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이 지각한 간호업무환경, 직무배태성, 소진을 조사하고, 간호업무환경이 간호사의 직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사 인력관리를 위한 자료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이 지각한 간호업무환경, 직무배태성, 소진을 조사하고, 간호업무환경이 간호사의 직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사 인력관리를 위한 자료를...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이 지각한 간호업무환경, 직무배태성, 소진을 조사하고, 간호업무환경이 간호사의 직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사 인력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방법: 전국 7개 지역 1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56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와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간호업무환경의 평균은 2.62, 직무배태성은 2.97, 소진은 3.61이었다. 간호업무환경은 직무배태성(r = .70, p < .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소진(r = -.49, p < .001)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업무환경 세부요인들로는 간호만족과 보람, 병원의 지원적 환경과 환자간호 관련 환경, 근무표 만족, 관리자 리더십, 간호업무를 위한 지원환경, 컴퓨터 문제가 있었다. 간호업무환경 세부요인들 중 간호만족과 보람, 병동 내 폭력, 병원의 지원적 환경, 환자간호 관련 환경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사들이 직무배태성을 향상시키고 소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호업무환경을 평가하고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간호업무환경의 개선을 통해 이직의도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추후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work environment,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in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63 clinical nurses working in 13 general hospitals across the country. Data w...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work environment,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in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63 clinical nurses working in 13 general hospitals across the countr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Microsoft Excel programs. Results: Mean scores were 2.62 for nurses` work environment, 2.97 for job embeddedness, and 3.61 for burnout. Nurses` work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embeddedness (r=.70, p<.001),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r=-.49, p<.001). Subcategories of nurses` work environment that predicted job embeddedness included satisfaction and happiness, hospital support for the work environment, patient care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work schedule, manager leadership, supportive environment for nurses` work, and computer problems. Subcategories of nurses` work environment that predicted burnout included satisfaction and happiness, violence within ward, hospital support for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care environment.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e need to evaluate and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for nurses to increase job embeddedness and control burnout.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ways in which turnover intention can be decreased by changing nurses` work environ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규, "호텔 종사원의 직무배태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임금만족을 조절변수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61-79, 2010
2 박형인,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 고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57-491, 2011
3 권정옥, "중소병원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8 (18): 414-423, 2012
4 박경규, "조직에 대한 직무배태성(Job Embeddedness)과 이직의도간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33 (33): 1423-1439, 2004
5 임수진, "자기 효능감, 지각된 지지, 내재적 동기가 성폭력 상담소 종사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461-475, 2011
6 김성필, "이벤트 종업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직무착근도(job embeddedness)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6 (6): 27-44, 2008
7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69-79, 2005
8 황인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외상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1 (31): 1115-1138, 2012
9 양야기, "간호사의 소진과 감정노동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 17 (17): 423-431, 2011
10 Mitchell, T. R., "Why people stay :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44 : 1102-1121, 2001
1 박인규, "호텔 종사원의 직무배태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임금만족을 조절변수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61-79, 2010
2 박형인,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 고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57-491, 2011
3 권정옥, "중소병원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8 (18): 414-423, 2012
4 박경규, "조직에 대한 직무배태성(Job Embeddedness)과 이직의도간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33 (33): 1423-1439, 2004
5 임수진, "자기 효능감, 지각된 지지, 내재적 동기가 성폭력 상담소 종사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461-475, 2011
6 김성필, "이벤트 종업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직무착근도(job embeddedness)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6 (6): 27-44, 2008
7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69-79, 2005
8 황인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외상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1 (31): 1115-1138, 2012
9 양야기, "간호사의 소진과 감정노동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 17 (17): 423-431, 2011
10 Mitchell, T. R., "Why people stay :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44 : 1102-1121, 2001
11 Haynes, V. D., "What nurses want"
12 Lake, E. T.,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55 : 1-9, 2006
13 Park, K. W., "The system and policy related to nursing personnel program" 15 (15): 5-17, 2006
14 Lee, K. L., "The study on decision factor of voluntary turnover: Based o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convenience" Sogang University 2002
15 Aiken, L. H., "The magnet nursing services recognition program : A comparison of two groups of magnet hospitals" 100 (100): 26-35, 2000
16 Westerman, J. W.,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n the personality-performance relationship : An exploratory study" 19 : 288-305, 2007
17 Kim, J. H., "Th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hospital employee-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Kyungsung University 2010
18 Maslach, C., "The burnout syndrome" Prentice Hall 1982
19 Jang, S. J.,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patients' violent behaviors and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20 Kang, K. N., "Nurses' practice environment, nursing professionalism,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medium sized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2010
21 Ko, H. J., "Nurse work environment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Hanyang University 2010
22 Maslach, C.,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6
23 Kim, J. K., "Korean work environment scales for clinical nurses (KWESCN)"
24 Holtom, B. C., "Job embeddedness :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nurse retention plan" 34 : 216-227, 2004
25 Chun, W. B.,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hotel employees" 21 : 291-308, 2005
26 Duddle, 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Nursing Workplace Relational Environment Scale(NWRES)" 18 : 902-909, 2009
27 Kuehn, M. B., "Creating a healthy work environment for nursing faculty" 16 : 193-197, 2010
28 Gormley, D. K., "Are we on the same page? Staff nurse and manager perceptions of work environment, quality of care and anticipated nurse turnover" 19 : 33-40, 2011
29 Tang, W. Y.,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8
30 Kim, S. H., "A study of the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Hanyang University 2008
간호사의 국제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과 간호업무성과, 평가관련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
베트남 출신 며느리를 맞은 농촌 지역 시어머니의 적응과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12-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98 | 2.98 | 2.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86 | 2.96 | 4.597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