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류의 관점에서 초등수학 평면도형 고찰 = A Study on the Plane Figure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View of Class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6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d plane figures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and also analyzed plane figures focused on the invariance of plane figures out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In the view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how to treat trapezoids was a key argument. In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concept of sliding, flipping, and turning are introduced as part of development activities of spatial sense, but it is rare to apply them directly to figures. For example, how are squares and rectangles different in terms of symmetry? One of the main purposes of geometry learning is the classification of figures. Thus, the activity of classifying plane figures from a symmetrical point of view has sufficiently educational significance from Klein's point of view.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d plane figures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and also analyzed plane figures focused on the invariance of plane figures out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d plane figures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and also analyzed plane figures focused on the invariance of plane figures out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In the view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how to treat trapezoids was a key argument. In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concept of sliding, flipping, and turning are introduced as part of development activities of spatial sense, but it is rare to apply them directly to figures. For example, how are squares and rectangles different in terms of symmetry? One of the main purposes of geometry learning is the classification of figures. Thus, the activity of classifying plane figures from a symmetrical point of view has sufficiently educational significance from Klein's point of vie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미, "초등학생들의 공간감각 이해능력 실태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 46 (46): 273-292, 2007

      2 조영선, "초등학생들의 공간 감각 실태 조사-4,5,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6 (16): 359-388, 2012

      3 이종영, "초등학교에서 지도하는 공간감각 내용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7 (7): 269-286, 2005

      4 정영옥,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비교"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663-690, 2017

      5 김유경,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공간추론능력 실태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 9 (9): 353-373, 2007

      6 Baroody, "수학의 힘을길러주자. 왜? 어떻게?" 경문사 2005

      7 우정호,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8 교육부, "수학 4-2" ㈜천재교육 2018

      9 박상욱, "미국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Everyday Mathematics』의 확률 영역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8 (18): 475-492, 2014

      10 하혜진, "대칭성을 이용한 사각형 학습지도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2018

      1 이성미, "초등학생들의 공간감각 이해능력 실태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 46 (46): 273-292, 2007

      2 조영선, "초등학생들의 공간 감각 실태 조사-4,5,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6 (16): 359-388, 2012

      3 이종영, "초등학교에서 지도하는 공간감각 내용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7 (7): 269-286, 2005

      4 정영옥,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비교"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663-690, 2017

      5 김유경,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공간추론능력 실태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 9 (9): 353-373, 2007

      6 Baroody, "수학의 힘을길러주자. 왜? 어떻게?" 경문사 2005

      7 우정호,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8 교육부, "수학 4-2" ㈜천재교육 2018

      9 박상욱, "미국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Everyday Mathematics』의 확률 영역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8 (18): 475-492, 2014

      10 하혜진, "대칭성을 이용한 사각형 학습지도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2018

      11 DeLanda, M.,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 그린비 2009

      12 Mainzer, K., "Symmetry And Complexity: The Spirit and Beauty of Nonlinear Science" World Scientific 2005

      13 Weyl, H., "Symmet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14 Del Grande, J. J., "Spatial sense" 37 : 14-20, 1990

      15 Harris, L. J., "Spatial representation and behavior across the life span" AcademicPress 83-125, 1981

      16 Tartre, L. A., "Spatial orientation skill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21 (21): 216-229, 1990

      17 Bishop, A. J., "Spatial abilities and mathematics education-A review" 11 : 257-269, 1980

      1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al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19 Clements, D. H., "Mathematics in the Early Year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66-79, 1999

      20 Hershkowitz, R., "Mathematics and Cognition" University Press 70-95, 1990

      21 McGee, M. G., "Human spatial abilities :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86 (86): 889-918, 1979

      22 Maletsky, Evan M, "Harcourt Math (Math-Grade 4)" Harcourt, Inc 2002

      23 Clements, D. H.,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420-464, 1992

      24 Kennedy, L. M, "Guiding children's learning of mathematics" Wadsworth 2004

      25 Lockwood, E. H., "Geometric Symmetry" Cambridge Press 1978

      2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27 Gutiérez, A., "Children's ability for using different plane representations of space figures" 33-42, 1996

      28 Klein, F., "A comparative review of recent researches in geomet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부산경남수학회 -> 영남수학회
      영문명 : The Busan Gyeongnam Mathematical Society -> Youngnam Mathematical Socie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4 0.14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3 0.12 0.30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