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B광역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중 신체 및 정서발달장애가 없는 5, 6세의 남 여유아 197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체중에 따른 체질량지수 백분위수를 이용하여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06898
2007
Korean
692.05
학술저널
85-9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B광역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중 신체 및 정서발달장애가 없는 5, 6세의 남 여유아 197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체중에 따른 체질량지수 백분위수를 이용하여 유...
본 연구는 B광역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중 신체 및 정서발달장애가 없는 5, 6세의 남 여유아 197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체중에 따른 체질량지수 백분위수를 이용하여 유아의 비만도에 따라 운동기능검사 차이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집단간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Duncan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동기능검사의 경우 정상군(25.68+-3.98)이 과체중(22.95+-4.49)과 비만군(23.51+-3.48)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고(P<.01), 운동기능검사의 하위범주인 이동, 비이동 조작적 동작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동 동작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비 이동 동작은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조작적 동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비만도에 따라 운동기능에는 차이가 있으며, 유아의 건강증진 및 비만예방을 위해서는 유아 개인에 대한 운동기능 진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GAITRite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한 노인의 시 공간적 보행변수 분석
남자 볼링 선수들의 5스텝 & 훅 볼(Hook ball) 투구동작 시 운동학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