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Haemophilus influenzae는 작은 구간균 혹은 간균의 형태로 통성 그람음성균이며 성장에growth factor인 X, V 인자를 필요로 하는 5~10% CO2 환경에서 잘 자라는 까다로운 세균이다. 어른에게서는 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69071
2010
Korean
학술저널
37-37(1쪽)
※ KISS의 서비스 중단으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Haemophilus influenzae는 작은 구간균 혹은 간균의 형태로 통성 그람음성균이며 성장에growth factor인 X, V 인자를 필요로 하는 5~10% CO2 환경에서 잘 자라는 까다로운 세균이다. 어른에게서는 만...
배경: Haemophilus influenzae는 작은 구간균 혹은 간균의 형태로 통성 그람음성균이며 성장에growth factor인 X, V 인자를 필요로 하는 5~10% CO2 환경에서 잘 자라는 까다로운 세균이다. 어른에게서는 만성 기관지염, 중이염, 부비동염, 결막염, 소아에서는 수막염, 후두개염, 폐렴, 화농성 관절염, 중이염, 심내막염을 일으키며 성인, 소아 모두에서 드물게 균혈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급성 비인두염 환자의 혈액에서 H. influenzae를 분리, 동정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지방간 이외에 다른 기저질환이 없는 32세 남자환자로 내원 3일전부터 감기증세와 37.8℃의 열과 두통을 주소로 응급실을 경유하여 입원하였다. 내원 시 수막염이 의심되어 뇌척수액 배양과 혈액배양 검사가 실시되었다. 혈액배양은 각 1쌍씩 2회가 의뢰되어 혈액은 BACTEC Puls+Aerobic/F 와 BACTEC Lytic10 Anaerobic/F bottle에 접종하여 BACTEC FX(BD, USA) 시스템 에서 배양하였다. 뇌척수액 배양은 음성이었으며, 혈액배양은 각 쌍의 BACTEC Puls+Aerobic/Fbottle에서만 균이 자랐다. 직접 그람염색에서는 그람음성 구간균이 관찰되었고 혈액 한천배지에서 pinpoint 집락으로 자랐으며 집락의 그람염색 소견은 그람음성 구간균이었다. Chocolate agar에 계대 접종한 다음날 무색, 반투명이며 평활한 직경 1 mm 크기의 집락을 관찰할 수 있었다. VITEK 2 NHI card에서 98% H. influenzae로 동정되었으며 X, V factor 요구 시험에서 X, Vfactor 모두 요구성이었다. ß-lactamase는 생성하지 않았으며, ampicillin, ceftazidime, cefotaxime, ciprofloxacin, levofloxacin에 감수성, cefuroxime, amoxillin-clavulanic acid에 내성을 보였다. 환자는 ceftriaxone, levofloxacin 치료로 내원 3일 후 증세가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고찰: Haemophilus species에 의한 균혈증은 암, 백혈구 감소증, 만성적인 폐쇄성 폐질환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 드물게 발생한다. Fainstein 등은 1972년에서 1985년까지 13년 동안 남자 20명, 여자 16명 총 36명의 암환자에서 발생한 균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조사에서 급성 백혈병 12명, 림프종 5명, 다발성 골수증 2명, 위장관 관련종양 7명, 폐암 6명, 기타 암환자가 4명 이었으며, 18명이 폐렴(50%), 1명이 봉와직염과 부비동염을 가지고 있었다. H.influenzae에 의해 발생한 균혈증이 24명(67%), H. parainfluenzae가 9명(25%), H. aphrophilus에 의해 3명(8%)에서 균혈증이 발생했으며, ampicillin 내성율은 6% 였다고 보고하였다. Wallace등은 성인환자 96명에서 발생한 H. influenzae로 인한 균혈증에서 폐렴(60%), 위장관염(15%), 10%는 뚜렷한 감염이 없는 환자에서, 3% 는 수막염 환자에서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H. influenzae의 ampicillin 내성율은 외국에서는 나라에 따라 5~55%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배 등은 우리나라 환자에서 분리된 544 균주의 항균제 감수성 보고에서 ß-lactamase-negative, ampicillinsusceptible(BLNAS) 균주가 42%, ß-lactamase-positive, ampicillin-resistant(BLPAR) 균주가 47%,ß-lactamase-negative, ampicillin-resistant(BLNAR) 균주가 6.1%, ß-lactamase-positive,amoxicillin-clavulanate-resistant(BLPACR) 균주가 5% 이었다고 보고하였다.
S-1 : Clinical Implication of Tyrosine Phosphorylation Motifs in Helicobacter pylori cagA Gene
일반연제(구연) : O-1 ;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ESBL)과 AmpC β-Lactamase(ABL) 생성 세균의 검출
일반연제(구연) : O-2 ; 혈액에서 분리되는 칸디다 균주에 대한 ATB FUNGUS 2와 VITEK-2 항진균제 감수성검사(AST-YS01)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