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방 X선 검사 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3D 프린팅 차폐재료의 효용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3D Printed Shielding Material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During Mamm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7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diation exposure exposed during mammography, which is performed for early examination of breast cancer, has also been suggested as a cause of carcinogenesis in the past, and scattered rays generated during examination may cause unnecessary radiation...

      Radiation exposure exposed during mammography, which is performed for early examination of breast cancer, has also been suggested as a cause of carcinogenesis in the past, and scattered rays generated during examination may cause unnecessary radiation exposure to surrounding organs. In this study, the Monte Carlo simula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human organ doses exposed during conventional mammography, and to estimate the dose reduction effect for each organ when using 3D printing materials for radiation protection by scattered rays. As a result of organ dose evaluation, the breas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xamination was about 22.0% of the breast on the test side and about 58.6% on the eye, which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scattering-ray. When using the 3D printing shield to protect it, the breas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est showed an effective dose reduction effect at a thickness of 1 m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방암의 조기 검진를 위해 시행되는 유방 X선 검사 시 노출되는 방사선 피폭은 과거 발암의 원인으로도 제기되었으며, 검사 시 발생되는 산란선은 주변 장기에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유...

      유방암의 조기 검진를 위해 시행되는 유방 X선 검사 시 노출되는 방사선 피폭은 과거 발암의 원인으로도 제기되었으며, 검사 시 발생되는 산란선은 주변 장기에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방법을 통해 일반적인 유방 X선 검사 시 노출되는 인체 장기 선량을 평가하고, 산란선에 의한 방사선 방호를 위한 3D 프린팅 재료 사용 시 장기별 선량감소효과에 대해 산정하였다. 장기별 선량평가 결과, 유방 상하방향 검사 시 검사 반대측 유방은 검사측 유방의 약 22.0%, 눈의 경우 약 58.6%으로 산란선에 의해 높은 영향을 보였다. 이를 방호하기 위한 3D 프린팅 차폐기구 사용 시 검사 반대측 유방의 경우, 1 ㎜ 이상의 두께에서 유효한 선량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숙, "평균 유선선량 측정방법의 표준화 및 유방 두께, 실질양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의학물리학회 20 (20): 21-29, 2009

      2 이상호, "유방촬영에서 Geant4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유방조직내 흡수선량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과학회 35 (35): 345-352, 2012

      3 홍은애, "유방촬영 시 갑상샘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Al Face Block 제작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과학회 36 (36): 11-17, 2013

      4 구본열, "유방X선촬영 시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유방촬영용 차폐복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과학회 42 (42): 99-104, 2019

      5 나수경, "엑스선 촬영실의 공간산란선 발생 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과학회 32 (32): 393-399, 2009

      6 김미영, "디지털 유방확대촬영술에서 노출방식에 따른 피폭선량 평가" 대한방사선과학회 35 (35): 293-298, 2012

      7 "http://www.cdc.go.kr/board.es?mid=a20305050000&bid=0003&act=view&list_no=364868"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Understanding of medical device 3D printing technology Part. 1 3D printing technology for medical devices"

      9 F. Bouzsrjomehri, "The Study of Mean Glandular Dose in Mammography in Yazd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4 (4): 29-35, 2006

      10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103" 37 : 2007

      1 박혜숙, "평균 유선선량 측정방법의 표준화 및 유방 두께, 실질양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의학물리학회 20 (20): 21-29, 2009

      2 이상호, "유방촬영에서 Geant4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유방조직내 흡수선량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과학회 35 (35): 345-352, 2012

      3 홍은애, "유방촬영 시 갑상샘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Al Face Block 제작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과학회 36 (36): 11-17, 2013

      4 구본열, "유방X선촬영 시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유방촬영용 차폐복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과학회 42 (42): 99-104, 2019

      5 나수경, "엑스선 촬영실의 공간산란선 발생 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과학회 32 (32): 393-399, 2009

      6 김미영, "디지털 유방확대촬영술에서 노출방식에 따른 피폭선량 평가" 대한방사선과학회 35 (35): 293-298, 2012

      7 "http://www.cdc.go.kr/board.es?mid=a20305050000&bid=0003&act=view&list_no=364868"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Understanding of medical device 3D printing technology Part. 1 3D printing technology for medical devices"

      9 F. Bouzsrjomehri, "The Study of Mean Glandular Dose in Mammography in Yazd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4 (4): 29-35, 2006

      10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103" 37 : 2007

      11 Osborn, S. B., "Radiological protection for medical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safety guide. Safety Standards Series No RS-G-1.5"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Quality guidelines of breast cancer screening (Secondary revision)"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for patient dose recommendations in mammography,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eries, No. 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Radiology ->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45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