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DHD 증상 및 주양육자 양육행동이 ADHD 아동의 학업수행 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DHD Symptoms and Parenting Behavior on School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DH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5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formation of the school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ose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school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le influences on the ADHD symptom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ADHD Rating Scale, Parenting Behavior Scale were administered to 81 parents, and School Performance Scale were administered by teachers of the children with ADHD. Several statistical procedures were carried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de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ADHD symptoms,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performance by using the SPSS 18.0 and AMOS 6.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 indices of the fit model on the study model showed that the negative parenting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mediators of the linkage between the ADHD symptoms and the low school performance. Second, ADHD symptom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low school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formation of the school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ose variables c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formation of the school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ose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school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le influences on the ADHD symptom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ADHD Rating Scale, Parenting Behavior Scale were administered to 81 parents, and School Performance Scale were administered by teachers of the children with ADHD. Several statistical procedures were carried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de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ADHD symptoms,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performance by using the SPSS 18.0 and AMOS 6.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 indices of the fit model on the study model showed that the negative parenting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mediators of the linkage between the ADHD symptoms and the low school performance. Second, ADHD symptom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low school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증상 정도, 주양육자의 양육행동, 학업수행 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검증함으로써, ADHD 아동의 학업수행 수준 형성에 아동과 주양육자 요인들이 어떤 경로로 작용하며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HD 증상으로는 부주의성과 과잉행동-충동성을 하위영역으로 설정하였고, 주양육자의 부정적 양육행동으로는 비애정적, 적대감, 무관심, 거부적 행동을 하위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인들이 ADHD 아동의 학업수행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지역과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3학년까지 재학 중인 ADHD 아동 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당 아동의 주양육자 및 담임교사가 ADHD 증상, 주양육자의 양육행동 검사, 그리고 학업수행 수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아동의 ADHD 증상은 주양육자의 부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낮은 학업수행 수준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 증상이 ADHD아동의 학업수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증상 정도, 주양육자의 양육행동, 학업수행 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검증함으로써, ADHD 아동의 학업수행 수준 형성에 아동과 주양육자 요인들이 어떤 경로...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증상 정도, 주양육자의 양육행동, 학업수행 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검증함으로써, ADHD 아동의 학업수행 수준 형성에 아동과 주양육자 요인들이 어떤 경로로 작용하며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HD 증상으로는 부주의성과 과잉행동-충동성을 하위영역으로 설정하였고, 주양육자의 부정적 양육행동으로는 비애정적, 적대감, 무관심, 거부적 행동을 하위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인들이 ADHD 아동의 학업수행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지역과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3학년까지 재학 중인 ADHD 아동 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당 아동의 주양육자 및 담임교사가 ADHD 증상, 주양육자의 양육행동 검사, 그리고 학업수행 수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아동의 ADHD 증상은 주양육자의 부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낮은 학업수행 수준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 증상이 ADHD아동의 학업수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유경, "한국어판 부모·교사 ADHD 평가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41 (41): 283-289, 2000

      2 최윤영,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우울감, 양육태도가 아동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13 (13): 153-162, 2002

      3 서민정,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정서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69-81, 2003

      4 이영옥,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태도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한선화, "아동과 어머니의 ADHD 성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6 이경혜, "빈곤아동의 학업수행 부진 발생요인의 예측과 조기중재모형 개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175-196, 2006

      7 Harris, K. R, "Self-monitoring of attention versus self-monitoring of academic performance: effects among students with ADHD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39 (39): 145-156, 2005

      8 Hinshaw, S. P, "Preadolescent girl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ackground characteristics, comorbidity,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ing, and parenting practices" 70 (70): 1086-1098, 2002

      9 Ostrander, R, "Potential cognitive, parenting, and developmental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and depression" 74 (74): 89-98, 2006

      10 McLaughlin, D. P, "Parenting practic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The role of maternal and child factors" 11 (11): 82-88, 2006

      1 소유경, "한국어판 부모·교사 ADHD 평가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41 (41): 283-289, 2000

      2 최윤영,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우울감, 양육태도가 아동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13 (13): 153-162, 2002

      3 서민정,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정서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69-81, 2003

      4 이영옥,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태도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한선화, "아동과 어머니의 ADHD 성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6 이경혜, "빈곤아동의 학업수행 부진 발생요인의 예측과 조기중재모형 개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175-196, 2006

      7 Harris, K. R, "Self-monitoring of attention versus self-monitoring of academic performance: effects among students with ADHD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39 (39): 145-156, 2005

      8 Hinshaw, S. P, "Preadolescent girl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ackground characteristics, comorbidity,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ing, and parenting practices" 70 (70): 1086-1098, 2002

      9 Ostrander, R, "Potential cognitive, parenting, and developmental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and depression" 74 (74): 89-98, 2006

      10 McLaughlin, D. P, "Parenting practic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The role of maternal and child factors" 11 (11): 82-88, 2006

      11 Podolski, C, "Parent stress and coping in relation to child ADHD severality and associated child disruptive behavior problems" 30 (30): 503-513, 2001

      12 DuPaul, G. J,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ADHD symptoms: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community-based sample" 20 (20): 245-253, 1991

      13 Seidman, L. J,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girl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20 (20): 166-177, 2006

      14 Castel, A. D, "Memory capacity, selective control, and value-directed remembering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25 (25): 15-24, 2011

      15 Biederman, J, "Impact of executive function deficits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on academic outcomes in children" 72 (72): 757-766, 2004

      16 Bennett, A. E, "Identifying learning problems in children evaluated for ADHD: The academic performance questionnaire identifying learning problems in children evaluated for ADHD" 124 (124): 1182-1192, 2009

      17 Pennington, B. F,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in reading disability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45 (45): 77-89, 2009

      18 Pariseau, M. E, "Extended time on academic assignments: Does increased time lead to improved performance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5 (25): 236-248, 2010

      19 Langberg, J. M, "Efficacy of an organization skills intervention to improve the academic functioning of stud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3 (23): 407-417, 2008

      20 LeBlanc, J. C, "Early predictors of early school success: Evidence from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HRDC 2005

      21 Tully, L. A, "Does maternal warmth moderate the effects of birth weight on twins'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symptoms and low IQ?" 72 (72): 218-226, 2004

      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is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5

      23 Biederman, J,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57 : 1215-1220, 2005

      24 Karustis, J. L,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with ADHD: Unique associations with academic and social functioning" 4 (4): 133-149, 2000

      25 Pastura, G. M. C, "Academic performance in ADHD when controlled for comorbid learning disorders, family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 in Brazil" 12 (12): 469-473, 2009

      26 이미아,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영향요인간의 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7-35, 2008

      27 백민아, "ADHD 하위유형에 따른 학업수행기능과 학력진단평가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8 서울대학병원, "ADHD 아동의 출현율" 서울대학병원 2006

      29 Burns, G. L, "A multitrait (ADHD–IN, ADHD–HI, ODD toward adults,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by multisource (mothers and fathers) evaluation of the invariance and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hild and adolescent disruptive behavior inventory with Thai adolescents" 21 (21): 635-641, 2009

      30 Klein, R. G, "30-year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ADHD" 23 (23): 382-,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