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 서정가요의 가사와 더불어 음악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 서정가요가 지닌 문학적, 음악적 특징들을 고찰해보았다. 또한 북한가요가 지니고 있는 미학적 특징과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692723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문화콘텐츠학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서울
Theme and musical analysis on North Korean lylical songs
xv, 698 p. : 삽화, 도표, 악보 ; 26 cm
지도교수: 유영대
부록: 1. 2011년까지의 전체 북한가요(4,219곡)의 분석표, 2. 「북한가요 146곡」분석표, 3. '메아리 마이크식 화면노래반주기'의 『노래목록집』중 가요리스트 외
참고문헌: p. 307-3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 서정가요의 가사와 더불어 음악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 서정가요가 지닌 문학적, 음악적 특징들을 고찰해보았다. 또한 북한가요가 지니고 있는 미학적 특징과 시...
본 연구는 북한 서정가요의 가사와 더불어 음악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 서정가요가 지닌 문학적, 음악적 특징들을 고찰해보았다. 또한 북한가요가 지니고 있는 미학적 특징과 시대적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음악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북한음악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서는 해방 전후 시기・한국전쟁과 건설 시기・주체사상 발전시기・공산주의 몰락과 고난의 행군 시기・선군음악정치 시기 등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음악동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북한음악의 사상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주체사상에 입각한 주체 사실주의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북한가요의 종류와 시대별 특징에 대한 고찰에서는 북한가요의 종류를 장르류에 따라 서정・서사・교술・희곡으로 나누고 그 대표 곡들에 대한 가사분석을 통하여 각 장르의 성격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장르류의 하위 범주인 세부장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북한가요 분석에 적용할 세부장르들을 설정하였다.
북한가요의 시대별 특징에서는 해방을 기준으로 해방 이전의 북한가요와 해방 이후부터 1949년까지의 북한가요로 양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이후의 시기는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90년대 그리고 2000년대 이후로 나누어 분석해 봄으로써 각 해당 시기별 북한가요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범위인 해방 이전부터 2011년까지의 4,219곡에 대해 서정・서사・교술・희곡의 4개의 장르류로 분류하고 그 각각을 세부장르로 분류하였으며, 개별 곡의 음악적 요소인 음계, 박자 등에 관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을 통한 데이터들은 시대 순에 따라 나열하여 그 분포를 살펴보고 시대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방 이전 북한음악은 순수서정가요의 비율이 어느 시대 보다 가장 높았으며, 음계부분에서는 전통음악의 5음음계와 5음 간의 선율진행을 바탕으로 창작된 곡이 전체 220곡 중 155곡으로 70%에 해당한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2/4박자가 가장 많은 것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해방 이후 북한가요는 선전・선동가요가 47.8%를 차지하고 있으며 노동가요・수령송가・당송가・통일가요 등이 처음 등장하였다. 이전 시대에 비해 순수서정가요의 수는 감소하였다. 음계부분을 살펴보면, 5음음계보다 서양음계인 7음음계의 비중이 커졌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4/4박자가 23곡 중 11곡으로 47.8%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방 이전 북한가요에서 43.2%의 분포를 보인 2/4박자가 한 곡도 없다는 점은 이 시기의 특이점 중 하나이다. 또한 노동가요에서 변박자가 처음 등장했다.
1950년대 북한가요의 시대적 특징은 다른 장르에 비해 노동가요의 비중이 가장 크다는 점이다. 그리고 송가의 수가 서서히 증가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는 수령송가가 등장하지 않았으나 1956년 '8월 종파사건' 이후 수령송가가 다시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체철학과 공산주의 사상 교양 및 당 찬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당송가, 선전・선동가요가 눈에 띄게 늘어났다. 또한 새로운 세부장르로 추모가가 등장했다. 음계는 이전 시대에 비해 장조계열과 단조계열의 격차가 대폭 감소했으며 5음음계의 비율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부장르에서는 장음계와 단음계의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박자의 등장과 2/4박자의 재등장이 특징적이다.
1960년대 북한가요의 특징은 이전 시대에 비해 서정가요가 눈에 띄게 늘어난 점이다. 1950년대 6곡이었던 수령송가는 65곡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이 시기의 송가와 선전・선동가요는 225곡으로 77.6%에 해당한다. 또한 민요의 현대화와 더불어 통속적인 음악을 강조한 시기이므로 전통적인 선율소재인 5음음계의 비중이 늘어났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모든 세부장르에서 4/4박자의 곡이 많았으며, 35%정도의 비율이었던 이전 시기에 비해 59%로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북한가요의 가장 큰 특징은 전체 창작곡의 수가 이전 시대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는 점이다. 서정가요는 총 420곡으로 전체 곡 중 64.4%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은 1973년 문화혁명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세부장르에서 수령송가가 이전 시대의 비해 4배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당송가도 85곡으로 3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선전・선동가요도 207곡으로 50%가량 증가되었다. 음계적인 특징은 단일음계의 곡에서 단조가 장조보다 비율이 높아진 첫 시기라는 점이다. 5음음계와 7음음계의 비교에서는 7음음계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1980년대 북한음악의 특징은 수령송가가 큰 폭으로 줄고 선전・선동가요와 당송가가 크게 상승했다는 점이다. 음계적 특징은 단조계열이 장조계열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7음음계의 비중 역시 월등히 상승하였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4/4박자의 비중이 높았다.
1990년대의 북한가요를 살펴보면 김일성의 사후, 본격적인 김정일 시대에서의 정치・경제적 변화가 반영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80년대 말 동구권 공산주의의 몰락과 1990년대 초 소련의 붕괴 그리고 이른바 고난의 행군기를 거치면서 북한의 가요는 주민들에 대한 사상교양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령송가 392곡, 당송가 221곡, 선전・선동가요 376곡 등 창작물의 양적 증가로 나타났다. 이 중 수령송가가 전 시대에 비해 168곡에서 392곡으로 큰 폭의 상승을 나타냈다. 음계부분에서는 이전 시대에 비해 다시 장조계열의 음계가 많이 나타난다.
2000년대의 북한가요는 서정가요가 587곡으로 전체 곡 중에 93.9%를 차지하고 있다. 세부장르에서는 선전・선동가요가 크게 줄었는데 이는 1990년대 말 고난의 행군시기를 극복한 이후 풍속가요와 애정가요 등 서정가요의 비중이 상승한 결과로 추정된다. 음계는 장조계열이 많았고, 7음음계의 높은 비중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박자에서도 4/4박자의 높은 비율이 지속되었다.
그리고 북한의 서정가요를 주제에 따라,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전통민요를 수용한 서정가요・애정과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가극 속의 서정가요・수령 찬양 서정가요의 5가지로 구분하고, 각 분류별 대표곡들의 분석을 통해 주제에 따른 내용과 표현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의 서술방식은 자연 속의 경치에 대한 세밀한 서술 이후 시적화자의 심상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에서의 묘사되는 경치는 매우 구체적으로 그려지며 시적화자의 감정이입으로 인해 또 다른 의미를 생산하게 된다. 고향산천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거나 조국의 자연을 묘사하면서 우월성을 과시하기도 하며 애향심을 표현하기 위하여 고향의 강을 소재로 하기도 한다. 경치를 소재로 하기 때문에 고향과 관련된 내용이 많으며 이러한 시적화자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해방과 통일 등에 대한 의지로 연결되기도 한다. 또한 북한의 서정가요이므로 지도자의 은혜를 칭송하는 내용이 포함되기도 한다.
전통민요를 수용한 서정가요는 전통민요의 가사를 개사한 노래들로, 대부분 농사나 어업 등 그 소재에 있어서 노동요적 특징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북한의 가요인만큼 내용 중에는 당정책을 선전하거나 수령의 은덕을 찬양하는 표현이 존재한다.
애정과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는 1990년 이후 많이 등장하게 되는데, 애정주제의 경우, 남녀의 애정사를 소재로 하고 있으나 사회주의적 전형으로서의 총각을 흠모하는 처녀 또는 처녀를 흠모하는 총각이 혁신자의 영예를 획득하여 처녀에게 인정받겠다고 하는 식의 내용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로는 전통적 소재를 가지고 노래한 곡들이 있는데, 전통적 소재에 대한 찬양은 곧 민족에 대한 자긍심으로 이어지게 된다.
가극 속의 서정가요는 가극 속의 각 장면들과 연관된 정서를 담고 있는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는 《꽃파는 처녀》・《피바다》・민족가극 《춘향전》에서의 주요 곡들을 살펴보았다. 대부분 역경 속의 주인공에 관한 이야기이므로 전반적으로 흐르는 정서는 슬픔에 관한 것이 많다. 하나의 곡에 하나의 주제를 담아 표현해내는 일반적인 가요와는 다르게, 가극 속의 노래는 각 장면에 따른 등장인물들의 정서를 서술하고 있어 하나의 곡이 지니는 서정성은 보다 심화된다.
수령 찬양가요에서 표현되는 지도자의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신적이며 영웅적이다. 지도자는 태양으로 은유되어 온 세상을 밝혀주며, 민족을 위해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하는 영웅으로서 묘사될 때는 민족적 상징인 백두산이 동반되어 표현된다. 또한 수령 찬양가요 속의 지도자는 아버지로 호칭되어 유교적 효의 대상이며, 비참한 자신의 인생을 구해주거나 풍년을 가져다 준 은인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김정일 집권기 이후 형상화되는 지도자상은 그립고 정다운 연인이거나 어머니가 되기도 한다.
북한 서정가요에 대한 악곡 분석을 시행하기 위하여 북한의 가요 146곡을 선별하였고, 분석을 위한 다양한 항목을 설정하여 음악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항목은 악곡의 구조적 특징・선율적 특징・화성적 특징・전통리듬의 사용양상 등 4가지 항목이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적 특징으로는 북한가요의 절가적 특성으로 인해 두도막형식의 간단한 곡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며, 악곡의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창작곡의 빈도수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가요의 구조적 특징은 전렴과 후렴의 대구적인 절가형식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둘째, 북한가요에서는 주선율의 음역대가 남한의 가요에 비해 협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민들이 이해하기 쉽고 부르기 편해야 한다는 노래의 통속성을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원칙 중 하나인 '인민성'과 관련이 있으며, 가요를 감상용이 아닌 가창을 통한 사상교화의 목적으로 수단화했음을 나타내는 방증이기도 하다.
셋째, 선율적 특징으로는 선율의 소재 면에서 5음음계 위주의 사용이 많다는 점이다. 이는 민족적 형식을 강조하는 북한음악의 기본적인 원칙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렴에서 후렴으로의 선율진행에서 극적 대비를 보이는 가요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후렴 부분의 가사에서 수령과 당의 언급 시 해당 단어에 대한 강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설정으로 판단된다. 반대로 전렴에서 후렴으로의 선율진행이 평이한 양상을 보여주는 모습도 볼 수 있는데, 감정의 나열이나 사실의 나열과 같은 가사의 내용과 관련된 음악적 고려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렴과 후렴의 음역대가 유사하게 나타난다. 또한 주목할 만한 선율적 특이점은 최근의 북한가요에서 반음계적 수법의 선율진행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북한에서는 선율을 복잡하게 쓰지 않도록 하며 특별히 반음의 사용을 '날라리풍'이라 하여 금하고 있다.
넷째, 화성적 특징을 살펴보면, 북한가요는 기본적으로 가사와 선율이 음악의 중심이 되므로 화성에 대한 고려는 미약한 편이다. 또한 음악창작의 원칙상 화성의 다양성을 피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에서 벗어나 예외적인 화성소재나 화성진행이 적용된 특이한 사례들을 시대적 맥락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첫 번째로는 5도권 화성진행의 사용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증가한다는 점이다. 북한에서는 원칙적으로 재즈음악적 요소의 사용을 금기시 하였지만 1970년대 김정일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시기부터 스탠다드 재즈에서 자주 나타나는 5도권 화성진행의 사용빈도가 늘어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단조 곡에서의 5도권 화성진행이 두드러진다. 또한 부속7화음의 사용 빈도 역시, 시대가 바뀜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1960년대에는 그 빈도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천리마운동 등에 따른 다수의 선전・선동가요가 보급된 것이 그 원인으로 추정된다. 교술적인 가사는 메시지 전달이 주목적이므로 음악적 다양성의 추구는 오히려 해가 되기 때문이다. 그 이후 부속7화음 소재의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의 특수화음들의 사용은 매우 드물지만, 그러한 화성이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화음의 자리바꿈 사용에 있어서 2000년대 이후 사용 빈도가 늘어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시기적으로 김정일의 음악정치 그리고 김정은의 집권과 관련하여 음악소재가 확대되고 다양화되었음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리듬적인 측면에서는 서양리듬에 비해 전통리듬 소재의 사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족적 형식을 우위에 두고 서구의 음악을 복종시켜야 한다고 역설하지만 사실상 음악의 창작에 있어서는 서구적 리듬소재를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서구의 리듬에 대한 분석이 아닌 전통리듬의 사용양상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전통리듬소재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그들 나름대로의 변용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의 전통리듬과 그 변용의 양상을 정리해보고 변형된 전통리듬이 가요에 적용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북한가요에서의 서정성은 해방 이후 분단 상황 하에서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경향을 나타냈고, 한국전쟁 이후부터는 서서히 정치적 수단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전후 복구와 건설을 독려하는 선전・선동적인 곡들이 등장함과 동시에 김일성 유일사상체제의 확립시기를 기점으로 북한서정가요는 대부분 정치적 성향으로 변모된다.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이나 '우리민족제일주의론' 등을 통해 예술작품에 사회주의적 내용을 담을 것을 명시하면서 북한 서정가요는 대부분 사회주의 체제유지와 선전을 위한 목적으로 창작 보급되게 된다. 음악적 요소에 관해서도 창작에 관한 당의 엄격한 통제와 검열에 따라 창작의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북한음악은 지극히 제한된 상황 하에서의 흐름을 보여 왔다. 이러한 북한 서정가요의 한계는 곧 그들의 미학적 특징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하여 북한 서정가요의 미학적 특징과 한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인민성・당성・계급성과 주체문예이론에서의 종자론, 인민성과 통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통일을 주제로 한 가요의 가사분석을 통해 통일지향의 방향성이라는 측면에서 그들이 지닌 한계를 규명해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음악미학, 오희숙, 홍정수, 음악세계, , 2004
2. 『화성학』, 백병동, 수문당, , 1998
3. 민족음악론, 노동은 , 한길사, 한길사, , 1991
4. 한국민요학, 최철, 연세대학교출판부, , 1998
5. 혁명가요집, 최석, 문학예술출판사, , 2005
6. 조선음악사 2, 문성렵,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 1990
7. 북한문학사전, 이명재, 국학자료원, , 1995
8. 서사민요연구, 조동일, 啓明大學出版部, 계명대학교출판부, , 1970
9. 조선장단연구, 한영애, 민속원, , 1989
10. 수령님과 노래, 박명선, 문학예술출판사, , 2002
1. 음악미학, 오희숙, 홍정수, 음악세계, , 2004
2. 『화성학』, 백병동, 수문당, , 1998
3. 민족음악론, 노동은 , 한길사, 한길사, , 1991
4. 한국민요학, 최철, 연세대학교출판부, , 1998
5. 혁명가요집, 최석, 문학예술출판사, , 2005
6. 조선음악사 2, 문성렵,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 1990
7. 북한문학사전, 이명재, 국학자료원, , 1995
8. 서사민요연구, 조동일, 啓明大學出版部, 계명대학교출판부, , 1970
9. 조선장단연구, 한영애, 민속원, , 1989
10. 수령님과 노래, 박명선, 문학예술출판사, , 2002
11. 어머님과 노래, 안봉수, 김지현, 문학예술출판사, , 1997
12. ?북한음악연구?, 천현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13. 김일성저작집 15, 김일성, 조선로동당출판사, , 1961
14. 명가요창작리론, 김준규, 사회과학, 사회과학출판사, , 1987
15. 조선노래대전집, 문학예술출판사, 문학예술출판사, 문학예술출판사, , 2002
16. 조선민요선곡집, 차승진, 문예, 문예출판사, , 1991
17. 주체적음악연주, 김득청, 문예, 문예출판사, , 1992
18. 고마워라 당이여, 윤복기, 조선 문학예술 총동맹 출판사, , 1962
19. 노래해설집 축원, 신효경, 문학예술출판사, , 2012
20. 민요따라 삼천리, 최창호, 평양출판사, 평양출판사, , 1995
21. 북한의 고전문학, 설성경, 고려원, 고려원, , 1990
22. 새로운 음악통론, 김달성, 세광음악, 세광음악출판사, , 1986
23. 21세기태양의노래, 고광일, 김동수, 2.16 예술교육출판사, , 2001
24. 김일성저작선집 6, 김일성, 인문과학사, 조선로동당출판사, , 1974
25. 노래집 빛나는 모습, 신효경, 문학예술출판사, 문학예술출판사, , 2007
26. 사생활로 본 김정일, 송봉선, 정성, 도서출판 정성, , 2004
27. 새 노래 종합본 22호, 최석, 문학예술종합출판사, , 2001
28. 새 노래 종합본 23호, 최석, 박충성, 문학예술종합출판사, , 2003
29. 새 노래 종합본 24호, 최석, 문학예술출판사, , 2004
30. 새 노래 종합본 25호, 한정철, 문학예술출판사, , 2005
31. 새 노래 종합본 26호, 한영애, 문학예술출판사, , 2007
32. 새 노래 종합본 27호, 박충성, 문학예술출판사, , 2010
33. 새 노래 종합본 28호, 박충성, 문학예술출판사, , 2012
34. 1970년대 북한의 문화, 이우영,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현대북한연구 vol6 No.1, , 2003
35. 청춘들아노래부르자, 노익화, 문예, 문예출판사, , 1989
36. 파퓰러음악용어사전, 김정태, 삼호뮤직, , 1977
37. 민족음악의 계승발전, 남영일, 문예, 문예출판사, , 1991
38. 한국문학의 갈래이론, 조동일, 집문당, 집문당, , 1992
39. 노래해설집 회령의 봄, 박충성, 문학예술출판사, , 2012
40. 삶의 문화 희망의 노래, 김창남, 한울, 도서출판 한울, , 1991
41. 주체적 음악리론연구 1, 황지철, 사회과학, 사회과학출판사, , 2010
42. 주체적 음악리론연구 3, 김두일, 사회과학, 사회과학출판사, , 2010
43. ?해방 후 북한의 신민요?, 이소영, 한국국악학회, 한국음악연구 vol.45 No.-, , 2009
44. 전시가요집 결전의 길로, 로익화, 문학예술종합출판사, , 1998
45. 한국문학 이해의 길잡이, 조동일, 집문당, , 1996
46. ?한국 근대음악과 '고향'?, 민경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학연구 vol.30 No.-, , 2006
47. 노래집 내가 지켜선 조국, 박충성, 문학예술출판사, 문학예술출판사, , 2004
48. ?북한음악의 새로운 동향?, 민경찬,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논문집 vol.3 No.-, , 2000
49. 가요. 어떻게 읽을 것인가, 박애경, 책세상, 책세상, , 2000
50. 해방 후 10년간의 조선음악, 리히림, 조선작곡가동맹중앙위원회, , 1956
51. 2012년 북한의 음악공연과 樂, 배인교, 남북문화예술연구 vol.13 No.-., , 2013
52. 북한 문화예술 현황분석 연구, 박영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2011
53. 북한음악의 이해?. 북한의 예술, 송방송, 노동은, 을유문화사, , 1990
54. 노래집 못잊을 삼일포의 메아리, 이호인, 문예, 문예출판사, , 1992
55. ?'고난의 행군' 이후의 북한가요?, 장용석, 실천문학사, 실천문학 vol.72 No.-, , 2003
56. 대전성기가요의 사상예술적특성, 함덕일, 문학예술종합출판사, 문학예술종합출판사, , 1994
57. ?남북한 음악교류의 현황과 미래?, 민경찬, 단국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단국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vol.- No.5, , 2000
58. ?북한의 혁명가요와 일본의 노래?, 민경찬,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vol.20 No.1, , 1998
59. 노래집 향도성 우러러드리는 노래, 김형수, 문예, 문예출판사, , 1991
60. ?북한음악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최영애, 남북문화예술학회, 남북문화예술연구 통권 제6호, , 2010
61.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양악편-, 민경찬, 두리미디어, , 2006
62. ?북한 주체사상의 유교적 성격 규명?, 경규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63. ?북한음악의 변용과 철학사상적 근거?, 이현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993
64. ?《꽃파는 처녀》의 음악적 특성 연구?, 이현주, 남북문화예술학회, 남북문화예술학회 vol.6 No.-, , 2010
65. ?북한 피바다식 혁명가극에 관한 소고?, 이현주, 한국전통음악학회, 한국전통음악학회 vol3, , 2002
66. ?송가류의 확대와 청산리 정신의 대두?, 이현주, 북한 vol.441 No.-, , 2008
67. ?여성 소재 북한 생활가요의 특성 연구?, 전영선,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일인문학논총 vol.53 No.-, , 2012
68. 민족수난기의 가요들을 더듬어(증보판), 최창호, 평양출판사, , 2003
69. ?주체사상의 기독교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70. ?김정일 시대 통치스타일로서 '음악정치'?, 전영선, 북한대학원대학교, 현대북한연구 vol.10 No.1, , 2007
71. ?불후의 고전적 명작 가요의 음악적 지향?, 배인교,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vol.16 No.2, , 2012
72. 기자. ?정동에서 북한영화 보다?. 통일뉴스, 이강호, 기사, , 2005
73. ?창극의 북한식 수용양상으로 본 민족가극?, 신현옥, 문화예술콘텐츠 vol.4 No.-, , 2009
74. ?어로 관련 북한 '민요풍 노래'의 음악적 검토?, 배인교, 한국민요학 vol.38 No.-, , 2013
75. 기자. ?떴다! 손현숙 일본 팬클럽?. 오마이뉴스, 김대홍, 기사, , 2004
76. 북한 전통 1950~60년대 음악인들의 활동양상검토, 배인교, 판소리연구 vol.28 No.-., , 2009
77.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 민경찬, 한국음악사학보 vol.28No.-, , 2002
78. 북한의 음악 . ? : 철학. 형식. 종류에 대한 고찰?, 장기범,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vol.9 No.-, , 2000
79. 기자. ?北 사회에도 노래방 문화 넘실?. 연합뉴스, 장용훈, 기사, , 2009
80. ?항일전쟁시기 중국조선족 항일가요의 정서연구?, 신광호, 한국국악교육학회, 국악교육 vol.33 No.-, , 2012
81. 위대한 음악정치의 터전을 마련하신 불멸의 업적, 황순희, 조선예술 vol.10 No.-, , 2004
82. 주체적 문예리론 연구 22. 문학예술의 종류와 형태, 안희열, 문학예술종합출판사, , 1996
83. 기자. ?북한의 '계몽기 가요' 평가와 구분?. 연합뉴스, 김두환, 기사, , 2001
84. 기자. ?[양양] '양양팔경가' 원곡 복원한다?. 강원일보, 이경웅, 기사, , 2009
85. ?주체사상의 정당화 근거로서의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김동근, 대한정치학회, 대한정치학회보vol.14 No.2, , 2006
86. 기자. ?<심장에 남는 사람> 부른 가수 장윤희?. 통일뉴스, 정창현, 기사, , 2013
87. 기자.「커밍스. "김정일은 포스트모던 독재자"?. 문화일보, 유희연, 기사, , 2005
88. ?북한노래의 탄생-사회주의체제 형성기 인민가요 성립 고찰?, 임경화,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vol.15 No.2, , 2011
89. ?북한음악의 유형분류와 체계 연구?. 남북문화예술연구 vol.6 No.-, 배인교, 남북문화예술학회, , 2010
90. 기자. ?"북. '명승가'는 '양양팔경가'의 개작"<北잡지>?. 연합뉴스, 정연식, 기사, , 2004
91. ?김정은 음악정치의 특성: 년 모란봉악단 신년음악회를 중심으로?, 한승호, 한국평화연구학회 . 2013, , 2013
92. ?모란봉악단의 시범공연-세계적 추세 반영한 '열린 음악정치 표방'?, 정창현, (주)민족21, 민족21vol.- No.137, , 2012
93. 『북한의 선군사상에 관한 연구 : 주체사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광수, 경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94. ?혁명가요 가사의 정서통합과 선동성-총서 불멸의 력사 를 중심으로?, 박선영, 한국문예비평연구 vol.29 No.-, , 2009
95. 가극예술에 대하여: 문학예술부문 창작자들과 한 담화. 1974년 9월 4~6일, 김정일, 조선로동당출판사., , 1994
96. ?북한의 천리마운동시기 음악적 감성노래집풍어기 휘날리자 를 중심으로?, 배인교, 한민족문화연구 vol.45 No.-, , 2014
97. ?북한수해는 연례행사-북한 수해는 김정일이 실행한 주체농법이 부른 인재?, 송봉선, 북한 vol- No.430, , 2007
98. 북한민족가극 <춘향전>에 관한 고찰- 민족가극 춘향전 종합총보 를 중심으로, 마성은, 시네마 vol.54 No.-, , 2012
99. ?한국전쟁 이후 전후복구 시기-혁명전통과 주체철학의 영향을 받아 음악 창작?, 이현주, 북한연구소, 북한 vol.- No.440, , 2008
100. ?해방 후 남?북한의 혼종적 음악하기 통속민요와 신민요. 그리고 창작민요를중심으로?, 이소영, 한국민요학 vol.29 No.-, , 2010
101. ?북한 음악을 통해 본 경제발전전략: 김정은 공식등장 이후 김정일이 관람한공연을 중심으로?, 이수원, 북한연구소, 북한학보 vol.36 No1, , 2011
102. 「북한의 수령 형상 창조 영화 연구-연작 <조선의 별>과 연작 <민족의 태 양>의 신화 형식을 중심으로」, 이효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