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독일의 건강보험체계와 통일 이후의 제도 변화 = A Study on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and Institutional Changes after Reun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05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which introduced the social insurance system, was reorganized from a system divided into East and West Germany to a system based on West Germany after it was reunited in 1990. After the enactment of the Disease Insurance Act in 1883, it reached its 135th anniversary, and 26 years after the unification,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experienced considerable changes. This German experience is still the most important example to prepare for future unification for us, which remains a divided nation. Nevertheless, there is still a lack of basic understanding of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First, look at an overview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lso, we will briefly review the changes in the new health insurance system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and the reform process of the health insurance legislation. This leads to implications for how to create a unified Korea health insurance system. These studies will help to set reform direction of health insurance in the future and to carefully examine the increase in the self burden for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When designing a unified Korean health insurance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mpact of the German labor market reform in the 2000s on the social insurance system. Of course, this should be planned in order to formulate a new legal system and to formulate the transitional provisions in order to rebuild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n the new state.
      번역하기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which introduced the social insurance system, was reorganized from a system divided into East and West Germany to a system based on West Germany after it was reunited in 1990. After the enactment of the Disease Insu...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which introduced the social insurance system, was reorganized from a system divided into East and West Germany to a system based on West Germany after it was reunited in 1990. After the enactment of the Disease Insurance Act in 1883, it reached its 135th anniversary, and 26 years after the unification,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experienced considerable changes. This German experience is still the most important example to prepare for future unification for us, which remains a divided nation. Nevertheless, there is still a lack of basic understanding of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First, look at an overview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lso, we will briefly review the changes in the new health insurance system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and the reform process of the health insurance legislation. This leads to implications for how to create a unified Korea health insurance system. These studies will help to set reform direction of health insurance in the future and to carefully examine the increase in the self burden for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When designing a unified Korean health insurance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mpact of the German labor market reform in the 2000s on the social insurance system. Of course, this should be planned in order to formulate a new legal system and to formulate the transitional provisions in order to rebuild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n the new st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보험제도를 태동시킨 독일의 건강보험제도는 1990년 재통일을 맞이하면서 동· 서독으로 양분된 체계에서 서독 중심의 체계로 재편되었다. 1883년 질병보험법 제 정 이후 135주년을 맞이하였고, 통일 후 26년이 경과하면서 독일의 건강보험체계는 상당한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독일의 경험은 아직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우리 에게 향후 통일을 대비한 가장 중요한 사례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건강보험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여전히 부족한 현실 에서 먼저, 건강보험체계를 개관하고, 통일 전·후 동독지역 건강보험체계의 변화와 실질적인 건강보험법제의 개혁과정을 파악함으로써 통일 한국의 건강보험체계를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는 향후 건강보험의 개혁 방향성을 설정하고 보장성 강화를 위한 본인부담율 증가 문제를 신중히 검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2000년대 독일의 노동시장개혁이 사회보험체계에 미친 영 향을 고려하는 한편, 동독지역 사회보험체계의 재구축을 위한 경과규정의 구체화와 새로운 법체계의 수립이라는 차원에서 통일 한국의 건강보험체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사회보험제도를 태동시킨 독일의 건강보험제도는 1990년 재통일을 맞이하면서 동· 서독으로 양분된 체계에서 서독 중심의 체계로 재편되었다. 1883년 질병보험법 제 정 이후 135주년을 맞이하...

      사회보험제도를 태동시킨 독일의 건강보험제도는 1990년 재통일을 맞이하면서 동· 서독으로 양분된 체계에서 서독 중심의 체계로 재편되었다. 1883년 질병보험법 제 정 이후 135주년을 맞이하였고, 통일 후 26년이 경과하면서 독일의 건강보험체계는 상당한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독일의 경험은 아직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우리 에게 향후 통일을 대비한 가장 중요한 사례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건강보험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여전히 부족한 현실 에서 먼저, 건강보험체계를 개관하고, 통일 전·후 동독지역 건강보험체계의 변화와 실질적인 건강보험법제의 개혁과정을 파악함으로써 통일 한국의 건강보험체계를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는 향후 건강보험의 개혁 방향성을 설정하고 보장성 강화를 위한 본인부담율 증가 문제를 신중히 검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2000년대 독일의 노동시장개혁이 사회보험체계에 미친 영 향을 고려하는 한편, 동독지역 사회보험체계의 재구축을 위한 경과규정의 구체화와 새로운 법체계의 수립이라는 차원에서 통일 한국의 건강보험체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갑, "지난 20년간 독일 공적 건강보험 개혁과 시사점: 경쟁적 다보험자체계에서 공적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 강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86-212, 2009

      2 "연방보건부 홈페이지"

      3 김영미, "사회·문화·노동분야 법제정비 사례, 독일 통일 이후 분야별 법제정비사례 조사 및 한반도 통일과정에서의 정책방안 도출" 한국법제연구원 2015

      4 이정우,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복지국가의 역할" 한독경상학회 29 (29): 51-78, 2011

      5 통일부, "독일의 통일·통합정책연구 제2권 부처·지방정부연구" 보건복지부 2010

      6 김정호, "독일의 사회보장제도의 발전과정과 통일 후의 방향" 국민경제교육연구소 1991

      7 전광석, "독일사회보장법과 사회정책" 박영사 2008

      8 전광석, "독일건강보험법의 기본모형과 개혁논의-우리 건강보험법에 주는 시사점-" 한국의료법학회 12 (12): 31-70, 2004

      9 레노어 자우어, "독일 의료보험제도의 위기와 개혁" 2014

      10 "건강보험조합 홈페이지"

      1 이용갑, "지난 20년간 독일 공적 건강보험 개혁과 시사점: 경쟁적 다보험자체계에서 공적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 강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86-212, 2009

      2 "연방보건부 홈페이지"

      3 김영미, "사회·문화·노동분야 법제정비 사례, 독일 통일 이후 분야별 법제정비사례 조사 및 한반도 통일과정에서의 정책방안 도출" 한국법제연구원 2015

      4 이정우,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복지국가의 역할" 한독경상학회 29 (29): 51-78, 2011

      5 통일부, "독일의 통일·통합정책연구 제2권 부처·지방정부연구" 보건복지부 2010

      6 김정호, "독일의 사회보장제도의 발전과정과 통일 후의 방향" 국민경제교육연구소 1991

      7 전광석, "독일사회보장법과 사회정책" 박영사 2008

      8 전광석, "독일건강보험법의 기본모형과 개혁논의-우리 건강보험법에 주는 시사점-" 한국의료법학회 12 (12): 31-70, 2004

      9 레노어 자우어, "독일 의료보험제도의 위기와 개혁" 2014

      10 "건강보험조합 홈페이지"

      11 Plettner, Susanne, "Vertragswettbewerb in der GKV unter wettbewerbsrecthlichen Gesichtspunkten" PETER LANG 2010

      12 Reinhard Busse, "Statutory health insurance in Germany: a health system shaped by 135 years of solidarity, self-governance, and competition" Elsevier BV 390 (390): 882-897, 2017

      13 Eichenhofer, "Sozialrecht, 7. Auflage"

      14 Gerlinger, Thomas, "Medizinische Versorgungszentren: Entwicklung und Perspektiven" 222-235, 2017

      15 Deutscher Bundestag, "Materialien zur Deutschen Einheit und zum Aufbau in den neuen Bundesländern" 12 (12): 1994

      16 Mrotzeck, Herbert, "Krankenversicherung und Alterssicherung" Leske + Budrich 1997

      17 "Gesundheitsreformen"

      18 "Gesundheitsreform in Deutschland"

      19 "GKV-Wettbewerbsstärkungsgesetz; BGBl. I, S. 2266"

      20 "GKV-Versorgungsstrukturgesetz"

      21 "GKV-Finanzstruktur- und Qualitäts-Weiterentwicklungsgesetz (GKV-FQWG)"

      22 Tunder, "Einführung in das deutsche Gesundheitssystem"

      23 "Die Hartz-Gesetze"

      24 Gerlinger, Thomas, "Die Gesundheitsreform 2011: Ziele-Strateg ien-Kontroversen-Chronologie"

      25 Gerlinger, Thomas, "Die Gesundheitsreform 2007 und die Reaktionen wichtiger gesundheitspolitischer Akteure – Überblick"

      26 Booth, Melanie, "Die Entwicklung der Arbeitslosigkeit in Deutschland"

      27 "Das Gesundheitswesen in der DDR"

      28 Gerlinger, Thomas,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Die wichtigsten Akteure im deutschen Gesundheitswesen"

      29 "Bundestag beschließt PsychVVG"

      30 "Arzneimittelmarktneuordnungsgesetz (AMNOG)" Verfügbar unte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