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팬데믹 시대 이후 음악 교과서의 매체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of Media Utilization in Music Textbooks after the Pandemic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4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tance classes due to COVID-19 are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content and the rediscovery of existing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at the time of writing the textbook, the current epidemic situation could not be imagined, and the method of using the media presented in the textbook would have been very different from today. It is estimated that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curriculum, which will be revised in the future, need to include content that considers distance education a little more. In this study, the types of media used in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use of media in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playing an alternative role in many fields. Based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how to use the media and what kind of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after the pandemic is over.s
      번역하기

      Distance classes due to COVID-19 are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content and the rediscovery of existing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at the time of writing the textbook, the current epidemic situation coul...

      Distance classes due to COVID-19 are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content and the rediscovery of existing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at the time of writing the textbook, the current epidemic situation could not be imagined, and the method of using the media presented in the textbook would have been very different from today. It is estimated that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curriculum, which will be revised in the future, need to include content that considers distance education a little more. In this study, the types of media used in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use of media in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playing an alternative role in many fields. Based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how to use the media and what kind of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after the pandemic is ov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로 인한 적극적인 원격수업은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개발 및 기존 기술의 재발견으로 이어졌 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 당시는 지금과 같은 팬데믹 상황을 상상할 수조차 없었을 것이고, 교과서에 제시된 매체 활용 양태는 지금의 그것과는 많이 달랐을 것이다. 앞으로 개정될 2022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조금 더 원격수업을 고려한 내용을 담을 필요가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교과서에 활용된 매체의 양태를 분석하였다. 매체 활용은 온 전한 매체 활용과 대체재로서의 매체 활용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교 과서의 매체 활용은 많은 부분에 있어 대체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팬 데믹 시대가 끝난 이후에도 매체가 어떻게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그렇게 되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하 고 어떤 환경이 준비되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코로나로 인한 적극적인 원격수업은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개발 및 기존 기술의 재발견으로 이어졌 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 당시는 지금과 같은 팬데믹 상황을 상상할 수...

      코로나로 인한 적극적인 원격수업은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개발 및 기존 기술의 재발견으로 이어졌 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 당시는 지금과 같은 팬데믹 상황을 상상할 수조차 없었을 것이고, 교과서에 제시된 매체 활용 양태는 지금의 그것과는 많이 달랐을 것이다. 앞으로 개정될 2022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조금 더 원격수업을 고려한 내용을 담을 필요가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교과서에 활용된 매체의 양태를 분석하였다. 매체 활용은 온 전한 매체 활용과 대체재로서의 매체 활용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교 과서의 매체 활용은 많은 부분에 있어 대체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팬 데믹 시대가 끝난 이후에도 매체가 어떻게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그렇게 되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하 고 어떤 환경이 준비되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원격 수업 유형 및 원격 수업을 위한 플랫폼 유형
      • 2. 음악 교육에서의 매체
      • 3. 음악교과서에서의 매체 활용 분석
      • Ⅰ.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원격 수업 유형 및 원격 수업을 위한 플랫폼 유형
      • 2. 음악 교육에서의 매체
      • 3. 음악교과서에서의 매체 활용 분석
      • III. 연구 방법론
      • 1. 음악 교과서 분석 프레임
      • 2. 분석 대상
      • Ⅳ. 분석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