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Ⅰ 수업에서 진행한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로서, 디자인의 기본 요소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평면회화를 통해 평면, 입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15528
2018
Korean
학술저널
-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Ⅰ 수업에서 진행한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로서, 디자인의 기본 요소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평면회화를 통해 평면, 입체,...
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Ⅰ 수업에서 진행한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로서, 디자인의 기본 요소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평면회화를 통해 평면, 입체, 공간 조형까지 차원에 확장에 따른 형태적 발전에 따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첫째 점, 선, 면의 디자인 기본요소를 이용하여 디자인 원리에 입각해 평면 구성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면회화를 선택하여 입체 조형을 통해 공간의 형태를 발전시킨다. 둘째, 공간의 형태에 적합한 브랜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위한 전시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적용된 공간 계획을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조닝, 동선, 색채 및 재질을 계획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조형적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전시 컨텐츠의 접목으로 향후 이와 같은 일련의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기초적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브랜딩·스타일링·마케팅을 결합한 스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작품‘Fill the Red, Feel the Red'를 중심으로 -
‘스탠리 돈우드 앨범아트웍’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라디오헤드 ‘A Moon Shaped Pool’ 앨범아트 작품을 중심으로 -
시각적 착시를 적용한 브랜드 스페이스 마케팅 개발 연구- ‘Fresh Oil Therapy’를 중심으로 -
브랜드‘더마앤모어’를 위한 스페셜 프로모션 부스 디자인 연구 - ‘프레쉬 캐주얼 스타일링’을 활용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