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우선 혁명 이후 러시아 예술의 흐름과 국가적 차원의 예술교육 정책 및 개혁 과정을 살펴보고, 2단계로 1920년부터 기관의 설립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5236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우선 혁명 이후 러시아 예술의 흐름과 국가적 차원의 예술교육 정책 및 개혁 과정을 살펴보고, 2단계로 1920년부터 기관의 설립으...
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우선 혁명 이후 러시아 예술의 흐름과 국가적 차원의 예술교육 정책 및 개혁 과정을 살펴보고, 2단계로 1920년부터 기관의 설립으로부터 1926년까지의 브후테마스의 이행 과정을 고찰할 것이다. 마지막 단계로 브후테마스에서 개진된 합리주의, 구축주의 등과 관련된 논쟁을 소비에트 아방가르드의 발전적 측면에서 고찰할 것이다.
혁명 이후의 일상적 삶의 의미론과 구조 및 상징들의 급진적 변화 속에서 아방가르드 예술 역시 평면에서 입체로, 추상에서 구상으로, 나아가 화폭 중심의 회화에서 현실적 일상의 환경 및 사물의 창조로 이어진다. 이 시기 예술은 ‘대상세계로의 출구’가 되어야 했으며, 이에 3차원적 대상예술 영역, 즉 건축, 디자인, 장식-설계 등이 전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즉 예술이 순수 예술적 차원을 넘어 사회-문화적 의미로 확장되기 시작한 것이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기존의 고착화된 천편일률적인 교육방식에서 탈피하여 러시아 예술교육의 역사상 최초로 예술의 자유와 민주화를 추구했던 ‘스보마스’의 교육 개혁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사회혁명과 더불어 진행됐던 문화혁명, 나아가 예술교육혁명이 초기 소비에트 아방가르드의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연구의 두 번째 단계에서는 레닌의 「명령」에서 제시된 예술-기술 교육으로의 편향적 정책이 브후테마스의 교육 체계와 발전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브후테마스의 발전을 세 시기로 구분하여 1920년 ‘제1,2 스보마스’가 통합된 브후테마스의 설립으로부터 ‘브후테인’으로 전환된 1927년까지의 이행과 발전 과정을 조망하고, 각 시기 쟁점으로 작용했던 화폭중심회화와 생산예술 경향이 그룹 내에서 상호대립하고 공존하는 메커니즘을 종합예술경향의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혁명 직후 순수예술과 생산예술 경향 간의 대립적 상황 속에서 아방가르드 활동에 절대적인 추진력으로 작용했던 것은 1920년 ‘인후크’였다. ‘인후크’는 ‘회화조각건축종합’ 그룹을 계승하여 당시 아방가르드의 종합예술 경향을 반영한 대표적인 전문 예술가 집단이었다. 그러나 예술 형태에 대한 심리·정신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은 예술에 대한 ‘객관적’ 분석 그룹 내에서 쟁점이 되었고 이것이 바로 아방가르드 건축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 중대한 전환점으로 작용했던 ‘구성’과 ‘구축’ 논쟁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계기로 그룹은 ‘구성’ 진영에 속한 라돕스키, 크린스키 등의 합리주의 그룹과 ‘구축’ 진영의 로드첸코, 스테파노바를 중심으로 하는 구축주의 그룹으로 양분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인후크’와 ‘아스노바’의 예술 경향이 브후테마스의 교육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었는지 우선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칸딘스키, 라돕스키, 로드첸코 등 각 예술 경향을 대표하는 예술가들의 이론을 비교, 분석하고 브후테마스 내에서의 그들의 활동을 다각도로 조명함으로써 합리주의에서 구축주의로 이행해가는 소비에트 아방가르드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고찰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