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합적으로 규명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학술지 1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51460
2025
Korean
Athletes ;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 self-confidence ; meta-analysis ; effect size ; 운동선수 ; 성취목표성향 ; 자신감 ; 메타분석 ; 효과크기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63-76(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합적으로 규명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학술지 12...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합적으로 규명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학술지 12편과 학위논문 7편의 논문에 대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자료처리는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 성향이 자신감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 정도는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ES=.431). 둘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에 따른 자신감의 효과크기는 과제목표성향(ES=.474)이 자아목표성향(ES=.388)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 목표성향이 자신감의 하위요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Q b=5.017, p=.171). 넷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이 자신감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과제목표성향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Q b=7.239, p=.065). 반면 자아목표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자신감의 능력입증 요인에 가장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ES=.49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운동선수의 자신감 형성에는 각각의 전략에 따라 기여할 수 있는 성취목표성향의 요인을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self-confidence in athletes through a meta-analysis. For data analysis,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or 12 journal articles and 7 thesis articl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of thi...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self-confidence in athletes through a meta-analysis. For data analysis,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or 12 journal articles and 7 thesis articl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of this study.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self-confidence was large (ES=.431). Second, the effect size of self-confidence by the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howed that task goal orientation (ES=.474) had a larger effect than ego goal orientation (ES=.388). Third, the effect size of self-confidence as a subfactor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Qb=5.017, p=.171). Fourth, the effect of the subfactor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subfactor of self-confid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ask goal orientation (Qb=7.239, p=.065). In contrast ego goal orientation, on the other han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for demonstration of 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self-confidence (ES=.497).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at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elf-confidence in athlet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trategies.
러닝 크루 참여자의 자기결정성과 자기효능감,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 간의 관계
스포츠이벤트 안전관리 체크리스트(4P)와 스포츠안전 PREP, 안전태도, 안전행동의 관계
엘리트 축구 선수가 인식하는 또래 동기 분위기와 스포츠 경쟁 성향 그리고 도핑 의도 간의 관계
LDA 토픽 모델링과 심층 인터뷰를 활용한 PAPS 연구 동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