28): 687-692, 2006
5 황필기, "변성목편담체를 이용한 하수처리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26 (26): 1395-1398, 2004
6 Wett, B., "The role of inorganic carbon limitation in biological nitrogen removal of extremely ammonia concentrated wastewater" 37 : 1100-1110, 2003
7 Ministry of Environment, "Statistics of Sewerage"
8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5-17, 1998
9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Dong Hwa Technology Publishing Co 1-691, 2002
10 Yang, D. C, "Development of support by chemical modification for the immobilization of activated sludg" 35 : 129-134, 1997
11 Kim, T. Y, "Development of high-hydrophilic biofilter for decentralized regions and rural communities" 22 : 678-68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